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Betaine 의 Betaine-Homocysteine Methyltransferase 유도와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에 의한 지방간 억제 : Inhibition of lipogenesis by betaine involves activation of AMPK via upregulation of betaine-homocysteine methyltransferase in live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철-
dc.contributor.author안철원-
dc.date.accessioned2017-07-13T16:39:21Z-
dc.date.available2017-07-13T16:39:21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0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14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예방약학 전공, 2016. 8. 김영철.-
dc.description.abstract지방간의 생성은 고지혈증, 제2형 당뇨 같은 대사증후군 관련 질병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효소는 간 세포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유망한 타겟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 본 실험실 연구에서, homocysteine 을 methionine 으로 remethylation 시키는 과정에서 betaine-homocysteine methyltransferase (BHMT) 의 기질로 사용되는 betaine 을 고지방 식이와 함께 투여 하였을 때, 간 내 지질의 축적이 감소하였다. Betaine 의 투여는 지질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AMPK 와 ACC 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전사인자인 liver X receptor α (LXRα) 와 활성형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betaine 의 투여는 BHMT 단백질 발현을 증가 시켰으며, 간내 homocysteine 농도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BHMT 증가를 통한 betaine 의 homocysteine 저하작용이 간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랫트에게 methionine-choline deficient (MCD) 식이와 함께 1 % betaine 을 식수로 3 주간 투여 하였을 때, betaine 의 투여는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 하였다. MCD 식이를 공급한 랫트의 간에서 BHMT 단백질 발현은 감소하고 homocysteine 농도는 증가하였다. Betaine 병용투여는 MCD 식이에 의한 homocysteine 농도증가를 정상화시켰다. 또한 AMPK, ACC, SREBP-1c 그리고 LKB1 의 단백질 인산화는 MCD 식이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betaine 의 공급에 의해 회복 또는 증가하였다.
동물실험결과를 바탕으로 betaine 의 투여가 AMPK 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HepG2 세포주와 H4IIE 세포주에서 연구하였다. HepG2 세포주에서 betaine 의 처리는 AMPK 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BHMT 가 발현되는 H4IIE 세포주에서 betaine 의 처리는 BHMT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내 homocysteine 의 농도를 감소시켰다. H4IIE 세포주에서 betaine 의 처리는 AMPK, ACC, 그리고 SREBP-1c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반면 HepG2 세포주에서 homocysteine 의 처리는 AMPK, ACC, SREBP-1c, 그리고 LKB1 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AMPK 의 activator 로 알려져 있는 metformin 의 처리는 HepG2 세포주에서 AMPK, ACC 그리고 SREBP-1c 의 인산화를 증가시켰고, 이는 metformin 과 homocysteine 병용처리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Cystathionine β synthase (CβS) 의 저해제인 hydroxylamine (HA) 을 HepG2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CβS 단백질 발현 감소와 homocysteine 농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HA 1 mM 투여는 AMPK, ACC 그리고 SREBP-1c 의 인산화를 감소 시켰다. 그러나 H4IIE 세포주에서 homocysteine 의 전처리는 BHMT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내 homocysteine 농도를 증가시켰다. Homocysteine 과 betaine 의 병용처리는 BHMT 효소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내 homocysteine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homocysteine 과 betaine 의 병용 처리는 homocysteine 에 의해 감소한 AMPK, ACC 그리고 SREBP-1c 의 인산화를 회복 또는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랫트에 대한 MCD 식이 투여와 hepatoma cell line 대한 homocsyteine 의 직접적인 처리로 인한, 간세포 내의 homocysteine 농도의 증가는 직접적으로 AMPK 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지질합성을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betaine 에 의한 지질생성 억제효과는 간에서 BHMT 의 유도를 통해 homocysteine 의 제거를 촉진함으로써 AMPK 활성화를 유발함으로써 일어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에서 homocysteine 농도증가에 의해 AMPK 의 활성화가 저해됨을 밝힌 첫 번째 연구라는 것에 큰 의미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실험결과는 betaine 의 지질생성 억제 효과는 BHMT upregulation 을 통해 homocysteine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1
1. 비알코올성 지방간 12
2. 황함유 아미노산 대사 14
3. Betaine 18
4. AMPK 26
5. 연구 목적 31

실험재료 및 방법 33
1. 실험재료 33
1. 시약 및 화학물질 33
2. 항체 34
2. 동물 실험 35
1.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모델 35
2. 혈장의 분리 35
3. 간의 S9 분획의 분리 37
4. Methionine 함량측정 37
5. SAM 및 SAH 함량측정 38
6. Homocysteine 함량측정 38
7. 단백질 함량 측정 39
8. 단백질 발현 측정 40
9. 조직 중 중성지방 함량 측정 41
10. Oil red O staining 41
11. 혈액 중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42
3. 세포 실험 42
1. 세포 배양 42
2. 세포의 total whole lysate 분획의 분리 43
3. 세포내 homocysteine 함량 측정 43
4. 세포의 단백질 함량 측정 43
5. 세포내 단백질 발현 측정 44
4. 통계 처리 44

결과 45
PART Ⅰ. MCD 식이 공급에 의한 지방간 생성과 betaine 의 영향 45
PART II. 간세포에서 AMPK 활성화에 대한 betaine 과 homocysteine 의 영향 55

고찰 72

결론 82

참고 문헌 83

Abstract 10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080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비알코올성 지방간-
dc.subjectBetaine-
dc.subjectHomocysteine-
dc.subject.ddc615-
dc.titleBetaine 의 Betaine-Homocysteine Methyltransferase 유도와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에 의한 지방간 억제-
dc.title.alternativeInhibition of lipogenesis by betaine involves activation of AMPK via upregulation of betaine-homocysteine methyltransferase in liver-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10-
dc.contributor.affiliation약학대학 약학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