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덕적 정서 교육의 체계화 연구 :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Moral Emotion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석환

Advisor
정창우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서도덕적 정서도덕교육도덕적 정서 교육emotionmoral emotionmoral educationmoral emotion educ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4. 8. 정창우.
Abstract
우리 시대 사회 각계각층의 교육적 요구들이 집약된 화두가 바로 인성 교육이다. 그리고 사회정서학습(SEL)이나 긍정 심리학과 같이 정서를 중심으로 인성 교육에 접근한 방안들이 주목 받고 있다. 도덕교육은 이러한 방안들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학생들이 자신의 정서를 행복과 가치의 근원으로 스스로 키워 갈 수 있는 도덕적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그동안 도덕교육은 정서의 도덕적 지위와 역할을 밝히고 교육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 왔지만,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덕적 정서 교육을 실시하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 이유는 도덕적 정서 교육의 출발점인 정서나 도덕적 정서가 너무나 익숙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혀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서와 도덕적 정서 개념을 정립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도덕적 정서 교육의 이론적 기반과 교육 원리를 밝히고, 이를 근거로 도덕적 정서 교육 방안과 운영 방법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덕적 정서 교육의 체계화를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Ⅱ장에서는 정서와 도덕적 정서의 개념 그리고 도덕적 정서 분류 방법을 체계화하였다. 다양한 정서 이론을 분석하여 정서의 개념을 신체적 각성, 목적의식, 감정, 사회적 ․ 표현적 측면이 통합된 심리적 구성체로 정의하고, 정서의 종류, 기능, 발달 과정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철로 생명 구하기와 유자입정(孺子入井)의 사례를 통해 정서의 도덕적 의미를 추출하고 도덕적 정서에 관한 네 가지 입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서가 도덕적 가능태이며 동시에 비도덕적 가능태임을 밝히고 그 가능성을 도덕적 정서 능력치라 명명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도덕적 정서의 개념을어떤 정서가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성을 확보한 상태로 발현되었을 때, 즉 도덕적 행위를 유발했을 때의 정서로 정의했다. 그리고 도덕적 정서 분류 방법으로서 사단(四端)의 의미를 살피고, 이에 따른 도덕적 정서의 분류 방법을 제안했다.
둘째, Ⅲ장에서는 도덕적 정서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체계화 하였다. 정서 지능, 긍정 심리학, 사회정서학습에서 정서적 건강과 정서적 안정의 중요성, 정서적 유능성의 의미와 내용, 정서적 행복의 도덕적 의미와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했다. 또한 공자, 맹자, 중용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와 배려 윤리를 통해 정서의 도덕적 가능성과 도덕적 정서화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했다. 이어서 뇌의 정서 관련 구조와 신체적 작동 원리를 검토하여, 도덕적 정서 교육의 과학적 근거를 확인했다.
셋째, Ⅳ장에서는 도덕적 정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 원리를 체계화하였다. 우선 도덕적 정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조건을 두 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내적 정서 측면의 실현 조건으로서 도덕적 정서 능력치, 정서 상태, 정서 건강이며, 다른 하나는 외적 과정 측면의 실현 조건으로서 도덕적 지향, 도덕적 습관, 도덕적 사고이다. 이러한 실현 조건이 교육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도덕적 정서 교육의 구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정서 교육 방안의 운영 원리를 소·중·대 범위로 나누고 각각의 운영 원리를 제시했다.
