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 후기 사대부들의 회화 인식 : The literatis point of view on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은영

Issue Date
2014-06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규장각, Vol.44, pp. 1-27
Keywords
the point of view on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the theory of the south and north school(南北宗論)literati painting(文人畵)a lowly skill(末藝)the theory of literart-stlye and court-style manual(儒法院法論)the theory of differentiation between hua and xie(畵寫區分論)朝鮮後期 繪畵認識南北宗論尙南貶北文人畵末藝儒法院法論畵寫區分論
Abstract
고려 말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性理學의 영향으로 점차 道를 중시하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회화를 末藝로 여기던 조선 전기와는 달리, 조선 후기에 이르면 그린 사람에 따라서 뛰어난 그림이 될 수도 있다라는 부분적인 시각의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 후기 사대부들은 적극적으로 회화창작에 참여할 수 있었고, 비록 단편적인 형태의 담론들이었지만 畵論의 전개 또한 이전 시대에 비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 양상을 董其昌이 주장하였던 南北宗論을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芥子園畫傳을 비롯한 다양한 중국의 畵譜와 동기창의 容臺集의 전래를 통해서 남북종론 또한 조선에 알려지게 되면서, 尙南貶北을 바탕으로 한 남북종론은 문인화와 화공의 그림을 뚜렷이 구분 지을 수 있는 잣대가 되어 주었고, 그로 인해 남종 문인화풍을 회화이상으로 삼는 사대부들의 창작행위는 말예의 영역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李圭\象의 儒法院法論과 沈의 畵寫區分論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위 계층 문화로서의 문인화라는 장르에 대한 개념의 전래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에게 文人畵와 院體畵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로 인해 사회적 신분 차별을 바탕으로 하는 그린 사람에 따라서 뛰어난 그림이 될 수도 있다는 회화에 대한 인식이 사대부들 사이에 퍼지게 되었고, 회화 전체를 포함하지는 않더라도 문인화라는 장르는 말예라는 인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literati regarded painting as a lowly skill(末藝)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literatis point of view on painting chan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considered that painting might be exceptional according to the person who painted it.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change in terms of the theory of the south and north school(南北宗論). Through Tung Chi-chang(董其昌)s paintings, writings, and various Chinese manuals of painting, the theory of the south and north school based on status was introduced into Joseon and became a touchstone to differentiate distinctly between literati painting(文人畵) and court painting(院體畵). As a result, even though it was limited to a certain part, the literati could recognize painting as an art and could produce such theories as Lee Kyu-sang(李圭象)s theory of literati-style and court-style manual(儒法院法論) and Sim Jae(沈ꠓ)s theory of differentiation between hua and xie(畵寫區分論).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as the high-class culture could make the literati deviate from the point of view which had regarded painting as a lowly skill.
ISSN
1975-628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3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