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행위에 대한 이해 - G초등학교 6학년 사회 수업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 Understanding Teaching Action Utilizing Digital Textbook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6th-grade social studies instruction at 'G' elementary school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경희

Advisor
조영달
Major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교과서사회과교실수업관리적 방목테크놀로지-기반 사회적 참여구조(T-SPS)교수행위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 일반사회 전공, 2012. 8. 조영달.
Abstract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발전하고 정보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사회과를 포함한 교육계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에서 사회과 교사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정보 시대의 시민적 자질이 정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의사결정력이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의미하는 한 지식 전수자로서의 기존의 교사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노련하고 정교한 교수행위가 요구된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교사의 역할이 증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회과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 것은 교사 역할 변화에 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지만, 정작 교육의 핵심 주체인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어떤 판단과 결정을 내리고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는 드물다. 최근 테크놀로지의 성공적 통합을 위해서 교사 변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긴 하지만 이들 연구 또한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어떤 교육적 결정을 내리고 이를 실행하는지 면밀히 살펴보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관련 매체의 등장 이후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주 연구문제는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이며 하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 즉 교수적 형식(instructional forms)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즉 어떤 내용(content)이 선정되고 어떻게 제시되는가? 셋째,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드러난 교사의 교수행위를 통해 교사의 역할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1년간 G초등학교 6학년 사회 수업을 대상으로 미시문화기술지(microethnography)를 활용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시문화기술지적 교실수업 연구에서는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양식으로 수업 조직, 대화배분 절차, 사회적 참여구조 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이들을 참고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학습을 의도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속에서 교사가 취하는 행동이 교수행위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학습주제의 변환과 학습활동 유형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 전략 행위(맥락화 단서와 대화배분 절차)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질서유지 전략이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으로 발생하는 수업 방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교사는 특히 태블릿PC 통제에 관련된 언어적, 공간적 맥락화 단서를 두드러지게 사용하였다. 맥락화 단서 사용에 따라 학생 중심의 참여구조에서 교사 중심의 참여구조로 전환되거나 그 역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교사는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교사-학생 간 대화의 리듬타기가 특징적인 상당히 정형화된 대화배분 절차를 사용하였다. 둘째, 교수 전략 행위(맥락화 단서와 대화배분 절차)를 바탕으로 총 7개의 테크놀로지-기반 사회적 참여구조(technology-base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중심의 참여구조와 학생중심의 참여구조의 출현 비중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나 기존 교실수업에 비해 학생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주제 변환 측면에서 교과서 본문의 글보다는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으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만한 삽화나 멀티미디어 자료 위주로 학습주제가 선정되었다. 이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해석, 그리고 학생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과업(academic task) 및 활동(activity)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정된 학습주제는 교사가 주도하여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의 활동이 선행된 후 교사의 정리가 뒤따라가는 일종의 활동-정리 셋트라는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학습활동의 유형에서는 전체학습+퀴즈ㆍ발표, 개별ㆍ조별학습+검색ㆍ글쓰기라는 2가지 학습활동 셋트의 비중이 전체 수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학생의 활동을 고려하여 학습주제를 선정한다는 교사의 선정 기준이 수업에서 그대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로 인해 발생하는 방해요인을 극복하려는 질서유지 전략이 두드러졌으며, 그 결과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하는 사회과 수업에 비해 학생 행동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학습 가능성에도 주목하여 학생들의 개별 학습활동을 독려하는 수업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한 차시의 학습목표를 명시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습주제들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 선형적 수업 전개 방식보다는 여러 학습주제들을 학생 활동 위주로 재편성하여 이를 학생의 흥미ㆍ요구에 맞추어 제시하는 비선형적 수업 전개 방식을 보였다. 학생 활동 중심의 비순차적 수업 진행에서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학습 촉진자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 역할의 변화가 수업의 주도권이 학생에게 양도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교사는 학습주제 선정과 학습활동 조직에 있어 주도적 권한을 가지고 테크놀로지 활용 방식을 능동적으로 결정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이러한 주도적 입장을 보여주는 개념을 관리적 방목이라고 명명하였다. 서책형 교과서를 사용하는 기존의 사회과 교수실행과 비교해볼 때, 관리적 방목이란 교사가 교실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수업 통제 전략을 더욱 엄격하게 사용하는 한편,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강화하고 학습 내용을 교실 밖까지 확장시키는 교수행위를 의미한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업 방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의 교수행위는 더욱 엄격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또한 교사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러한 가능성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 학생 활동을 강화한다.
