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연구 : Research on Expression Grammatical Form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종장지-
dc.date.accessioned2017-07-13T17:12:49Z-
dc.date.available2017-07-13T17:12:49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634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643-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 2015. 2. 구본관.-
dc.description.abstract의사소통 접근법이 중심이 되는 교육 현장에서는 조사, 어미 등의 단일 형태 못지않게 의미에 근거한 복합 형태 역시 중요하다. 이는 개별 형태들로는 그 복합적인 의미를 명확하게 담아 내지 못하는 표현들을 하나의 교육 내용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의사소통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에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유의미한 언어 사용을 가장 중요한 교육 목표로 삼는다. 이는 발화 시 언어 표현이 어떠한 범주에 속하는지에 대한 문제보다는 이것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이것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는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한국어교육에서도 최근의 교실 현장이 의사소통 접근법을 지향하기에 의미에 근거한 언어 구성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복합 형태는 의미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언어학에서 의미적 덩어리 (meaningful chunk) 구성이라고도 불린다. 본고에서 문장을 표현할 때 쓰는 문법 형태라는 점에서 일부 복합 형태를 표현문형(表現文型, expression grammatical form)이라고 칭하겠다. 표현문형에 대해 그간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에서 몇 편의 논의가 있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심도 있는 탐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체계와 범주 또한 명확하지 않아 실제 교육 현장에서 표현문형을 교육 항목으로 설정할 때 각각 다른 기준들을 적용하고 그에 따른 서로 다른 기술 방식들을 제시하고 있어 일관성과 통일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문제는 이것이 문법 항목의 기준 적용과 체계적인 기술의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언어 체계와 범주에 대한 인식 결여와 같은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체계와 범주의 결여가 학습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 내용으로서 표현문형에 대한 체계적 정보가 부족하여 한국어 교수·학습에 부정적 영향이 많다는 것이 조사를 통해서 확인되었다. 덩어리 구성으로 가르치는 것이 비록 유창성(fluency)과 정확성(accuracy)을 지향하지만 범주 설정, 형태 정보, 다른 성분과 연결할 때의 규칙 정보, 정확한 의미 정보, 그리고 알맞은 화용 정보가 교수·학습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히려 오류만 양산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표현문형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에 대한 용어의 개념, 타당성, 그리고 표현문형 판정, 분류, 교육 내용의 구성, 기술의 문제점 등 제반 문제를 본론에서 다루며, 다음의 몇 가지 연구 방향을 지향하면서 일련의 논의들을 진행하였다.
첫째,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표현문형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함으로써 표현문형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를 논의하였다. 그 다음에 의사소통 교수법이 주가 되는 교육 현장에서 덩어리 구성이 체계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교재에서 제시한 덩어리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지금 교육 현장에서 아무런 기준과 근거 없이 자의적으로 형식을 설정하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항목을 통해 분석하고 교재 간의 수용 편차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둘째, 기준과 범주 없이 덩어리 구성이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정의 방법을 검토하면서 표현문형의 명칭, 범주 설정의 접근 방법, 설정 원리, 기준, 정의, 목록 예시, 분류, 배열 방법 등 일련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표현문형이라는 범주를 설정하는 기초 작업이 되었다.
셋째, 표현문형이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지향하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 어떤 정보 체계를 가져야 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오류 화석화를 고려하면 의사소통 기능만 강조해서는 안 되고 기능과 형태 간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능과 형태의 정확성을 모두 고려한 교육 내용 구성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표현문형의 교육 내용 구축 시, 형태, 규칙, 의미, 화용 등의 네 가지 정보 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각 부분에 어떤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교육 내용 구축과 함께 예시로 표현문형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사례로 선정된 추측 표현문형을 중심으로 중국어 모어화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구축해 보고 그 교수·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에서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을 제공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5
2.1. 연구사 5
2.1.1. 직접 관련 연구 5
2.1.2. 한국어교육학에서의 인접 연구 7
2.1.3. 국어학에서의 인접 연구 11
2.2. 기존 연구와의 연계 및 차별 12
3. 연구 방법 13

