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글로벌 사회공헌에서 공유가치 창출로: 국제개발 민관협력 혁신모델의 조건 : From Global Philanthropy to Creating Shared Values: Rethink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구정우; 김율리; 김대욱

Issue Date
2015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Citation
국제지역연구, Vol.24 No.1, pp. 75-113
Keyword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Public-Private Partnership (PPP)Creating Shared Values (CSV)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국제개발협력공적개발원조(ODA)민관협력(PPP)공유가치창출(CSV)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Abstract
본 논문은 국제개발 민관협력의 모델 및 방향을 공유가치창출(CSV)과 연계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회공헌 및 자선을 넘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경제적․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는 CSV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개도국의 빈곤타파와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민관협력 모델의 구축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첫째, CSV 민관협력 모델의 원칙을 1) 기업의 핵심역량 활용, 2) 새로운 가치 창출, 3) 국가협력전략(CPS)과의 조응성, 4) 다양한 이해관계자 역량 활용, 네 가지로 제시하고 정당화한다. 둘째, 선진공여국 민관협력의 역사와 추이를 미국의 CSR형과 유럽의 기금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셋째, 제안된 CSV 민관협력 모델에 근거하여 국내의 유‧무상 민관협력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본다. 넷째, CSV 민관협력 원칙이 비교적 충실히 반영된 국내외 사례를 소개하면서 새로운 민관협력 모델이 개발현장에서 이미 구현되고 있으며, 확산시킬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결론 및 토론에서는 CSV 민관협력 모델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과 그 한계, 그리고 향후 국제개발 민관협력 심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This article presents a new way of thinking in approaching an increasingly popular topic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Our alternative model of PPP, lies in the principle of shared value, which involves creating both economic and social values via companies core values, and aims to reduce poverty and promot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e first theorize or justify the four major principles of the CSV model of PPP; 1) utilizing companies core skills, 2) creating new values, 3) corresponding to the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 and 4) collaborating across various stakeholders. Second, we categorize the currently available global models of PPP into the US l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model and the European model of fund-raising. Third, we analyze the implemented PPP projects in South Korea using the newly suggested framework. Fourth, we reflect on both global and domestic examples of PPP with promising elements of the new model. Finally, we discuss pivot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suggested model can be realized and make several policy suggestions crucial in revamping the current PPP policies and programs in South Korea.
ISSN
1226-731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63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