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요인 비교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민선

Advisor
김민자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패션디자이너창의성인지적 능력매력 자본패러다임패션 현장패션 시스템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3. 8. 김민자.
Abstract
혁신, 새로움, 변화를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패션에서 창의성은 경쟁력의 근원이고 가장 중요한 열쇠이다. 21세기 정보 통신의 발달은 신소재와 신기술의 공유를 가져와 패션 제품 간의 기술 격차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표준화된 패션 상품들의 홍수 속에서 패션디자이너의 예술의지와 상상력이 더해진 창의성이 차별화의 핵심요소로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에 새로움을 가져오는 패션디자이너들의 창의성 발현요인을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 Csikszentmihalyi)와 하워드 가드너(H. Gardener)의 통합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패션디자이너의 개인적인 특성과 재능과 함께 패션 영역 내에서 사회·문화 체계에 반응하고 예술의지와 철학을 표현하는 방식, 새로운 디자인의 가치가 평가하는 현장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폭넓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일반적 고찰을 바탕으로 패션디자이너 창의성을 정의하고 분석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을 패션 시스템에 속해있는 패션디자이너가 패션이라는 상징체계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새롭고 유용한 산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동시대의 현장에서 새로움과 유용성을 인정을 받고 패션 영역에 포함될 때 발휘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요인을 개인, 패션 영역, 패션 현장으로 나누어 세부요인을 밝혔다. 패션디자이너의 개인적 요인은 인지적 능력(기술, 교양, 사회성), 비인지적 능력(성격적 특성, 매력자본), 사회·심리학적 요인(가족, 성적 정체성, 결혼, 건강)이다. 패션 영역의 창의성 발현요인은 패션디자이너의 주요 창작품과 패션의 사회·문화적 맥락인 시대정신, 사회구조, 기술적 측면과의 상호 작용과 디자이너의 창조물이 영역의 일부로 편입되는 패러다임이었다. 패션 현장은 패션산업에서 일을 하거나 패션 창조에 영향을 주는 문지기들로 패션 에디터, 바이어, 패션 교육자, 패션디자이너, 투자자, 비즈니스 파트너, 패션모델, 고용인, 패션 큐레이터 등 패션업계 종사자들과 패션 선도자로 구성되었다.
둘째, 앞서 개발한 패션디자이너 창의성 분석의 모형을 이용하여 오트쿠튀르·프레타포르테·글로벌 패션 시대의 창의적 패션디자이너 9인의 사례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브리엘 코코 샤넬(Gabrielle "Coco" Chanel)은 사회성, 기술의 인지적 능력, 야망성, 독립성의 성격적 특성, 매력 자본의 소유자로 여성의 종속적인 존재로 머물게 하는 과시적인 패션에 반발해, 남성복의 실용성을 도입한 기능주의 패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다수의 애인, 아방가르드 예술가 집단, 미국의 패션 에디터와 바이어가 창의성 발현을 지지하였다. 크리스토발 발렌시아가(Cristóbal Balenciaga)는 뛰어난 입체표현(3D) 지능에 성실성이라는 성격적 특성이 합해져 현대 패션의 대부분의 실루엣을 창조하였다. 상업주의를 거부하고 순수한 형태미 구현에 몰두한 발렌시아가의 혁신적인 의복구성 형태는 패션 에디터, 동료 디자이너의 열렬한 지지를 받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다. 크리스찬 디오르(Christian Dior)는 사회성, 교양, 기술 등의 고른 인지적 능력의 소유자로 개방성과 감수성의 성격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전쟁 후 패션의 침체기에 현실도피적인 로맨티시즘 의상의 패러다임을 창조해 오트쿠튀르 전통을 부활시켰다. 라이선스 사업, 기성복 사업 등 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상업주의를 추구하였고 예술가 집단, 패션 언론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다.
입 생 로랑(Yves Saint Laurent)은 기술, 사회성, 교양의 인지적 능력, 감수성, 개방성의 성격적 특성, 높은 매력 자본의 소유자를 지녔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남성복, 스트리트 패션, 예술 작품, 각국의 전통의상에서 영감을 받은 폭넓은 작품 활동으로 현대 패션의 모든 스타일을 창조하였다. 패션 언론, 비즈니스 파트너의 지원을 받았으며 수많은 후대 디자이너의 추종을 받았다.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는 사회성, 교양, 기술의 높은 인지적 능력, 개방성의 성격적 특성, 뛰어난 사회적 표현력이라는 매력 자본을 가졌다. 패션 시스템 변화에 따라, 프레타포르테 업계에 진출하고, 샤넬 쿠튀르 하우스를 이끄는 등 기존 디자인하우스의 고유성에 새로움을 가미하는 패션 용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낳았다. 감각 있는 젊은 예술가 집단에게 영감을 얻어 시대정신을 파악하며 패션 선도력을 유지하였다.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는 기술, 교양의 인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성이라는 성격적 특성을 토대로 기존의 트렌드에 반발, 펑크 패션, 역사주의 의상을 기반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나았다. 매력 자본의 소유자로 자신의 스스로가 디자인하우스의 뮤즈가 되었다. 부티크 디자이너 시절에는 젊은이 집단의 지지를 받았고 하이패션 디자이너로 성장한 후에는 패션 에디터, 패션 큐레이터 등에게 인정을 받았다.