넷째, Ⅴ장에서는 도덕적 정서 교육 방안을 체계화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정서와 도덕적 정서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그 한계를 지적했다. 도덕적 정서 교육의 성격을 규정하고 목표를 설정한 후 내용 체계도 함께 제시했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도덕적 정서 교육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도덕적 정서 교육의 체계화 방안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도덕적 정서의 토대형성 교육 방안이며, 다른 하나는 도덕적 정서화 능력형성 교육 방안이다.
도덕적 정서의 토대형성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급 환경 조성이다. 정서적 학급 환경을 물리적 정서 환경과 심리적 정서 환경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둘째, 바람직한 정서 모델설정이다. 바람직한 정서 모델로서 교사, 또래 친구, 정서 규칙, 정서 모범 위인을 설정하고, 각각의 모델링 방법을 제시했다. 셋째, 정서적 유능성함양이다. 정서적 유능성이 크게 자기, 타인, 집단, 전체의 네 차원의 능력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히고, 각 차원의 하위 능력들을 형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넷째, 정서적 행복유지이다. 정서적 행복의 도덕적 의미를 탐색하고, 정서적 행복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격 강점과 회복탄력성을 형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덕적 정서화 능력형성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적 지향설정이다. 도덕적 지향점은 학생의 정서가 도덕적으로 정향되도록 만들고, 발현된 정서의 도덕적 타당성은 도덕적 지향점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조절된다. 도덕적 지향점을 현실적 수준과 이상적 수준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현실적 수준의 도덕적 지향점 형성 방법으로 가치 명료화 접근과 진로 교육을 제시하였고, 이상적 수준의 도덕적 지향점 형성 방법으로 도덕적 인간상과 도덕적 보편 가치를 제시했다. 둘째, 도덕적 습관형성이다. 공자의 예(禮) 사상에서 습관의 도덕적 가능성과 도덕적 습관의 의미를 알아보고, 그 종류를 생각의 습관, 행동의 습관, 감정의 습관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습관 형성 방법으로는 구사(九思), 구용(九容), 도덕적 정서 공책 등을 제시했다. 셋째, 도덕적 사고함양이다. 정서를 도덕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도덕적 사고는 중용적 사고이다. 중용적 사고를 실천적 사고, 성찰적 사고, 상황적 사고, 배려적 사고, 공감적 사고, 목적 지향적 사고, 조화적 사고로 나누어 이를 함양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도덕적 정서 교육의 운영 방안을 소·중·대 범위로 나누어 체계화 하였다. 소 범위 운영 방법으로 도덕과 단원 설정 운영 방법과 도덕적 정서 분류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중 범위 운영 방법으로 도덕적 학급 경영 운영 방법과 연간 도덕과 수업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 범위 운영 방법으로는 학교 경영 운영 방법과 학년별 심화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중에서 도덕적 학급경영 운영 방법이 도덕적 정서 교육의 체계화 방안의 목적을 가장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정서가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 정서로 실현되었다는 것은 도덕적 행위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 순간 그는 도덕적 인간이다. 그러나 상황은 끝없이 달라지며 우리는 매순간 다르게 생겨나는 정서를 상황에 맞게 조화롭게 발현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게 된다. 이때 도덕적 지향점과 도덕적 습관 그리고 도덕적 사고가 도덕적 정서화를 이룰 수 있는 힘이 된다. 동시에 안정된 정서 환경의 학급에서 바람직한 정서 모델과의 상호작용을 이루면서, 정서적 유능성을 함양하게 된 학생은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능력도 갖게 될 것이다. 긍정적이고 행복한 정서는 도덕적 정서화의 든든한 바탕이다.
논의를 마무리 하면서 본 연구자는 도덕적 정서 교육의 체계화 연구가 학생들의 정서 문제에 대한 도덕교육의 해법을 마련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하며, 또한 추후 도덕적 정서 교육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정서, 도덕적 정서, 도덕교육, 도덕적 정서 교육

