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과 과제 :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병곤; 이성준

Issue Date
2016-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Citation
국어교육연구, Vol.38, pp. 67-110
Keywords
말하기 평가학문 목적 언어 평가언어 평가 도구 개발타당화 연구한국어교육speaking assessmentlanguage testing for academic purposestest developmentvalidation projectKorean language education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도구의 개발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를 구성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특수 목적 언어 평가 연구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국외 학문 목적 말하기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TOEFL과 IELTS에서 말하기 시험이 개발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사용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으로 제시한 것은 평가의 개념 정립과 구인 설정, 평가 과제 개발, 평가 방법 선택 및 타당화, 채점과 척도 개발, 교육적 환류와 영향력이다. 끝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로서 개발 과정에서 응시 목적을 고려하여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구인타당도 확보와 면밀한 평가 계획서 작성, 그리고 채점자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예측타당도와 공인타당도 연구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안정화와 품질 개선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recent approaches to developing speaking tests and in particular the testing of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The first approach is concerned with testing theory of the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LSP) and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as a means of verifying the claims for speaking test development. The second approach is analyzing the validation procedures of TOEFL and IELTS as representative academic speaking tests and relating them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is found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peaking tests, construct setting, item writing, connecting testing method and validation, scoring rubric and rating scale development, and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washback and impact. From this view point, developing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can be justified in terms of practical needs analysis, construct validity projects, circumstantial specification, and rater effect analysis, and it is suggested that continuous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ation research be conducted to improve speaking tests.
ISSN
1227-882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00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