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burnout) 경험탐색 및 척도개발 : The Exploration of Experience and Development of Scale for Burnout in Athlete Coach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근철

Advisor
권성호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운동선수 코치번아웃스트레스MBI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6. 8. 권성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 경험탐색을 통하여 그들의 번아웃에 대한 구성개념을 정립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번아웃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Ⅰ에서는 코치들의 번아웃 구성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각 시·도 교육청과 학교 및 체육회에 소속된 192명의 코치를 대상으로 개방형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11명의 코치를 대상으로 번아웃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치들의 번아웃은 크게 번아웃의 원인, 번아웃의 증상, 번아웃을 경험하는 시기로 분류가 되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진술들을 토대로 하여 전체적인 구성개념을 정립하였다.
연구 Ⅱ에서는 연구 Ⅰ에서 수집된 질적자료와 문헌고찰 자료들을 토대로 하여 최초 50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친 전문가 회의 끝에 40문항의 예비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이후 10명의 코치를 대상으로 하여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였고, 435명의 코치들을 대상으로 하여 예비검사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반응 집약율이 50%이상인 2문항을 삭제하였고, 문항-총점 간 상관이 .40이하인 4문항을 삭제하였다. 선별된 34문항에 대하여 3차례에 걸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8문항이 .40이하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삭제하였으며, 5요인 26문항 구조가 선별되었다.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문항이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여 삭제하였고, 최종 5요인 24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최종 모형은 신체적 고갈(3문항), 정서적 고갈(7문항), 열악한 직무환경(5문항), 평가 및 대우 불만(5문항), 인간관계 불화(4문항)로 구성되었다.
최종모형의 전체신뢰도는 .927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00∼.914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에 대한 개념
타당도 분석을 위해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준치를 충족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개념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측정동일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연령별, 지도경력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각 집단에서 최종모형을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5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