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 쟁점과 향후 연구과제 : A Review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Issu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초희

Issue Date
2016-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pp. 1-35
Keywords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GeneralizabilityTransferGeneral ApproachInfusion ApproachImmersion ApproachMixed Approach비판적 사고교육일반화가능성전이교과독립형교과내재형혼합형
Abstract
이 연구는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비판적 사고교육 연구의 과제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비판적 사고교육의 이론적 쟁점으로 비판적 사고의 개념, 일반화 가능성, 영역성 관점에 따른 교수적 접근에 대해 논의하였다. 비판적 사고에 대한 관점은 크게 사고기술의 일반화가능성을 인정하는 영역-일반적 입장과 특정 영역과 맥락에 따라 사고기술이 달라진다고 보는 영역-특수적 입장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영역성 관점은 교수적 접근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Ennis는 비판적 사고의 교수적 접근을 교과독립형, 교과접목형, 교과내재형, 교과혼합형으로 구분하였는데, 이중 교과독립형은 영역-일반론자에 의해 선호되며, 교과-내재형은 영역-특수론자에 의해 옹호되는 교수적 접근방식이다. 이들 다양한 교수적 접근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독립형 접근에서는 주로 하나의 독립적인 사고개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수업활동 내용과 유사한 검사에서의 수행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과내재형 접근에서는 교과수업 안에서 사고력 교육을 실시하고 교과와 관련된 과제에서의 수행을 통해 사고력을 평가할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가방식이 교수적 접근과 일관될 때 교육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된 교수방법과 전략은 일관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습자의 발달 및 성취수준, 교수자 전문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비판적 사고교육의 효과를 조절하는 지식의 영향, 비판적 태도 계발과 전이, 교과독립형 프로그램의 초점 확대, 비판적 사고의 평가에 관한 연구들이 향후 연구과제로 제언되었다.



This study reviews research on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and draws th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rstly, the study discusses the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issues related to generalizability of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to critical thinking. There are two conflicting perspectives-domain-general and domain-specific approaches-on the nature and genen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which, in turn, affect instructional approaches to critical thinking. These approaches can b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Ennis: general, infusion, immersion, and mixed approaches. Advocates of the domain-general approach prefer a general approach while specificists prefer an immersion approach. Previous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show that in a general approach, stand-alone critical thinking programs were implemented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using standardized, domain-general critical thinking tests while in an immersion approach, critical thinking was immersed in the subject matter instruction and evaluated by domain-specific tasks. Moreover, meta-analytic studies show that when the instructional approach was consistent with evaluation methods, that is, domain-general tests were used in a general approach and domain-specific tasks in an immersion approach, the effect size tended to be the largest. Based on the review, studies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on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transfer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extension of the curriculum content of stand-alone programs, and evaluation studies of critical thinking were suggested as future research.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00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