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생 성적 우수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 탐색 : Exploring the Critical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on High-Achiever of High School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은모; 최효선

Issue Date
2016-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pp. 215-237
Keywords
Self-Directed Learning (SDL)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High School StudentsHigher-achiever자기주도학습자기주도학습역량고등학생성적 우수자학업성취도
Abstract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은 성인학습자로서 평생학습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우리나라 고등학생은 뛰어난 학업성취도에 비해 자기주도학습역량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이는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뛰어넘어 자기주도적 학습자가 되는 데 방해되므로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고등학생 성적 우수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과 주요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고등학생 성적 우수 학습자를 구분하는 핵심적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어떠한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3,958명(남학생: 2,359명, 여학생: 1,419명)을 전국규모 단순비례배분 방식으로 표집 하여 자기주도학습역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은 전략적 학습기술, 시간관리, 수업에 대한 태도, 탐구적 학습전략, 학습몰입, 학습에 대한 가치신념, 지적 호기심의 일곱 가지 핵심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성적 우수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은 일반학습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적 우수 학습자와 일반학습자를 구분 짓는 요인으로는 학습몰입, 학습에 대한 가치신념, 시간관리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Self-directed learning would be core competency for lifelong learning in adulthood after high school stu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critical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SDLC) in high school students as high-achiever on academic achievement. 3,958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wide survey of this study(male: 2,395, female: 1,419). The SDLC questionnaire consisted of 33 items measuring with the 4-point Likert scale and 10 items of demographics. As a result, SDLC of high-achiever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extracted seven factors: 1) Strategic learning skill, 2) Time management, 3) Attitude for lesson, 4) Inquiry learning strategies, 5) Learning flow, 6) Value belief about learning, and 7) intellectual curiosity. The seven factors of SDLC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er achievers and general achievers in high school. Also, factors of SDLC, Learning flow, Value belief about learning, Time management, are identified critical competencies to become a high-achiever in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00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