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 인식에 대한 한중일 비교문화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선우

Advisor
이유리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외모의 아름다움사회적 비교사회적 경쟁사회적 성미적 가치미적 경험비교문화연구근거 이론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3. 8. 이유리.
Abstract
현대 사회에 있어 아름다운 외모는 신체적 특성을 넘어 개인의 자아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사회적 경쟁력을 획득할 수 있는 요소가 되었다. 특히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은 왜곡된 사회적 고정 관념에 영향을 받아,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한정시키고 여성의 자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이 문화적 맥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전제 하에, 한중일 문화권의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문화적 접근을 통해, 본 연구는 한중일 문화권의 여성이 인식하는 외모 아름다움의 개념과 외모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포괄적 구조를 밝혔다. 더불어 외모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힘으로써, 세 문화권의 문화적 패턴을 검증하고 나아가 비교문화연구의 새로운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인지심리학과 미학의 관점을 접목시켜, 여성의 외면적 특성과 형상으로 인해 특정한 사회문화의 구성원에게 인식되는 주관적이고 감각적인 미적 가치라는 외모 아름다움의 정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외모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과정으로 확대시켜,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에 영향 미치는 사회문화적 특성, 외모의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기준, 외모의 아름다움을 통해 추구하는 미적 가치, 외모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결과인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과 태도, 외모 관리 행동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의 수집을 위해 2012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한국, 중국, 일본의 2,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FGI는 한국 3회, 중국 4회, 일본 3회로 총 10회가 시행되었으며, 총 60명의 한중일 여성이 FGI에 참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활한 FGI의 진행과 비교문화연구의 등가성 확보를 위해, FGI 참가자들이 스스로 자극물을 개발하였다. 자극물은 참가자가 속한 문화권에서 일반적으로 아름답다고 인식되는 국가적 미인과 참가자가 개인적으로 아름답다고 인식하는 개인적 미인의 사진 이미지로 구성되었으며, 총 256개의 자극물 이미지가 수합되었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일 여성의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은 한중일 세 문화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외모의 아름다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의 맥락적 조건, 외모의 아름다움 인식의 기준, 외모 아름다움의 미적 가치, 외모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 외모 아름다움에 대한 태도, 외모 관리 행동의 총 6개의 패러다임 요소로 구성되었다. 6개의 패러다임 요소는 각각의 문화권에 따라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한중일 문화권에서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을 통해 추구하는 미적 가치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밝혀졌다. 세 문화권의 보편적 미적 가치는 진정성의 아름다움이었으며, 특수적 미적 가치는 사회적 경쟁의 강도와 투사와 내사의 사회적 비교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국은 강한 사회적 경쟁과 내사의 사회적 비교 성향을 기반으로, 사회적 기준에 부합하는 외모를 통해 사회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우월한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다. 중국은 약한 사회적 경쟁과 내사의 사회적 비교 성향으로 인해, 사회적 기준에 부합하는 아름다운 외모를 추구하되 꾸준한 자기 관리를 통해 향상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발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다. 일본은 강한 사회적 경쟁과 투사의 사회적 비교 성향을 기반으로, 타인과 구별되는 개성적 아름다움을 통해 사회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개성적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다.
셋째,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조건의 경우, 미의식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요소와 관련이 없는 요소로 구분되었다. 미의식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요소는 미디어의 영향력, 획일화된 미의식, 전통미에 대한 자부심, 여성의 노화에 대한 인식 등이 언급되었다. 한중일 세 문화권 모두에서 미디어가 외모 아름다움의 인식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각각의 문화권 별 특성의 경우, 한국에서는 젊은 여성의 외모 선호와 여성 외모의 대한 사회적 고정 관념이, 중국에서는 원숙한 여성미에 대한 인정과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다양한 기준이 발견되었다. 일본에서는 전통미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서구적 아름다움이 양립하여,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확대되어 있었다. 미의식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요소는 가부장적 문화, 아름다운 외모의 사회적 권력화, 여성의 사회적 지위, 문화의 다양성 등이 언급되었다. 한국에서는 가부장적 문화의 영향으로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제한적이었으며, 아름다운 외모의 사회적 권력이 강하였다. 중국에서는 여권 신장의 영향으로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다변화되고 가정 내 양성 평등이 확대되었다. 일본에서는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였으며,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으로 개인의 사생활을 존중하였다. 또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문화 역시 함께 발견되었다.
