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지방자치시대의 정책혁신의 확산 - 버스환승제의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Inter-local Diffusion of Policy Innovation-Bus system Diffusion and Innovation Attribut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대진; 안빛

Issue Date
2012-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Citation
세계정치, Vol.17(동아시아에서 정책의 이전과 확산), pp. 185-248
Keywords
정책혁신의 확산혁신의 속성상대적 이점적합성/호환성시험 가능성관찰 가능성복잡성버스환승제정책실험과 사회적 학습지방자치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attributes of innovationrelative advantagecompatibilitytriabilityobservabilitycomplextiybus transfer systempolicy experiment and social learninglocal self government
Abstract
1992년 지방의회 선거 이후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된 지 20년이 흘렀다. 중앙집권의 전통과 짧은 자치제의 역사에서 비롯되는 행정, 재정적 제약들과 자치행정의 미숙함은 지방자치단체들의 독자적인 정책선택을 어렵게 만들어왔으나, 최근 지방분권의 확대와 함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도 점차 자율적으로 정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자율적인 정책도입은 자연스럽게 자치단체들 간의 정책경쟁과 정책학습을 촉진시켰으며, 이는 다시 지방자치단체들의 정책산출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 글은 지방정부의 자율적인 정책선택을 정책혁신과 확산으로 정의하고, 로저스(Rogers)의 정책혁신의 속성이론을 기초로 버스환승제도의 도입과 확산현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혁신의 속성들은 버스환승제의 도입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버스환승제 도입에 있어서는 상대적 이점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후발채택자로의 버스환승제의 확산에 있어서는 관찰 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편 정책이 갖는 복잡성의 경우, 외국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제도의 도입 자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버스환승제라는 교통 정책의 확산 역시 혁신 속성들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설명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정책의 도입 역시 일종의 혁신의 확산이며, 정책이 갖는 혁신으로서의 속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한 정책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Bus Transfer System, and its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Rogers 5 attributes of innovation, and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Transfer Systems diffusion. For the adoption of Bus Transfer System, as the bigger its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are, the faster the system is tried to be adopted. The Bus Transfer System provides more economic advantage and more convenience in using buses to passengers than previous bus system did. Big cities with the capacity of the policy experiment tend to adopt the Bus Transfer System earlier than small cities. Especially, as the observabiliy is greater, the incentive to adopt the Bus Transfer System is larger. These factors, however, have less influence on the Bus Transfer System innovation and diffusion than the relevant advantage has. Lastly, as the passengers find difficulty in using the Bus Transfer System, the adoption of Bus Transfer System might be delayed but the complexity is least influential factor in the adoption of Bus Transfer System.
ISSN
1738-2440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49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사회과학대학)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국제문제연구소)세계정치(Journal of World Politics)세계정치 17 (2012)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