미우치아 프라다(Miuccia Prada)는 교양, 사회성의 인지적 능력에 개방성의 성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착용하기 좋은 옷을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 1990년대 이후 미니멀리즘, 잇백 열풍, 지적인 엘리트층을 위한 어글리 시크(Ugly Chic)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비즈니스 파트너인 남편으로부터 정서적, 인지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패션 에디터들의 지지를 받았다.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은 기술, 교양, 사회성의 인지적 능력과 감수성, 독립성의 성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민한 감성과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서전적인 표현주의 패션을 선보였으며 패션쇼의 행위예술화를 통한 감정 전달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였다. 그는 영국의 전위적인 현대 미술가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창작품들은 패션 에디터들의 주목을 받았다.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는 사회성, 교양의 인지적 능력, 개방성, 감수성의 성격적 특성을 갖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 활력, 사회적 기술 등 매력 자본의 소유자로 대중의 팬을 거느리고 있다. 대중문화, 중고의류, 팝 뮤직에서 영감을 받아 그런지 룩을 창시하였으며, 대담한 차용을 통한 전위적이면서 입기 쉬운 패션, 패션디자이너의 엔터테이너화 등의 패러다임을 창조하였다. 패션 에디터, 현대 미술가, 글로벌 그룹, 패션모델, 대중, 등의 지지를 받아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다.
셋째, 현대 패션 시대의 창의적 패션디자이너 9인의 사례연구를 통해 고찰한 창의성 발현요인을 개인, 영역, 현장 별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적 요인 중 디자이너의 인지적 능력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강조되는 것에 차이가 있었다. 오트쿠튀르 시대는 기술이, 프레타포르테 패션 시대에는 기술, 교양, 사회성이 글로벌 패션 시대는 중요한 것은 옷 자체가 아니라 아이디어로 스토리텔링 하는 교양과 사회성이 강조되었다. 전 시대를 관통하는 디자이너의 중요한 개인적 요인은 매력자본으로 디자이너들은 타고난 외모, 성적 매력, 활력, 개성 있는 패션 센스, 사교술 등을 이용하여 패션 현장을 매혹시켰다. 이밖에 사회심리학적 상황 중 특이사항은 모든 남성 패션디자이너들이 동성애자였다는 점이 있다.
패션 영역의 창의성 요인을 살펴보면, 패션디자이너들은 오트쿠튀르 하우스의 수습생활, 전문 패션 교육 등을 통해서 패션 영역 지식을 익히고, 현존하는 이데올로기에 반발하거나 적극 동조하면서 새로운 산출물을 제시하였다. 9인의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산출물은 패션 에디터, 바이어, 패션 선도자들의 지지를 받아 다시 영역으로 편입되어 패션 영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었다. 패러다임은 가브리엘 코코 샤넬(Gabrielle "Coco" Chanel)의 기능주의 패션과 같은 패션사조와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의 옛 디자인하우스 부활 등과 같은 패션 관례를 포함한다. 패션은 이익을 창출해야하는 산업의 산물로, 디자이너의 상업주의에 갖는 관점은 창의적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입 생 로랑(Yves Saint Laurent),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 미우치아 프라다(Miuccia Prada),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는 고유 스타일보다는 시대의 분위기에 주목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스타일을 제안하고 트렌드 세터로 자리매김하였다. 크리스토발 발렌시아가(Cristóbal Balenciaga),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등은 기술력이 뛰어난 디자이너들로 창조의 영감을 자신의 기술에서 찾고 일관성 있는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모든 패션디자이너들은 패션 영역의 정보와 기술력이 밀집되어 있는 주요 패션 도시로 이동함이 확인되었다.