넷째, 외모의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조건의 경우, 세 나라 모두에서 서구적이고 현대적인 외모와 함께 전통적인 외모가 선호되었으며, 신체 여러 부위간에 균형과 조화가 아름다운 외모의 조건으로 언급되었다. 외모의 게슈탈트적 이미지는 각 문화권 별로 차이를 보여, 한국에서는 가부장적 문화에 영향을 받은 현모양처 이미지가, 중국에서는 여권 신장의 영향을 받은 독립적이고 당당한 이미지가, 일본에서는 개성 추구의 영향으로 다양한 이미지가 동시에 선호되었다.
다섯째, 한중일 세 문화권의 여성들은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을 느끼고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름다운 외모를 위한 외모 관리 행동을 시행하고 있었다.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과 태도는, 본인의 외모, 미인, 외모 관리, 성형, 노화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의 경우, 한국 여성들은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강박과 스트레스로 인해 강한 양가 감정을 느끼고 있었으며, 중국 여성들은 외모에 대한 주체성을 기반으로 대부분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일본 여성들은 감정 표현을 자제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이 미인, 외모 관리, 성형에 국한되었다.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태도의 경우, 한중일 세 문화권 모두에서 본인의 외모에 대해 자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여성들은 외모에 대한 강박으로 인해 미인과 성형에 대해 양가적 태도를 보였으며, 중국 여성들은 외모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기반으로 성형을 제외한 대부분의 범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일본 여성의 경우, 타인을 의식하는 문화와 개성을 추구의 욕구로 인해 외모 관리와 아름다운 외모에 대해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최종 결과인 외모 관리 행동에 있어 세 문화권 모두에서 성형, 화장, 패션, 피부 관리, 외모 이외의 능력 개발의 범주가 나타났으나, 각 문화권 별로 주력하는 전략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 여성들은 단기간에 외모를 바꿀 수 있는 성형과 체중 관리에, 중국 여성들은 독립적인 여성상을 위해 건강 관리에, 일본 여성들은 개성적 아름다움을 위해 패션과 화장에 주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이 객관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아닌 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적 산물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유사한 문화적 특성을 갖고 있다고 간주되어 온 한국, 중국, 일본의 각기 다른 문화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한중일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외모 아름다움의 미적 가치는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경쟁의 문화적 패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경쟁은 외모의 아름다움뿐만이 아닌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문화연구의 새로운 분석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포괄적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여,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유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각 문화권 별로 밝혀진 패러다임 요소간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혔다는 점에 주목할 만 하다.
Physical beauty affects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self-conception and increases social competitiveness in modern society. Womens physical beauty especially limits womens social roles and reinforces their negative self-conception influenced by distorted social stereotypes. This study investigated womens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with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the condition that the perception of womens physical beauty is affected by cultural contexts. Through this cross-cultural approach, this research determined the concept of physical beauty and suggested the comprehensive paradigm of the physical beautys perception. Additionally, this study verified cultural pattern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and proposed the original analytical framework in the cross-cultural research area through examining cultural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womens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In combination with constructivism and aesthetics, this research generated and applied the definition of womens physical beauty
the subjective and sensual aesthetic values perceived by members of a particular socio-cultural group through womens physic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is definition, this research extended a research object into the perception process of physical beauty.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ocio-cultural context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the aesthetic values pursuing through physical beauty, and the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which were emotions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beaut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For data collec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from February 2013 to July 2013. A total of 10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with 18 Korean females, four with 25 Chinese females, and three with 17 Japanese females.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group dynamics and retaining the equivalence of a cross-cultural study, this research employed stimuli which were developed with images of beauties bought by FGI participants.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3 steps of the grounded theor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adigm model which comprehensively explained the perception of womens physical beauty was determined. The paradigm model was commonly appli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and was composed of six dimensions: the socio-cultural contexts influencing physical beauty perception, the perception criteria of physical beauty, the aesthetic values of physical beauty, the emotions toward physical beauty, the attitudes toward physical beauty, and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se six dimensions showed cultural university and specificity depending on each culture.