II.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교육의 전제 19
1. 표현문형의 교육적 의의 19
1.1. 교육적 필요성 19
1.1.1. 이론적 배경 19
1.1.2. 학습자 기대 23
1.2. 교육적 가치 30
1.2.1. 출력의 유창성 증진 31
1.2.2. 출력의 정확성 제고 31
1.2.3. 입력의 이해 능력 강화 32
1.2.4. 규칙의 과잉 일반화 방지 33
2. 교재 내 덩어리 구성 양상에 대한 분석 34
2.1. 덩어리 구성의 구조적 분석 37
2.1.1. 2어절식 덩어리 구성 39
2.1.2. 3어절식 덩어리 구성 51
2.1.3. 4어절식 덩어리 구성 54
2.2. 덩어리 구성의 제시 및 설명 방법 분석 60
2.2.1. 범주 분류 60
2.2.2. 표기 방법 62
2.2.3. 설명 내용 65

III. 표현문형의 범주 설정 및 분류 방법 71
1. 기존 기준 검토 및 문제점 71
2. 표현문형의 용어 선정 86
3. 범주 설정 89
3.1. 접근 방법 90
3.2. 설정 원리 94
3.3. 판정 기준 97
3.3.1. 형태의 다어절성(多語節性) 97
3.3.2. 의미·기능적 단위성 98
3.3.3. 구성 간 삽입 제한성 101
3.3.4. 성분 간 선택 제한 105
3.3.5. 경제성 원칙 107
3.4. 표현문형의 범주 경계와 정의 및 목록 예시 108
3.4.1. 범주 경계와 정의 108
3.4.2. 표현문형 목록 114
4. 분류 방법 118
4.1. 문법 성분에 따른 분류 119
4.2. 의미·기능에 따른 분류 121

IV. 학습자의 사용 양상 분석 및 교육 내용 구축 128
1. 표현문형의 교육 내용 구축 원리 128
2. 교육 내용의 구축 모형 131
2.1. 표현문형의 형태적 정보 구축 133
2.1.1. 학습자의 형태적 인식 분석 133
2.1.2. 교유 내용 구축 139
2.1.2.1. 일정한 기준을 적용한 형태 제시 139
2.1.2.2. 고정성 유무에 의한 제시 146
2.2. 표현문형의 규칙적 정보 구축 147
2.2.1. 학습자의 규칙적 인식 분석 147
2.2.2. 교육 내용 구축 152
2.2.2.1. 통사적 환경에 따른 형태적 변이 153
2.2.2.2. 음운과 품사에 따른 형태적 변이 169
2.3. 표현문형의 의미적 정보 구축 171
2.3.1. 학습자의 의미적 인식 분석 171
2.3.2. 교육 내용 구축 176
2.3.2.1. 의미적 투명성에 의한 정보 제공 176
2.3.2.2. 다의성 및 유의성에 관한 정보 제공 178
2.3.2.3. 모국어 대응 표지 정보 제공 180
2.4. 표현문형의 화용적 정보 구축 181
2.4.1. 학습자의 화용적 인식 분석 181
2.4.2. 교육 내용 구축 186
2.4.2.1. 미시적 기능 정보 제시 186
2.4.2.2. 기능 간의 변별 정보 189
3. 표현문형의 교육적 배열 방법 192
3.1. 배열의 적용 기준 192
3.1.1. 형태적 복잡성 192
3.1.2. 규칙적 복잡성 193
3.1.3. 상용성(常用性) 195
3.1.4. 의미 투명성 196
3.1.5. 학습자 모국어와의 대응 정도 197

V. 추측 표현의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안 201
1. 추측 표현의 교육적 의의 201
2. 추측 표현의 교육 내용 204
3. 교수·학습 방안 제시 213
3.1. 모형 설계 213
3.2. 목표 설정 217
3.3. 방법 제시 218

