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양상 의미론과 부사구 수식의 문제 - 루이스의 상대역 이론과 양상 의미론의 또 다른 대안 : Lewis` Counterpart Theory , Modality and Adverbial Modifi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선우환

Issue Date
1993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과
Citation
철학논구, Vol.21, pp. 141-194
Keywords
양화양상논리QML 체계상대역 이론
Abstract
양상언어는 자연언어에서 일차술어논리에 의해 형식화되지 않고 남은 영역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가능성이나 필연성과 같은 개념과 관련된 언어를 형식화하는 것은 철학적 논의의 중요한 부분을 엄밀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양상언어를 형식화하는 하나의 (가장 잘 알려진) 방식은 외연적 형식체계인 일차술어논리 대신 그것을 확장한 양화양상논리(QML)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QML체계 자체는 Kripke 모형 등과 같은 가능세계 의미론에 의해 해석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06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