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의 공간분석방법론 구축 및 적용 :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Analysis Framework for Cultural Dimension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재필-
dc.contributor.author최영준-
dc.date.accessioned2017-07-13T06:34:19Z-
dc.date.available2017-07-13T06:34:19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711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864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5. 8. 최재필.-
dc.description.abstract공간은 사회적 생산물이며,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한다. 그러나 공간과 문화 각각에 대한 기존의 관점으로는 현대사회 공간환경의 획일성, 익명성, 무미건조함에 대한 비판만 가능할 뿐이다. 문화실천으로서의 문화, 물리적 실체로서의 공간에서는 문화적 차이, 공간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화적 차이가 문화실천 이전의 근본적인 차원, 곧 세계관이나 가치관의 차원에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길트 홉스테드(Geert Hofstede)가 문화차원(Cultural Dimension)을 제시하면서부터이다. 여러 차원 중에서도 문화적 차이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주목받는 것은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이 공간의 사회적 생산에 미치는 영향까지 그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가능성에서 시작한다.
한편, 공간과 문화의 관계에서 공간을 사회적 의미(social implication)의 전달매체로 인식하고, 사회가 공간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또는 건축이 공간을 통해 재현하는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빌 힐리어(Bill Hillier)와 줄리엔 핸슨(Julienne Hanson)의 공간구문론(Space Syntax)으로 대표되는 공간분석(Spatial Analysis)의 주요 관심사였다. 그리하여 주거공간을 주택의 평면으로 한정하였을 경우, 문화적 차이에 기인한 공간계획 상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범위를 넓혀 단지계획에 공간구문론을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공간의 사회적 생산에 있어서 문화적 요인의 작용을 설명하는 데에 한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 및 관련이론으로써 공간에 내재된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을 기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공간의 사용자 부류(거주자-방문자-이방인, 남성-여성 등) 간 상호작용은 공간분석 연구의 초기 관심사였다. 그러나 사용자와 공간을 대응시키는 환원적 접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도시공간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하지 못하였다. 도시공간은 본질적으로 특정 집단이 전유할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 부류에 따른 공간의 구조적 작용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현상학적 접근으로 해결하였다. 게오르그 짐멜(Georg Simmel), 알프레드 슈츠(Alfred Schutz) 등의 분석을 통해 거주자와 이방인의 자연적 행동을 살펴보았고, 이것을 공간분석의 방법론적 틀에서 수용하여 두 사용자 부류의 경계성을 기술하기 위해 공간구문론과 ERAM 모델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한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 공간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론을 한국과 미국의 주거공간, 곧 아파트 단지와 단독주택 단지의 주요 사례에 적용하였다. 비록 사례의 제한이 있지만, 그 결과 한국의 주거공간이 미국의 주거공간에 비해 구별성이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과 미국의 주거공간에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이 내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7
1.3. 연구의 차별성 및 의의 9
1.4.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3
제2장 공간사회학으로서 공간분석의 가능성과 한계 15
2.1. 사회과학의 공간적 선회(spatial turn)와 공간의 구별성 15
2.1.1 르페브르의 사회공간론 15
2.1.2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17
2.1.3 힐리어의 공간사용자 부류 20
2.1.4 장소성 이론에서의 거주자와 이방인 21
2.2. 공간사회학에서 공간의 구별성 분석의 의의 24
2.2.1 문화상대주의의 통약성 극복 24
2.2.2 홉스테드의 문화차원 27
2.2.3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의 핵심: 구별성 42
2.3. 공간분석 개관 46
2.3.1 공간분석(Spatial Analysis) 46
2.3.2 공간분석의 배경이론 50
2.3.3 공간분석의 실제 56
2.3.4 공간분석의 연구동향 71
2.3.5 공간분석을 통한 도시공간 사회적 의미해석 가능성과 한계 78
2.4. 소결 81
제3장 공간의 구별성 분석방법론 구축 83
3.1. 공간 사용자 ? 공간 서비스의 관계적 전제 83
3.1.1 서비스 네트워크로서의 도시공간 83
3.1.2 시공간적 시퀀스로서의 일상생활 85
3.2. 공간 사용자 구별의 매개: 공간인지 86
3.2.1 환경지각 86
3.2.2 공간인지 88
3.2.3 공간분석에서 공간인지와 공간인지의 상대성 90
3.3. 사용자 부류의 재고찰 91
3.3.1 거주자, 이방인의 사회학적 이해 91
3.3.2 공간분석에서 거주자, 이방인의 조작적 정의 95
3.4. 공간의 구별성 분석방법론 구축 98
3.4.1 공간인지의 분석지표: 시너지 98
3.4.2 거주자와 이방인의 공간인지 비교 102
3.5. 방법론의 유효성 검증 103
3.6. 소결 106
제4장 한국과 미국의 주거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구별성 비교 107
4.1. 대량생산 체제에서 한국과 미국의 주거공간 107
4.1.1 한국의 주거공간 108
4.1.2 미국의 주거공간 110
4.2. 분석사례 및 분석결과 113
4.2.1 한국 아파트 단지 113
4.2.2 미국 단독주택 단지 134
4.3. 비교분석 152
4.3.1 한국과 미국 주거공간의 종합분석 152
4.3.2 주거공간의 구별성에 대한 주택유형의 영향 154
4.3.3 한국에서 단독주택 단지의 가능성 170
4.4. 소결 172
제5장 결론 17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4729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개인주의-집단주의-
dc.subject문화차원-
dc.subject공간분석-
dc.subject거주자-
dc.subject이방인-
dc.subject구별성-
dc.subject.ddc690-
dc.title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의 공간분석방법론 구축 및 적용-
dc.title.alternativ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Analysis Framework for Cultural Dimension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ng Jun Choi-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ix,188,ii-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