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과 정체성: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진성-
dc.contributor.author이선형-
dc.date.accessioned2017-07-13T16:53:41Z-
dc.date.available2017-07-13T16:53:41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8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36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13. 8. 정진성.-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과 정체성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단일민족국가라 일컬어지던 한국사회에서 결혼이민자의 등장은 국가/민족 관념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는 이 여성들이 한국 사회에서 어머니로서, 이주민으로서 일상을 살아가는 매 국면에서 기존의 지배 담론에 저항, 공모, 협상의 과정을 통해 구축된다.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에 대한 연구는 인구학적 관심에서 임신·출산 지원에 관한 것이거나 이들의 모성에 대한 특혜가 한국 이주 정책의 가부장성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한국인 배우자와의 사이에서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체류권, 사회권의 허용은 다른 이주민에 대한 권리 부여와 비교해 볼 때 훨씬 유연하게 적용된 것은 사실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비판에 동의하지만 이것은 여전히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의 핵심적인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이야말로 지구화시대 여성 정체성의 변동을 추적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고리이며, 그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에서 모성과 정체성에 대한 서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한 연구과제로 삼았다.
먼저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어머니가 되어가는(becoming)가를 살펴보았다. 이들이 어머니가 되는 과정은 자신을 재생산 권리의 주체로 세우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이며, 자신이 자녀를 양육할 자격과 능력이 있음을 법적으로 입증해야 한다. 법적 인정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자신이 좋은 어머니라는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 자신의 모성에 대한 평가이기도 한 좋은 어머니 이야기는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에 대한 외부의 시선에 대한 수용, 공모, 저항의 결과 구성되는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모성 실천(mothering)은 한국 사회의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와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면서 이들의 돌봄 네트워크가 초국적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아시아 지역에서 결혼이주가 여성의 이주 방식의 하나로 자리잡으면서 이 여성들의 형제·자매에게서도 결혼이주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같은 초국적 가족의 형성은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친족망의 형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들이 이혼에 직면하였을 때 이들의 모성 수행은 훨씬 더 취약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본국 가족과의 국제적 분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초기 양육기에 자녀를 본국에서 양육한다거나 이혼 소송 중 생계와 자녀 돌봄의 양립이 불가능하여 본국 가족에 자녀를 잠시 보내기도 한다. 혹은 본국 가족에서 가족원이 한국으로 돌봄 노동을 위한 이주를 하기도 한다. 결혼이주여성이 이같은 모성실천을 기획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에 대한 지원이 정상가족을 유지하고 있는 모성에 대한 지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혼 시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여성에 대한 지원은 생계와 돌봄의 책임을 맡고 있는 여성에 대한 지원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같은 모성실천을 수행하고 있는 여성들에게 어머니됨(motherhood)과 국민됨(nationhood)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을까. 한국인의 자녀를 낳아 한국 국적을 취득한 이 여성들은 스스로를 한국인으로 생각하는가 출신국의 국민(민족)으로 생각하는가. 결혼이주여성들의 모성과 정체성에 대한 서사는 혈통적 운명공동체로서의 한국인과 집합적 시민으로서의 한국인이 구별되지 않은, 단일민족으로서의 한국인 신화에 균열을 낸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국적을 취득하기를 희망하는 것은 한국인으로 동화되기를 바라는 열망이라기보다는 한국 사회의 온전한 성원권을 얻고자 하는 바람이요, 가족에 대한 소속감이자 사회적 인정의 지표가 된다.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어머니됨은 이들의 이동성과 불안정한 신분에 대한 보증이자 고정핀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을 통해 지구화 시대 국가/민족과 젠더 정치학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모성 경험은 지구화 시대 국민 정체성에 성차가 기입되는 과정이다. 다른 민족 남성과의 결혼을 통해 자신의 국적/인종/민족과 다른 자녀의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여성의 입장에서 국민 개념을 재정의할 것을 요구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을 통해 그 점을 밝혀내었다.
다른 한 편 이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구술생애사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수집과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데에서 방법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경험에 대한 구술자의 해석이기도 한 생애사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스토리라인과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구술 내용에 대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및 이론적 자원 6
1) 지구화 시대 젠더 질서의 변동 6
2) 국가/민족과 모성 16
제3절 연구 과제 34
제4절 분석틀 35
제5절 논문의 구성 38