패션 현장에서 전 시대를 걸쳐 패션디자이너의 성공의 중요한 열쇠가 된 문지기는 패션 에디터였다. 패션디자이너들은 사회성과 매력자본을 무기로 삼아 패션 에디터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였다. 가브리엘 코코 샤넬(Gabrielle "Coco" Chanel)과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는 독설,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은 전위적인 패션쇼, 입 생 로랑(Yves Saint Laurent)과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는 사생활, 미우치아 프라다(Miuccia Prada)는 예술 재단 운영으로 항상 언론의 관심을 받으면서 디자인하우스를 대중에게 각인시켰다. 오트쿠튀르 시대와 프레타포르테 시대의 디자이너들은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아 디자인하우스를 열었다. 글로벌 패션시대에는 전 세계 마켓 상대로 사업을 진행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거대 복합기업들이 중요한 투자자가 되었다. 이 밖에 패션 전시가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프레타포르테 시대와 글로벌 패션 시대에는 패션 큐레이터라는 문지기가 추가되었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 Csikszentmihalyi)와 하워드 가드너(H. Gardener)의 이론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현대패션디자이너 9인의 사례연구를 진행한 결과 패션을 둘러싼 사회·문화 맥락 속에서 패션디자이너 개인은 문제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제시하고, 수많은 산출물들이 패션 현장이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다시 의미 있는 패션 문화로 창출됨을 확인하였다. 패션디자이너는 창의성 발현을 위해서 사회성, 교양, 기술 등 인지적 능력을 키우고, 패션 영역의 정보가 응집되어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적극적으로 패션 현장과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In fashion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values of innovation, newness and a change, 'creativity' is the source of competitive power as the most important key. Development of the 21st info-communications caused sharing of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outstandingly lessening a technological gap among fashion products. In a flood of standardized fashion products, creativity along with art will and imagination of a fashion designer is being emphasized as the key element of differentiation.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on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presenting fashion the new centered on integrated perspectives of M. Csikszentmihalyi and H. Gardener. Together with fashion designers' domain characteristic and talent, this study presents a broad analysis centered on the method responding to sociocultural systems in the fashion domain and expressing art will and philosophy, and relationship with the field evaluating value of a new design.
Research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defined creativity of fashion designers and developed an analytic model based on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creativity. It gave a definition on the creativity of fashion designers as 'a competence a fashion designer belonging to the fashion system can create a new and useful product based on knowledge of the symbolic system of fashion, revealed when winning recognition of newness and usefulness in the contemporary field with inclusion into the fashion domain. Influencing factors of fashion designers were subdivided into person, fashion domain and the fashion field. Personal factors of fashion designers contain cognitive abilities(skill, culture, sociality),non-cognitive abilities(character, Erotic Capital), social·psychological factors(family, sexual identity, marriage, health). Influencing factors of creativity in the fashion domain could be mentioned as interaction between fashion designer's main creation and Zeitgeist, social structure, technology of the social cultural context of fashion, as a paradigm designer's creation is incorporated into part of the domain. Fashion field is composed of fashion workers and leaders including a fashion editor, buyer, fashion educator, fashion designer, investor, business partner, fashion model, staff as gatekeepers who are working in the fashion industry or influencing on the fashion creation.
Secondly, using an analytic model of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developed alrea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about 9 creative fashion designers of Haute Couture·Pret-A-Porter in the global fashion 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person having characters of sociality, cognitive competence for technology, ambition, independence with Erotic Capital, Gabrielle "Coco" Chanel suggested a new paradigm of the functionalist design introducing practicality of men's wear while resisting the conspicuous fashion that makes women dependent. A lot of lovers, avant garde artist groups, American fashion editors and buyers supported revelation of creativity. Cristóbal Balenciaga, along with excellent cubic expression(3D) intelligence and sincere character, created most of silhouette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An innovative clothing construction of Cristóbal Balenciaga, rejecting commercialism and concentrating on realization of pure formative beauty, was established as a new paradigm under enthusiastic support from fashion editor and colleagues. Equipped with cognitive capabilities including sociality, refinement and skills, Christian Dior had character of openness and sensibility. He created a paradigm of romantic clothing having a property of escapism in the fashion recession after the war and revived a tradition of Haute Couture. Through business diversification including licensing and a Pret-A-Porter enterprise, he pursued commercialism, supported by artist groups and fashion press.
Yves Saint Laurent had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skills, sociality and culture, character of sensibility and openness and higher Erotic Capital. Together with the flow of the age, he created every style of the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various works inspired by men's wear, street fashion, art works and traditional costumes of many nations. He was supported by fashion press, business partners and followed by numerous designers of future generations. Karl Lagerfeld has higher cognitive abilities of sociality, culture and skills, character of openness and Erotic Capita of outstanding social presentation. With the change of the fashion system, he created a new paradigm of the brave fashion soldiers that added newness to the uniqueness of the existing design house while advancing into Pret-A-Porter industry and leading House of Chanel. Inspired by young sensuous artist groups, he understood the spirit of Zeitgeist and maintained fashion leadership. Vivienne Westwood has cognitive capabilities of skills and culture, and character of independence. She created a new paradigm of the postmodernism fashion based on the punk fashion and costumes of historicism while resisting the existing trend. As a person having Erotic Capital, she was supported by youngsters when working as a boutique designer. After growing up as a high fashion designer, she was supported by fashion editors and curators.
