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독자 반응 조정 중심의 시 교육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민규

Advisor
윤여탁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 교육반응반응 조정해석 담론반응 언어 구체화대응 담론 구성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 국어교육 전공, 2016. 2. 윤여탁.
Abstract
이 연구는 독자가 시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조정하여 주체적인 해석 담론을 구성하도록 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서화된 해석이나 비평도 독자가 처음에 떠올린 반응의 재구성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반응은 주목의 가치가 있다. 동시에 독자의 주관적인 반응은 시 교실이라는 공적인 장에서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교실의 독자들은 이 과제의 해결을 위한 조력자로 기능할 수 있다. 시 교실의 소통 구조를 활용하여 주관적 반응을 포섭하는 시 교육의 모델을 이론적‧실천적 층위에서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과제이다.
시에 대한 반응은 독자가 시 텍스트에 대한 심리적 상관물(相關物)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독자가 이 상관물을 바탕으로 시 해석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반응은 해석의 실질적인 거점이다. 독자의 반응 조정은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하는 행위이며 개별 독자의 자율적인 해석 담론 구성을 그 지향으로 삼는다. 이는 해석 담론 구성의 결과물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학습 독자가 수행하는 성찰적 탐색이 시 교실에서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는 전제에 따른 것이다. 반응 조정 후 제출되는 해석은 독자 자신의 판단을 통해 구성된다는 점에서 주체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독자 반응 조정은 시 텍스트의 환언(換言)과 독자 간 소통이라는 두 측면에서 그 본질을 살펴볼 수 있다. 시에 대한 반응 언어에는 시적 발화의 복합적인 전모를 재구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 가능성은 독자가 다른 독자의 인식 지평을 탐색하고 자신의 그것과 융합시켜 가는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또한 반응 조정은 다른 독자가 제기하는 조정 계기에 대한 대응 담론의 구성 과정이기도 하다. 독자는 다른 독자의 시선을 의식하고 내면화하여 스스로 조정의 동기를 형성하며, 그 시선에 저항하는 자아를 부각시키기도 한다.
시 교실에서 독자 자신, 동료 독자, 교사는 조정을 촉발하는 주체로 기능하며 각 주체를 중심으로 조정 활동을 상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질문이나 조언, 다른 독자의 반응이 조정 계기의 형식으로 사용된다. 조정 계기를 접한 학습 독자는 모방, 비교, 대결, 회피, 자기 검증 등의 추동력을 통해 조정을 수행하며, 이 과정은 문학교육 맥락, 관계적 맥락, 개인적 맥락이라는 조정의 기저 맥락을 바탕으로 한다.
이 연구는 실제 독자의 반응 조정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조정, 동료 조정, 교사 조정 활동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 독자의 반응 조정 양상은 독자 자신의 담론에 일어나는 변화를 중심으로 수렴적 조정, 확장적 조정, 전환적 조정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먼저 수렴적 조정은 새로운 인식 내용의 부가보다는 자기 담론의 정합성 강화가 두드러지는 조정 유형이다. 이는 자신의 반응 중 특정 부분을 선별하여 집중하거나 반응의 표현 양식을 변경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확장적 조정은 독자 자신의 담론을 중심에 두고 그 내용을 확장하는 조정 유형이다. 독자가 타자 담론과 자기 담론의 차이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차별화를 도모하는 양상, 타자 담론의 일부를 자기 담론에 통합함으로써 상세화를 도모하는 양상이 이에 해당한다. 전환적 조정은 새로운 담론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조정 유형이다. 주요 해석 가설이 대체되는 양상, 반응의 층위가 전환되는 양상이 이에 해당하며 독자의 주도 하에 전환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해석 담론의 주체적 구성 가능성이 확인된다.
