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 진로효능감, 부모 진로지지, 진로장벽의 차이를 중심으로 : Career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 in Career Efficacy,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Career Barri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혜승

Issue Date
2016-06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pp. 283-309
Keywords
진로정체감 지위진로효능감부모 진로지지진로장벽Career Identity StatusCareer EfficacyCareer-related Parent SupportCareer Barriers
Abstract
본 연구는 다차원 진로정체감 지위 평가 모형(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VISA)을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진로정체감 지위 집단별로 진로효능감, 부모 진로지지, 진로장벽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강원, 대전, 대구, 부산,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85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지위는 성취, 유예, 유실, 확산된 혼미, 무관심한 혼미의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분류된 각각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라 진로효능감, 부모 진로지지, 진로장벽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정체감 성취와 유실 지위가 다른 지위에 비해 진로효능감, 부모 진로지지 수준이 높고 진로장벽 수준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확산된 혼미 지위는 진로효능감과 부모 진로지지 수준이 가장 낮고, 진로장벽 수준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정체감 유실 지위는 진로효능감, 부모 진로지지, 진로장벽에 있어서 진로정체감 성취 지위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유예 지위보다 진로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진로정체감 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career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measure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areer efficacy,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career identity status. This research conducted surveys on 1,05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Gyeong-gi, Gangwon, Daejeon, Busan, and Gwangju, and a total of 857 respondents' data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 students has been categorized into five group types: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diffused diffusion, and carefree diffusion. Each status bear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sub-areas of career exploration,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reconsideration. Second, th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stinctions in sensing career efficacy,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career barriers depending on their career identity status. Third, the status of achievement and foreclosure manifests the highest level of development, whereas the status of diffused diffusion demonstrates the lowest level of develop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 student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students and more detailed classifications and to-the-point interventions must be prepared before intervening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areer identity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00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