Miuccia Prada has cognitive abilities of refinement and sociality with character of openness. Thinking much of making clothes easy to wear, since 1990s, she's suggested a new paradigm of minimalism, fever of it bag and 'Ugly Chic' for intelligent elites. With the emotional and cognitive supports of her husband, a business partner, she's also supported by fashion editors. Alexander McQueen had cognitive abilities of skills, culture, sociality and character of sensibility and independence. Based on the keen sensitivity and brilliant technical skills, he presented an autobiographical fashion of expressionism and created a new paradigm of transmitting feelings by converting a fashion show to the performance. He was influenced by avant-garde contemporary artists in Britain, attracting attention from fashion editors. Marc Jacobs has cognitive abilities of sociality, refinement and character of openness and sensibility. As a person having Erotic Capital including beauty, vivaciousness and energy, social attractiveness, he has fans from the masses. He created a grunge look inspired by pop culture, pop music and secondhand clothes with a paradigm of fashion avant-garde but easy to wear through daring borrowing and turning a fashion designer into an entertainer. With the support of fashion editors, contemporary artists, global groups, fashion models including the general, he's winning a commercial success.
Thirdly, influencing factors of creativity, identified through case studies of 9 creative fashion designer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period, were analyzed by person, domain and fiel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personal factors, cognitive abilities of a designer were given different emphasis according to the times. Skills were emphasized in the age of Haute Couture and culture and skill in the Pret-A-Porter age. Global fashion age gave emphasis on culture and sociality for storytelling, making much of ideas rather than clothing itself. As for designers, the important personal factor penetrating every period is Erotic Capital. Designers have fascinated the fashion field using innate beauty, sexual attractiveness, vivaciousness and energy, characteristic fashion sense and sociality.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ocial psychological situation, particularly every male designer was homosexuals.
As the result of examining factors of creativity in the fashion domain, fashion designers cultivated the fashion domain knowledge through apprenticeship at the Haute Couture House and professional fashion training, and suggested a new product while resisting or following the existing ideology actively. Creative products of 9 fashion designers were incorporated again into the domain with the support of fashion editors, buyers and fashion leaders, becoming a new paradigm of the fashion domain. Paradigms contain fashion trends like the functionalist fashion of Gabrielle "Coco" Chanel and fashion practices like revival of the old design house. Fashion is an industrial product for making a profit, so designers' perspective to commercialism has an important effect on creative activities. Yves Saint Laurent, Karl Lagerfeld, Miuccia Prada, Marc Jacobs, taking notice of the periodic atmosphere rather than of the unique style, suggested a new style every season and became a trend-setter. As designers having outstanding technical skills, Cristóbal Balenciaga, Vivienne Westwood, Alexander McQueen discovered inspiration for creation from their skills and showed the consistent work world. Furthermore, it was identified that every fashion designer moved to the main fashion cities information and technical skills of the fashion domain are centralized.
In the fashion field all over the ages, a gatekeeper who became a key of fashion designers' success, was a fashion editor. Having sociality and Erotic Capital as a weapon, fashion designers communicated with fashion editors actively. Gabrielle "Coco" Chanel and Karl Lagerfeld always dominated press headlines for a venomous tongue, Alexander McQueen for the avant garde fashion show, Marc Jacobs and Yves Saint Laurent for privacy and Miuccia Prada for the art foundation operation, making the public aware of the design house. In the age of Haute Couture and Pret-A-Porter, designers opened a design house attracting funding from private investors. In the global fashion age, as business targeting global markets requires enormous expenses, conglomerates became important investors. In addition, with a new cultural phenomenon of the fashion exhibition, in the Pret-A-Porter and global age, a gatekeeper of a fashion curator was added.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of 9 creative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based on theories of M. Csikszentmihalyi and H. Gardener. As the result, it identified that a person, fashion designer, finds out a problem and suggests a new product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fashion. Also, numerous products are recreated as the meaningful fashion culture through a process fashion field evaluates. It shows that fashion designers should cultivate cognitive abilities of sociality, culture and skills for revelation of creativity, move to the place information of the fashion domain is aggregated and interact with the fashion field activel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2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