VI. 결론 227

참고문헌 231
부록 239
Abstract 263

표 차례
학습자 태도 조사의 인원 구성 14
예비 검사의 인원 구성 15
본조사의 인원 구성 16
개별 면담 대상자 정보 16
연구 관련 자료 구성 18
조사 대상 교재의 목록 36
교재에서의 덩어리 구성 양상 58
각 교재에서의 표기법 및 설명법 특징 70
덩어리 구성에 대한 각 연구의 정의 및 기준 85
표현문형의 예시 109
본 연구와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와의 선정 차이 117
표현문형의 문법 성분에 따른 분류 121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의사소통 기능 분류 124
표현문형의 의미·기능에 따른 분류 126
표현문형에서의 관형사형 어미 교체 양상 154
-ㄴ/는/ㄹ 것 같다의 관형사형 어미 교체 155
음운 및 품사에 따른 형태적 변이 170
화용적 정보 제시 사례 191
투명성에 따른 위계화 제안(유해준, 2010) 196
난이도 순위 및 분류(김남길, 2007) 198
교재에서의 추측 표현문형 빈도 202
'-ㄴ/는/ㄹ 것 같다'의 정보 제시 207
'-ㄴ/는/ㄹ 모양이다'의 정보 제시 208
'-나 보다'의 정보 제시 209
'-ㄴ/는/ㄹ 듯하다'의 정보 제시 210
표현문형 배열 순서의 처리 방법 213
PPP모형과 TTT모형의 비교 216

그림 차례
[그림Ⅱ-1] 습득에서의 표현문형 역할 모형 23
[그림Ⅱ-2] 학습자 태도 분석-초급 단계 집단 25
[그림Ⅱ-3] 학습자 태도 분석-중급 단계 집단 26
[그림Ⅱ-4] 학습자 태도 분석-고급 단계 집단 27
[그림Ⅱ-5] 문법 규칙 학습에 대한 선호도 28
[그림Ⅱ-6] 문법만으로 문장을 생성할 때 난점을 느끼는 비율 29
[그림Ⅱ-7] 덩어리 구성에 대한 선호도 29
[그림Ⅱ-8] 각 교재에서의 항목 수와 형태 수 분포 양상 56
[그림Ⅲ-1] 덩어리 구성의 범주화 접근법 93
[그림Ⅲ-2] 표현문형과 다른 범주의 관계 113
[그림Ⅲ-3] 표현문형 목록 구축 절차 117
[그림Ⅲ-4] 접근법에 따른 분류 절차 118
[그림Ⅳ-1] 각급에서의 문법성 판단 검사 결과 129
[그림Ⅳ-2] 표현문형의 네 가지 정보 모형 132
[그림Ⅳ-3]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 결과 134
[그림Ⅳ-4]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2 결과 135
[그림Ⅳ-5]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4 결과 136
[그림Ⅳ-6]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8 결과 138
[그림Ⅳ-7] 표현문형의 형태적 정보 구축 절차 147
[그림Ⅳ-8]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1 결과 148
[그림Ⅳ-9]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2 결과 149
[그림Ⅳ-10]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3 결과 150
[그림Ⅳ-11]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4 결과 151
[그림Ⅳ-12]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5 결과 172
[그림Ⅳ-13]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8 결과 174
[그림Ⅳ-14]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17 결과 175
[그림Ⅳ-15]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21 결과 182
[그림Ⅳ-16]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22 결과 183
[그림Ⅳ-17] 문법성 판단 검사-문항24 결과 184
[그림Ⅳ-18] 수험자의 한국 생활 기간 185
[그림Ⅴ-1] 교수⋅학습 모형의 진행 절차 21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7518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표현문형-
dc.subject덩어리 구성-
dc.subject한국어교육-
dc.subject문법교육-
dc.subject연어-
dc.subject교육 내용-
dc.subject추측 표현-
dc.subject.ddc410-
dc.title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연구-
dc.title.alternativeResearch on Expression Grammatical Form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g Chang-jhih-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ix, 266-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