학 번: 2010-304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moral emotion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starts from establishing the concept of emotion and moral emotion, develop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principle of the moral emotion education
based on this, the moral emotion education method and operation method are established.

In Chapter II, the concepts of emotion and moral emotion, and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moral emotion are systemized. Various emotion theories were analyzed to define the concept of emotio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integrating feeling, bodily arousal, sense of purpose, and social-expressive aspects
also in addition, the types, function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emotion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rough the cases of Saving life in the railway and A child about to fall into a well(孺子入井), the moral meaning was extracted, and the four arguments of moral emo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emotions moral potentiality and immoral potentiality were revealed, and its possibility was defined as the level of moral possibility in emot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concept of moral emotion was defined as When some emotion was revealed as a state securing morality in a specific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emotion of arousing moral act. Moreover, as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moral emotion, the meaning of four principles(四端) was examined, and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moral emotion was suggested accordingly.

In Chapter III,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oral emotion education was systemized. In the emotion intelligence, positive psychology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the importance of emotional health and stability, meaning and contents of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moral meaning of emotional happiness were establishe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se was secured. In addition, through Confucius, Mencius, and the mean, and through Aristotle and care ethics, the moral possibility of emotion and theoretical basis for moral emotionalization was established. Moreover, by reviewing the structure and physical operational principle related to the emotion of the brain, a scientific basis of moral emotion education was identified.

In Chapter IV, the principle of education for performing the moral emotion education was systemized. First of all, the condition for performing moral emotion educat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is the realizability condition in the aspect of internal process, which is moral emotion ability, emotion state, and emotional health
the second is the realizability condition in the aspect of external process, which is moral orientation, moral habit, and moral thinking. For these realizability conditions to be performed educationally, the structure of moral emotion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ral emotion education method was divided into small, medium, and large scale to provide each operation principle.

In Chapter V, the moral emotion education method was systemized. To enable this, first the emotion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ntents related to moral emotion were analyzed, and its limitations were point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al emotion education were defined to set the goal and provide the content system. In addition, the moral emotion education method to realize this was provided accordingly. The systematization method of the moral emotion education is composed into two parts. One is the Education method of forming a foundation for the moral emotion, and the other is the Education method for forming moral emotionalization capability.
The education method for forming a foundation of the moral emotion is as follows. First is creating the emotional class environment. The emotional class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physical emotion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emotion environment, and each construction method was provided. Second is setting the desirable emotion model. For the desirable emotion model, peers, emotion rule, emotion role model were set, and each modeling method was provided. Third is promoting emotional competence. It was revealed that emotional competence is largely composed of capabilities of four dimensions including self, others, group, and whole, and the method of forming subordinate capabilities for each dimension was provided. Fourth is maintaining emotional happiness. The moral meaning of emotional happiness was explored
as the method for maintaining emotional happiness, the method for forming personality strength and resilience was provided.
The education method for forming moral emotionalization capability is as follows. First is setting moral intentionality. For the moral intentionality, the emotion of the student is created to be oriented to morality, and the moral validity of the emerged emotion is evaluated and regula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moral orientation. The moral orientation point is divided into the realistic level and ideal level to be provided. For the moral orientation forming a method at a realistic level, the values clarification approach and course education were provided, and for the moral orientation forming a method at the ideal level, moral human character and moral universal values were provided. Second is forming a moral habit. In the Confucian ideology of courtesy(禮), the moral possibility of habit and the meaning of moral habit were identified, and its types were divided into habit of thoughts, habit of behavior, and habit of feeling. For each habit forming method, nine ways of courteous attitudes(九容), nine types of right thinking(九思) and a moral emotion notebook were provided. Third is developing moral thinking. The moral thinking for realizing emotion morally is the thinking of the mean. it was divided into practical thinking, introspective thinking, situational thinking, caring thinking, empathic thinking, goal-oriented thinking, and harmonic thinking, and the method of developing this was provided.

In Chapter VI,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ral emotion education was divided into small, medium, and large scale in order to be systemized. For the small-scale operation method, moral and unit set-up operation method and moral emotion classification operation method were provided. For the medium-scale operation method, moral class management operation method and annual moral and class operation method were provided. For the large-scale operation method, school management operation method and intensified operation method for each grade were provided.

When some emotion is realized as moral emotion in a specific situation, it means that the moral act was enabled. At that moment, that person is a moral human being. However, the situation changes continuously, and we must realize in harmon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emotion created differently for each moment. The moral orientation point, moral habit, and moral thinking are the strengths to enable moral emotiona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student enabling interaction with the desirable emotion model in the stabled emotional environment, and thereby developing emotional competence, will have the capability to live a happy life.

keywords: emotion, moral emotion, moral education, moral emotion education.

Student Number : 2010-3040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5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