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갈등DB 구축방법의 국제비교 및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structing Conflict Databases and the Implications to South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동진; 윤종설

Issue Date
2017-03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 55 No. 1, pp. 107-138
Keywords
갈등DBDB구축국제비교Conflict databaseConstruction of databasesInternational Comparison
Description
본 연구는 2015년 한국행정연구원 의 연구보고서 「정책갈등 지식관리체계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I): Big Data를 중심으로」의 일부 내용을 토대로 수정・보완된 것임을 밝힙니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주요 갈등DB 구축방법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갈등DB 구축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4개 기관 갈등DB와 국외의 3개 기관 갈등DB(독일의 KOSIMO 갈등DB, 아프리카 사회갈등 갈등DB(SCAD), 유럽 시위 및 진압갈등DB(PCD))를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갈등DB 구축방법의 국제비교에 따른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갈등DB는 주로 국내의 공공갈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 갈등DB는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 국가들의 사회갈등이나 국제분쟁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둘째, 갈등DB별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갈등DB도 갈등DB 구축시 나타나는 일반화의 문제 등 DB 구축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갈등DB자료에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갈등DB 구축시 갈등코드북을 공개하여 갈등DB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갈등DB의 코딩방식을 새로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일곱째, 갈등DB 유형구분을 보다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덟째, 국내 갈등DB 자료 공개와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구축된 갈등DB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갈등예방 및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reign and domestic conflict database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nd doing research with conflict databas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conflict database from four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with three foreign conflict databases (KOSIMO, Germany; SCAD, Africa; and PCD, Europe). The research implications a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conflict databases in Korea are mainly focused on public conflicts inside Korea, foreign conflict databases target social conflicts and international disputes in African and European countries. Second, each conflict database in Korea needs to be differenti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blems of generalizability occurring in the field of conflict databases in depth.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diverse methods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flict databases. Fifth, the transparency of database references should be improved by opening the code book of conflict databases. Sixth, it is necessary to searching diverse coding methods using new computer programs in database coding conflicts. Seventh, the categories of conflict type need to be further subdivided. Eigh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nness and utilization of conflict data. Finally, more detailed construction and active utilization of conflict databases can improve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Korea.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76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