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양식의 통제 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Controlling Effects of Way of Lif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지혜, 주재현

Issue Date
2017-03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 55 No. 1, pp. 139-173
Keywords
사회복지전담공무원직무특성직무만족Grid-Group 문화이론삶의 양식Job SatisfactionSocial Welfare OfficialsJob CharacteristicsGrid-Group Cultural TheoryWay of Life
Description
본 연구는 임지혜의 석사학위논문을 발전시킨 것임.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삶의 양식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통제효과를 지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계량적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무특성의 하위요인 중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과업중요성과 자율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라 하더라도 개인별로 서로 다른 삶의 양식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삶의 양식은 평등주의였고, 다음으로 개인주의가 일정 부분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소수의 계층주의와 운명주의가 존재하였다. 셋째, 삶의 양식중에서 평등주의가 직무만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양식별로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평등주의자들의 경우 과업중요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주의자들의 경우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높여주며, 그들의 직무만족 제고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ould influe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eir way of life would have a controll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ocial welfare offici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skill variety' and 'task identity' showed negative effects while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showe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ain way of lif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egalitarianism. Individualism appeared as the second most common type of way of life among the officials. However, hierarchy and fatalism were only minor ways of life. Third, egalitarianism most positively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Fourth, the type of way of life made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egalitarians, 'task significance' showed a meaningful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However, 'autonomy' showed a meaningful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for individualists. Thes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to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76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