이상과 같은 반응 조정 양상을 바탕으로 독자 반응 조정 교육의 목표와 수행 원리를 제시하였다. 먼저 시에 대한 상상적 세계 구성의 층위에서는 조정 계기에 내재된 반응 조정의 관점을 내면화하고 자신의 반응에 기반을 두어 시적 사유를 갱신하는 것을 목표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반응의 소통 층위에서는 시에 대한 의미 교섭 과정에서 자기주도성을 견지하고 반응의 수사학적 효과를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행 원리는 반응 조정의 동기를 확보하고, 조정 활동을 수행한 후, 반응 조정 산물을 생산․점검하는 세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때 자기 조정 그룹에서는 학습 독자 스스로 적절한 내적 성찰의 언어를 상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료 조정 그룹에서는 경합적인 태도로 조정이 이루어지되 독자 간 상호작용 구조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하며, 교사 조정 그룹에서는 위계적인 소통 구조에서 해석 담론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 조성이 요청된다. 또한 그룹별 조정 활동을 서로 연계하여 조정의 효과를 제고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구안한 독자 반응 조정의 모델은 학습 독자의 반응을 전경화하는 동시에 성찰적 의미 구성 능력의 신장을 도모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주의의 이상을 실천적인 층위에서 구현한다. 이는 적절한 동기 부여를 통해 학습 독자의 능동적인 시 읽기 태도를 강화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ducation plan that involves poetry's reader constituting the interpretational discourse by modifying his response to the poetry. The reader's response is worthy of notice because even ordered interpretation, or criticism, is formulated by reconstituting the response recalled by the reader at first.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response should be communicated in a poetry classroom, and the readers in a classroom can assist in solving the probl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a model of poetry reading that embraces a subjective response by utilizing the communicative structure within poetry classroom.
The response to poetry is a process of formulating a psychological correlative of poetry text. The response is a substantive base of interpretation because the reader interprets poetry based on this correlative. The reader's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is an act of actualizing this possibility, and it aims to constitute an autonomous interpretational discourse of an individual reader. This aim has a premise that not the result of constitution of interpretational discourse but the introspective exploration performed by the reader should gain recognition in a poetry classroom. The interpretation presented after the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is independent because it is composed through the judgment of the reader himself.
The essence of the reader's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can be examined through two aspects: materialization of the response language about poetry, and communication among readers. The response language comprises the possibility of recasting the complex account of poetic utterance, and this possibility is actualized when the reader explores the cognitive horizon of other reader and conflates it with his own horizon. The reader's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is also a process of replying-discourse constitution about modification-trigger posed by other readers. The reader is conscious of and internalizes other readers' attention so that he forms a motive for modification personally, or highlights the self who resists other readers' attention.
Based on the subject that triggers the modification, the modification of the readers respons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elf modification, classmate modification, and teacher modification. A modification can be triggered by a question or advice, or the response of other reader. The basal context that situates the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can be literary education, relational , or persona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ders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in poetry reading with regard to self modification, classmate modification, and teacher modification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discourse of the reader, the modification of the readers response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onvergent modification, expanding modification, and converting modification. In convergent modification , the reinforcement of elaboration within the readers own discourse predominates over the annexation of new contents of cognition. This type has two sub modalities, concentration after selection of specific parts in the response, and alteration in the form of a response expression. In expanding modification, the readers own discourse is centered and the contents of it are expanded. Sub modalities of this type include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istinction between the other readers discourse and the readers own discourse, and specification by consolidating the parts of the other readers discourse and the readers own discourse. In converting modification, conversion into new discourse occurs. Sub modalities include replacing the main interpretational hypothesis, and conversion of response stratigraphy. In this type also, there is a possibility of independent constitution of interpretational discourse because conversion occurs at the instigation of the reader.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elucidate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performative principle of the modification of the readers response. The first objective, at the level of the imaginary world constitution, is internalizing viewpoint inherent in the modification-trigger, and renewal of poetic thought based on the readers response. The second objective, at the level of response communication, is retaining self-directedness in the process of poetry meaning negotiation and enforcement of rhetorical effect of response.
The performative principle of modification of readers response encompasses three stages. The reader first secures motives for modification of response, then performs a modification activity, and lastly produces and inspects the results of modification. Considering the performative principle for the self modification group, postulating a proper introspective language personally by the reader is important. The classmate modification is supposedly of competitive type and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structure must be considered. For the teacher modification group, the promotion of an environment that retains the autonomy of interpretational discourse under hierarchical communication structure is important. For enhancing the effect of modification, connecting the activities of diverse groups is also suggested to be considered in the performative principle.
The model for readers modification of response this study has designed embodies an ideal learner-centered approach to poetry reading by foregrounding the response of reader and promoting the readers ability of introspective meaning constitution. The proposed model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nhances the readers active attitude toward poetry reading through proper motiv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6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