Second, this research discovered the cultural university and specificity of the aesthetic values through womens physical beauty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The universal aesthetic value of three cultures was authentic beauty, and the specific aesthetic values were diverse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social competition and the standard of the social comparison. On the basis of the strong social competition and introjection, Korean culture pursued the superior beauty which accelerated the advantage in social competition through physical attractiveness coinciding with social stereotypes. Based on the weak social competition and introjection, Chinese culture pursued the improvement beauty which focused on the self-advanced process with constant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strong social competition and projection, Japanese culture sought the individual beauty which facilitated the social competitiveness through personal originality.
Third, socio-cultural context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wer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relevant to this area directly and indirectly. The categories directly relevant were composed of the media effect, standardized beauty criteria, pride of traditional beauty, and the perception of womens aging. The media strong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beauty in the all three cultures. In each cultural context of Korean culture, young womens physical appearance was preferred and the social stereotype of womens appearance strengthened. In the Chinese culture, the womens maturity was respected, and diverse beauty criteria were accepted. In Japanese culture, pride of traditional beauty coexisted with the preference of westernized beauty, and the standard of womens physical beauty was diversified. The categories indirectly relevant to physical beauty perception were composed of patriarchal culture, social competitiveness of physical attractiveness, womens social position, and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culture, womens social positions were restrictive due to the patriarchal culture, and the social competitiveness of physical attractiveness had powerful influences on individual lives and social achievements. In Chinese cultures, womens social position was expanded, and domestic gender equality strengthen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In Japanese cultures, privacy of individuals was protected and cultural diversity was encouraged on account of the diffusion of individualism, and consciousness of others surveillance was also existed.
Fourth, all three cultures preferred both westernized and traditional appearances as the perception criteria of physical beauty. In addition, balanced and harmonious figures were pursued as the condition of the standard acceptance of a beautiful appearance. Gestalt images of a physical appearance were different from all three cultures. A good wife and smart mother image influenced the patriarchal culture in Korean culture, an independent image influenced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in Chinese culture, and diverse kinds of images affected by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were preferred.
Fifth, wome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felt emotions and determined attitudes towards physical beauty and established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strategies as the result of perception of womens physical beauty. Emotions and attitudes towards physical beauty were composed of five categories which were their own physical appearance, beauty,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cosmetic surgery, and aging. In the emotions of physical beauty, Korean women felt ambivalent emotions due to the social anxiety and stress over physical beauty, and Chinese women mostly felt positive emotions on the basis of the independence of their own appearance. In contrast, Japanese womens emotions toward physical beauty were restrictive on account of the social atmosphere which required them to suppress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attitudes of physical beauty, all three cultures women were satisfied with their own physical appearance. Korean women define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beauty and cosmetic surgery because of the social anxiety over physical beauty, and Chinese women maintain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almost the whole category, except cosmetic surgery by reason of the independence of their own physical appearance. Japanese women demonstrated ambivalent attitudes towards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and physical beauty on the ground of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and the consciousness of other peoples surveillance. The dimension of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which was the final result of the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presented six categories in all three cultures: cosmetic surgery, make-up, fashion, skin care, weight control, and faculties development except physical appearance. However, the main categories in each culture were different. Korean womens cosmetic surgery and weight control for the drastically changed physical beauty in short period, Chinese womens health care for the independent womens image, and Japanese womens fashion and make-up for the individual beauty were the main strategies for physical appearance management.
As discussed thus far,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perception of womens physical beauty which was not the constant concept objectively, but the cultural product influenced by cultural contexts subjectively. Furthermore, the cultural comprehens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which had been considered to have similar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intensified with the detection of cultural diversification in these three cultures. Aesthetic values of physical beauty suggested by this research were especially influenced by the cultural patterns of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competition. Moreover,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competition could be the new analytical framework in cross-cultural research by the reason of their cultural effects on the diverse socio-cultural phenomenon. Additionally,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discovered the comprehensive paradigm model of physical beauty perception based on the definition of physical beauty and verified the organic relations of the physical beauty perception. It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that this research demonstrated cultural university and specialty toward the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affected by cultural contexts with organic relations of paradigm dimensions in each cult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2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