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철영-
dc.contributor.author손경옥-
dc.date.accessioned2017-07-13T08:27:44Z-
dc.date.available2017-07-13T08:27:44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48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9571-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산업교육과, 2014. 2. 정철영.-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규준 개발 등의 네 가지 단계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성요인 설정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의 구인화 모형을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고 구인화 모형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영역을 교육 지원, 진로 및 취업 지원, 행정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으로 구분하고, 교육 지원 영역에는 교육과정, 수업, 교수의 3개 하위영역을, 진로 및 취업 지원 영역에는 진로 프로그램 및 진로 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의 2개 하위영역을, 행정 지원 영역에는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의 2개 하위영역을, 물리적 환경 영역에는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의 2개 하위영역을 설정하였다. 문항개발 단계에서는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의 하위영역에 대한 개념 정의와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55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1차적으로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54개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2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문항을 수정 또는 제거하여 51개 문항이 예비조사 도구로 개발되었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단계에서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예비조사에서는 전문대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용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본조사에서는 전문대학생 23,5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내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하였고,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규준 개발 단계에서는 측정결과의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집단별 규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성별(남성, 여성), 학년별(1학년, 2학년, 3학년), 계열별(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지역별(대도시, 중소도시) 규준을 작성하였으며, 이때 규준점수로는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T점수)를 활용하였다.
본조사 실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얻어진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문항내적일치도 계수 산출을 통해 이루어진 신뢰도 분석은 α값이 교육 지원 영역은 .957, 진로 및 취업 지원 영역은 .960, 행정 지원 영역은 .936, 물리적 환경 지원 영역은 .925로 나타났으며, 측정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976으로 문항의 동질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 수업, 교수, 진로 프로그램, 진로 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의 9가지 하위영역이 서로 다른 요인으로 묶여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는 교육 지원, 진로 및 취업 지원, 행정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으로 구분되고, 교육 지원에는 교육과정, 수업, 교수 구인이, 진로 및 취업 지원에는 진로 프로그램 및 진로 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 구인이, 행정 지원에는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 구인이, 물리적 환경 지원에는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 구인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서 (1) 개발된 측정도구와 관련 도구 및 변인과의 지속적인 타당화 연구, (2)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보다 명확한 요인구조 형성을 위한 후속 연구, (3) 예언타당도 검증을 위한 관계 연구, (4) 측정결과의 보다 풍부한 해석을 위한 만족도 특성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문제 6
4. 용어의 정의 6

II. 이론적 배경 9
1. 전문대학의 현황과 전문대학생의 특성 9
2.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의 의의 19
3.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영역 34
4. 측정도구 개발 절차 86

III. 연구의 절차 및 방법 93
1. 구성요인 설정 94
2. 문항개발 100
3.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04
4. 규준 개발 110

IV. 연구의 결과 113
1.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구성요인 설정 113
2.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문항 개발 122
3.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28
4.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규준 개발 153

V. 요약, 결론 및 제언 167
1. 요약 167
2. 결론 170
3. 제언 172

참 고 문 헌 173

부록 183
1.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문항 개발을 위한 심층면담 참여 동의서 183
2.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문항 개발을 위한 면담지 184
3. 델파이 자문위원 승낙서 185
4. 1차 델파이 조사를 위한 설문지 186
5. 2차 델파이 조사를 위한 설문지 193
6.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설문지 203
7.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설문지 분석 결과 208
8. 예비조사를 위한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210
9. 예비조사의 1차 요인분석 결과 214
10. 예비조사의 2차 요인분석 결과 216
11.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본조사용) 218
12.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최종 개발안 223
13.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집단별 규준 22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156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문대학생-
dc.subject학교만족도-
dc.subject학교만족도 측정도구-
dc.subject측정도구 개발-
dc.subject.ddc338-
dc.title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ⅷ, 242-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