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극공연장의 집적이 공연산업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희

Advisor
정창무
Major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집적효과손실회피문화 클러스터생존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설환경공학부, 2015. 2. 정창무.
Abstract
창조경제 핵심 산업의 하나로 손꼽히는 산업이 바로 공연예술산업을 포함하고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이다. 최근 정부는 대규모의 펀드를 조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는 대학로 지역을 동대문 지역과 연계하여 서울형 창조산업의 핵심거점으로 삼는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분위기와는 상반되게, 몇 해 전부터 대학로 지역 연극산업의 위기론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극계의 대처방안 모색의 움직임도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그런데 위기론이 팽배한 분위기 속에서도, 공연예술산업의 핵심 인프라라 할 수 있는 공연장의 수는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 모순된 상황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정부 정책의 방향과 서울시의 경제계획에 따라 대학로 지역에 대한 투자가 예상되는 바, 보다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지역 내에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모순된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30여 년간의 서울시 연극공연장 분포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대학로 공연장의 집적과정과 시대별 연극의 중심지를 살펴보고, 시대별 대학로 지역 연극산업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로 지역 공연장 집적이 포터의 클러스터 이론에서 말하는 기업의 혁신창출에 기여하는지 여부를 초연(콘텐츠 기준 국내 첫 공연) 제작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의 집적도를 초과하면 발생하게 되는 외부불경제의 효과가 초연 제작에 미치는 영향과 공연장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을 위해 수집한 자료는 1981년부터 2013년까지의 서울 지역 내 연극공연 정보이다. 문예연감 편람의 공연정보를 1차적으로 수집하였고, 연극공연정보 사이트 및 관련서적 등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각각의 공연에 대한 초연 및 창작초연의 구분을 위한 자료 및 공연장의 주소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에서 연간 공연일수 30일 이상으로 파악된 연극공연장의 분포 및 연극공연의 중심지 분석을 위해서 ArcGIS의 Kernel Density Analysis와 Mean Center Spatial Statistics를 이용하였다. 대학로 지역과 비대학로 지역의 초연제작 및 창작초연 제작편수 차이의 비교를 위해 SPSS의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공연장의 집적이 초연제작에 미치는 영향과 과밀로 인한 부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AS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8~2012년 5년간 공연장의 기간별 생존율 분석 및 운영년수와 생존율과의 관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의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 현 공연시장 구조가 지속될 경우, 공연장의 과대집중은 과다경쟁을 낳게 되고, 과다경쟁은 공연제작 관계자들이 손실회피성 성향을 취하게 함으로써 오히려 새로운 콘텐츠의 제작편수는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영년차가 3년차 이하인 극단과 기획/제작사는 현 대학로 공연산업의 경쟁적 환경에서 정착하는 데 상대적으로 취약하므로 이들에 대한 인큐베이팅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했다.
이 연구는 대학로 지역의 공연장이 처음으로 개관한 1981년부터 2013년에 이르기까지 공연장의 입지변화를 통시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하겠다. 초연과 창작초연이라는 창조적 지표의 관점에서 33개년의 서울지역 공연정보 전수 데이터를 구축하여 공연장의 집적이 미치는 정의 효과와 부의 효과를 분석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One of the core industries of Creative Economy is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hich includes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Rec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ctively supported promo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large-scale funding. Especially,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a plan for Daehangno and Dongdaemun areas, which would make them as the kernel of creative industry of Seoul. On the other hand,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crisi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 Daehangno area. The industry is therefore trying to seek solutions for the crisis. Nonetheless, the number of theaters, the core infra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s rather increasing than decreasing.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is where this study starts. Consider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and the economic policy planning of Seoul, investments on Daehangno are highly expected to be made. Therefore, understanding of this discrepancies is required for more efficient investment to be made.
This study, by tracking the changes of theaters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Seoul for the past 30 years, reviews the agglomeration process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Daehangno and examines and analyzes present state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n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 foregoing examination and analysi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ing the first performance, it reviews whether the agglomera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Daehangno contributes to the innovation of business in Porters cluster theory. Besides, this study reviews the impact of external diseconomies - arising when it exceeds a certain degree of agglomeration - on production of the first showing of performing arts and survival of performing arts centers.
This study has collected performing arts information from 1981 to 2013 arts almanacs, websites for performing arts information, and related books in order to chronologically identify performing arts and performing arts centers. Then, it builds data set for identifying the first showing of performing arts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Employing ArcGIS Kernel Density and Mean Center (Spatial Statistics), it analyz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that have more than 30 days of performing history per annum and identifies the kernel of performing arts. Also, employing SPSSs Paired T-Test, it compares the number of the first showing of performing arts produced between Daehangno area and other areas.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used in analyzing impacts of the agglomera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on producing the first performing arts and wealth effect through congestion. For relational analysis between operating years and survival rate and periodical survival rate analysis for 5 years from 2008 to 2012, SPSS Survival Analysis has been applied.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number of performing art centers increases if the current performing market structure lasts, which would lead producers to taking loss evasion tendency,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newly produced contents could decrease. This study has found it difficult that especially theaters running for 3 years or less settle down under the current Daehangnos competitive environment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an incubating system is needed for the young performing arts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that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diachronically researching the location changes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Daehangno area from 1981 to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addit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which establishes the whole data of performing art information in Seoul for the past 33 years employing the creative index of the first showing of performing arts and analyzes pros and cons of the agglomera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87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