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progress management model for a large-scale city consturction program : 대규모 도시 건설사업의 진도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성진

Advisor
지석호
Major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프로젝트 관리진도관리대규모 도시 건설시설물별 가중치단계별 관리점(Control Point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설환경공학부, 2017. 2. 지석호.
Abstract
thus, using legacy methods will not result in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construction progress of the entire city. Furthermore, the progress measurement payment method does not render the physical completion of facilities in realistic fashion, and any changes to the overall budget will affect the level of projected progres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n accurate and effectiv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ompletion in a large-scale city construction project, this study weighs key facilities of the city based on expert recommendations, and establishes a model for calculation and assessment of the weighed progress level. Moreover, through case study of the S-City project and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al systems to the proje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for progress management of large-scale city construction projects.
For this purpose, the progress rate data of city components are tiered based on the level of management, an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city construction and project management exper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weigh each key facility that comprise a large-scale city.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method was used for the survey in order to process subjective assessments into a more impartial and systematic data. For contract page level-data, which serves as an input to the progress of the entire construction project, control points(based on Earned Value) were applied for each step to measure the objective rate of progress for each lines of effort.
In order to review the availability of the proposed progress management model, a simul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ogress of key facilities in the completed parts of the basic living area. Using the projected progress rate, the progress of key facilities in the parts of the basic living area that are still under construction were compared, enabling decision support for prioritizing investment to different facilities.
Finally, an appropriate module for assessing progress rate of key facilities in the S-City was established, and the information system for large-scale city construction projects was created incorporating the module.
Applying the progress management model and the inform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to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large-scale city construction projects will ensure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government funds, as well as increased convenience for the public.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ts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foreign large-scale city construction projects, fostering exports in related industries and ultimately contributing to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 기술 산업의 개발과 성장, 수도권 과밀해소 및 인구 분산, 상업 및 주거와 레저의 복합구성, 환경 친화적 기반구축, 행정도시 이전 등을 목표로 대규모 도시를 건설 중이거나 완료 또는 계획 중에 있다.
국내의 경우 국가 균형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정부기능의 분산 정책으로 중부지역에 행정중심복합도시인 S 도시가 건설 중에 있다. S-도시 건설사업은 총사업비 내의 공공부문 사업과 총사업비 외의 민간부문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이 주도하고 민간이 후속적으로 투자하는 민·관 협업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부가 부담하는 공공부문은 S-도시 건설사업을 주관하는 정부기관과 사업시행자가 주관하는 사업으로 부지조성, 교통시설, 공공시설, 문화복지시설 등이며, 민간부문은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하는 도시공급 및 처리시설, 교육시설, 주거시설, 상업시설 등이다.
S-도시 건설사업과 같이 다수의 기관 및 사업자가 참여하는 복합적인 대규모 도시건설에 대한 진행 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을 포함한 전체 도시 시설물에 대한 합리적인 진도율 측정 기준과 진도율 산정 방법이 필요하다. 대규모 건설사업이 진행되는 상황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총사업비 집행율 방식과 사업비를 기준한 공정 진도율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S-도시 건설사업에 이 방법들을 적용할 경우 S-도시 건설을 주관하는 정부기관과 사업시행자의 공공사업만을 대상으로 포함하고 도시공급 및 처리시설, 교육시설, 주거시설, 상업시설 등이 제외되어, S-도시 건설사업의 전반적인 도시 구성 완성 정도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업비를 기준한 진도율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시설물의 물리적 구성 정도 표현이 실제적이지 못하고, 여건 변화에 따라 사업비가 변경될 때에는 진도율도 변경되는 등의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도시 건설사업에서 도시가 완성되는 정도를 실질적이며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시의 주요 시설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분야별 가중치를 선정하고 레벨별 가중치에 대한 집계 및 분석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반영한 S-도시 건설사업에 대한 진도율 관리 사례 연구를 수행하고 정보시스템을 적용하여, 대규모 도시 건설사업에 대한 진도율 관리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구성의 진도율 정보를 관리 수준에 따라 계층화하였으며, 대규모 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시설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산정을 위해서 도시건설 전문가와 사업관리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문제에서 주관적인 평가 내용을 정리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인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사용하였다. 건설사업의 진행에 대한 입력 정보인 계약패키지 수준의 정보에 대해서는 설계, 구매, 시공패키지 등에 실행기성(EV : Earned Value) 개념을 기반한 단계별 관리점(Control Points)을 적용하여 기간별로 해당 업무의 객관적인 진도율을 산정하였다.
제시한 진도율 관리 모델의 활용성 검토를 위해 기 완성된 일부 기초생활권의 주요시설별 실적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기초생활권의 진도율에 따른 주요시설별 진도율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진도율을 참고하여 후속 기초생활권의 주요시설별 진행사항을 비교하고 필요 시 시설별 투자 선후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S-도시 주요 시설별 진도율에 적정한 모듈을 도출하여, 이를 반영한 대규모 도시 건설사업에 관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진도율관리 방안과 정보시스템을 대규모 도시 건설사업 등에 활용한다면 국가 예산의 효율적 활용과 국민의 편의성 증대 등에 기여할 것이며, 또한 해외의 대규모 도시 건설 사업에 본 연구 결과와 진도율 관리 체계를 적용한다면 관련 산업 수출로 인하여 국가 경쟁력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In numer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for purpose such as development and growth of national technological industry, reduction of urban density and population distribution,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infrastructure, relocation of national administrative capital, as well as establishment of multi-purpose complex combining commercial, residential, and leisure spaces, large-scale cities have been recently constructed, or construction projects for such cities are in progress or in planning stages.
In case of Korea, the "S-City," a city conceived and planned based on the Korean government's concept of "Administrative City," is under construc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untry as a decentralizing policy of national government's functions away from massively over concentrated capital region. The S-City project is comprised of the public sector section that is funded by the government's project cost, and the private sector section that is funded by private investment. Overall, the project is structured so that government investment paves the way for private investment to follow. The public sector section of the project,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city grounds, traffic infrastructure, public facilities,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etc., is driven by a government agency for the S-City project and a project developer. The private sector section,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municipal utility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etc. is comprised of numerous private companies and investors.
In order to provide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overall progress of a large-scale city construction project such as the S-City project with multiple agencies, contractors, and other entities a reasonable progress measurement method for accessing all facilities, public and private is critical. Currently, the progress measurement payment method, based on the project cost, and the total cost payment method are used as general methodology for measuring progress of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applying these methods to the S-City project will only measure the progress of the public sector side of the project, and exclude municipal utility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etc. that falls under the private sector side of the project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187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