제2장 구술생애사와 서사분석 41
제1절 연구방법 41
제2절 구술자료 생산 42
1) 구술자 선정 42
2) 질문지 구성 52
3) 인터뷰: 상호작용 55
4) 구술 자료 60
제3절 타임라인과 스토리라인 분석 61
1) 녹취록 만들기: 소리에서 문자로 62
2) 2차 분석: 근거이론에 따른 자료의 코딩 63
3) 3차 분석: 서사분석에 따른 노드 만들기 64

제3장 구술생애사의 구조화 66
제1절 문제 해결형: 헬렌, 타잉 66
1) 헬렌: 나도 1등이!! 힘들어요. 진짜라니까요! 67
2) 응옥타잉: 문제가 비자랑 국적이랑 엄마랑 불법사람이예요. 73
제2절 문제 상담형: 순자, 린 77
1) 정순자: 나는 하늘에 붕~ 뜬 이런 삶을 살았으니까요 77
2) 쩐티린: 집에도 좀 불쌍해. 돈도 못 벌어. 엄마도 너무 불쌍해 88
제3절 전통적인 이야기꾼형: 흐엉, 안젤라, 하빈 93
1) 쑤완흐엉: 그냥 나 사는 길 찾으는 거예요 94
2) 안젤라: 안녕하세요~ 필리핀 엄마~ 98
3) 전하빈: 우리는 다문화 인식이라고 생각하는데 사람들은 문화만 소개해 달래요 107
제4절 대화형: 루시, 영숙, 쑤언 112
1) 루시: 괜찮아요(Thats OK) 112
2) 박영숙: 나랑 떠도는 인생 사는 것보다는 집이라는 게 있잖아요 118
3) 레티쑤언: 왕따 할까봐요! 국적 하면 좀 한국 사람 되잖아요 131

제4장 어머니 되기의 정치학 138
제1절 재생산권과 섹슈얼리티의 통제 138
1) 결혼의 진정성 지표, 피임: 임신 거부에서 출산 조절로 139
2) 성적 욕망의 대상 혹은 주체 143
3) 마지막 출산조절: 낙태 146
제2절 법적 인정 투쟁 150
1) 젠더와 민족의 각축장: 모성과 한국인 154
2) 양육비와 양육권의 거래 162
3) 초국적 이혼 가족의 자녀 양육 171
제3절 이데올로기의 경합: 좋은 어머니 177
1) 어머니의 결혼과 나의 이혼 180
2) 한국 엄마보다 못한 엄마 188
3) 아이를 버리지 않는 엄마 193

제5장 돌봄 네트워크의 초국적 배치 205
제1절 초국적 가족의 형성 205
1) 연쇄 결혼이주: 자매의 국제결혼 207
2) 본국 가족과의 경제적 자원 교환 214
제2절 모성(mothering)의 국제적 분업 220
1) 국경을 넘어가는 아이들 221
2) 초국적 모성(transnational mothering)의 등장 237
제3절 돌봄 이주의 발생 244
1) 임부와 산모의 돌봄을 위한 이주 246
2) 결혼이주여성의 일·가족 양립의 조건: 자녀 돌봄 이주 250

제6장 어머니됨(motherhood)과 국민됨(nationhood) 259
제1절 국적의 다층적 의미 259
1) 아내의 자유와 남편의 불안 261
2) 가족에 대한 소속감: 가족과 국민의 경계 266
3) 사회적 인정의 징표 271
제2절 정체성의 구성: 어머니됨과 국민됨의 결합 276
1) 무책임한 한국인 남성과 생계부양자 베트남 여성 278
2) 부정과 자부심의 공존: 필리핀 엄마, 베트남 엄마 282
3) 이기적인 한국 엄마와 헌신적인 외국 엄마 287
제3절 유동적 정체성의 고정핀으로서의 모성 294
1) 한국에 거주해야 하는 이유 296
2) 불안정한 정체성에 대한 보증 301

제7장 결론 306
제1절 연구 요약 306
제2절 연구의 의의와 추후 과제 306

참고 문헌 30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7207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주-
dc.subject결혼이주-
dc.subject모성-
dc.subject돌봄 위기-
dc.subject사회적 재생산-
dc.subject초국적 모성-
dc.subject재생산 권리-
dc.subject정체성-
dc.subject국가/국민-
dc.subject민족-
dc.subject구술생애사-
dc.subject서사분석-
dc.subject.ddc305-
dc.title한국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과 정체성: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Sun Hyoun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viii, 356-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