이처럼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도입된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는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자율성과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교과교육 주체로서 사회과 교사의 역할은 여전히 주도적 입장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교사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테크놀로지 활용에 직면했을 때, 수업에서 학생들의 능동적 혹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그 결과를 교수행위에 반영했다. 즉 관리적 방목자로서의 교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해석하여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이는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교과 수업에서 적극적인 교사의 역할이 충분히 교육적으로 의미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및 정체성에 대한 논쟁에서 테크놀로지에 매몰되지 않는 사회과 교사상을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주도적 역할을 밝혔으며, 능동적ㆍ자율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교육 주체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테크놀로지 환경에서 교사의 전문성이 단순히 학습 내용 전달이나 교실관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테크놀로지, 학습 내용, 교수법에 대한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결정권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제 교사 역할의 필요성 논쟁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해서 교사가 주체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존재라면 교사의 역할 논쟁은 단순히 불필요성 문제에서 벗어나 미래 교실에서 사회과 교사의 정체성ㆍ전문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와 관련된 문제로 넘어가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교사의 정체성ㆍ전문성 설정 문제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has been increa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Nevertheless, it is unclear what teachers role should be with this change. Current role of teacher as a transmitter of knowledge can not help being reduced as long as citizenship in information society means rational decision-making skills 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information. However, the role of teacher can be emphasized more than ever in that we require an elaborate teaching action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Thus,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to social studies classes causes a debate about the change of teachers role. Nevertheless, it is rare for studies to inquire how teachers make decisions on the use of technology. Recently there have been claims that teacher variable is worth noting, but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thoroughly what educational decisions are made by teachers on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with classroom activ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eacher action with digital textbook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to understand what teachers role should be after the emergence of educational media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Main research question for this purpose is that How does the teachers teaching action appear in the social studies with digital textbook? In this context, specific ques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how do the formal aspects of teaching action (i.e. instructional forms) appear? Second, how do the content aspects of teaching action appear? In other words, how is the subject matter taught? Third, how is the teachers role understood through teachers teaching action shown in the formal/ content aspec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current research conducts qualitative case study, adopting microethnography, on 6th-grade social studies class at G elementary school. In a microethnography of classroom lessons, structure of a lesson, turn-taking allocation machinery, an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PS) were found as a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e present research prepared suitable analytical lens to figure out instructional forms. Besides, to analyze the contents taught by a teacher, this research used analytical lens such as the transformation of learning topic an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ollowings have appeared as key findings. First, order-maintaining strategy through contextualization cues and turn allocation machinery was prominent. This strategy was adopted so as to overcome the disturbing factors arose from digital textbook. The teacher frequently used spatial contextualization cues as well as verbal contextualization cues related to Tablet PC control. Depending on teachers use of contextualization cues, participation structure kept changed between student-centered and teacher-centered. Also, for the seamless flow of class, the teacher used highly formal turn-allocation machinery. Based on contextualization cues and turn-allocation machinery, 7 types of technology-base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T-SPS) were identified.
Second, in terms of transformation of learning topic which is one of the content aspects of teaching action, the teacher chose learning topic based on illustrations or multimedia materials instead of text. This results from the teachers necessity to add academic task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or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 as well as the teachers interpret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his view of education. Next, learning topics were presented in the way of student activity-teacher summary sets. Under this way, students activities preceeded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teacher-centered way of presentation was hard to fin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research interprets teaching action utilizing digital textbook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as follows. The teacher recognized the need for a change in teaching method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textbook. The order-maintaining strategy of instructional forms stood out to overcome the disturbing factors to instruction arose from digital textbook,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lesson. Besides, the teacher developed the lesson emphasiz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due to new chance brought by digital textbook. Therefore, nonlinear development among various subject matters was shown more often than linear development to accomplish learning goals. When the teacher led the lesson nonsequentially with students-centered activities, he played a role of learning facilitator, not a knowledge transmitter. However, this change in the teachers role does not mean that the initiative is transferred from the teacher to students, and the teacher actively interprets and decides the selection of contents and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authority.
The current study refers to the idea of teachers leading role as "managerial grazier(shepherd)". Compared to the existing instruction using traditional textbook, "managerial grazing" means teaching action that students activities are strengthened and the contents are expanded out of classroom, while teaching actions for maintaining-order is tightened. However, even whe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s strengthened, the initiative of class is on the teachers hand. This is because the teacher actively interprets potentiality of digital textbook for learning and strengthens students activities to promot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studies class for realizing the potential.
As seen above, in the social studies class with new technology, the teacher still has a power to decide the process of instruction, so the leading role of teachers is still valid. So far, studies have implied passive role of teachers and have described teachers as rejecting the utilization of new technology with conservative attitude. However, the teacher confronted by a sudden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in this study practiced teaching action reflecting his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teacher as a "managerial grazier(shepherd)" did not accept technology passively but appreciated the potentiality of a given technology and actively led the instruction.
This study can have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n teachers role or identity in the class full of technology. Further this stud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n exemplary teacher model not being overwhelmed by technology. In this study, teachers identity as a key agent of educational activity, who can decide actively and spontaneously, is confirmed by finding out the leading role of teacher in the technology-integrated class.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does not exist in the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s merely, but in the complex and holistic decision on technology, content, and pedagogy. Therefore, now it is time to get away from the dispute over the need for teachers role. If a teacher is active decision-maker in the use of technology, the debate over teachers role should be about how teachers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will be set in the future class. The present research, from this point of view,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place for discussion to establish teachers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6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