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속가능한 동북아시아 해양질서의 모색: 우리나라의 해양정책과 그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 Sustainable Maritime Regime Building in Northeast Asia: Lessons from South Korea's Maritime Poli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구민교

Issue Date
2011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Citation
국제지역연구, Vol.20 No.2, pp. 1-36
Keywords
Northeast Asia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maritime orderdelimitationexclusive economic zonecontinental shelfjoint development zone동북아시아유엔해양법협약해양질서경계 획정배타적 경제수역대륙붕공동개발구역
Abstract
본 연구는 을 중심으로 해양 관할권의 핵심 규범과 논쟁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정책, 제도 및 이념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해양질서 구축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가 재구성하려는 동북아의 신해양질서의 핵심은 영토문제, 어업문제, 해저자원 개발문제, 그리고 환경문제를 가능한 한 분리하여 접근하되, 이러한 각론에서의 협력을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해양문제 전반에 관한 다자간 컨센서스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영토, 자원개발, 그리고 경계 획정의 문제를 포함하는 신해양질서의 구축은 궁극적으로 고도의 정치적인 행위지만, 단순한 자국 이기주의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모든 관련국들이 납득할만한 법적이고 평등한 근거를 담아야 하는 대단히 규범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차원의 새로운 해양질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당사국들이 자신들의 새로운 제도적 노력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기존의 국제해양 레짐과 제도적 분업을 이룰 지를 결정해야 한다. 최근 격화되는 역내 해양분쟁은 이러한 공동의 노력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South Korea's maritime policy in light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nd then explore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sustainable maritime regime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argues that we first need to separate multi-layered maritime issues―consisting of competing sovereignty claims, fisheries, sea-bed marine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blems―as much as possible. It also maintains that we draw multilateral consensus from bilateral and minilateral cooperation in each issue area. Maritime regime building is an essentially political process to resolve interstate differences over sovereignty, marine resources, and maritime boundaries. At the same time, it involves a highly normative dimension to the extent that participating countries must integrate their claims into broader international norms by going beyond narrow national interests. As a result, coastal states in Northeast Asia must decide on the extent to which they will harmonize their unilateral, bilateral, and minilateral efforts with global maritime regime that revolves around the UNCLOS. The extensive confrontation over maritime and territorial issues across the region in recent years indicates that multilateral efforts at building sustainable maritime order in Northeast Asia can no longer be delayed.
ISSN
1226-731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62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