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설명적 글쓰기 내용 구성 연구 : A Study on Expository Writing Construc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철-
dc.contributor.author이정찬-
dc.date.accessioned2017-07-13T17:14:35Z-
dc.date.available2017-07-13T17:14:35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89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67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3. 8. 김종철.-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구성 원리를 보다 구체적인 수행의 원리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구성에 대한 논의는 주로 텍스트 구조에 관한 사항이나 혹은 내용의 생성 및 조직을 위한 전략의 사용 그리고 다양한 설명적 글쓰기의 유형(혹은 장르)에 대한 논의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로 인해 화제의 특수성에 따른 내용 요소의 선택 방법, 지식 혹은 정보의 전달을 위한 내용 요소의 배치 및 배열 등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를 발전시키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식론에서의 논의들을 토대로 설명 대상과 설명 목적 그리고 설명 방법 간의 연관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내용 구성의 일반적 원리를 설명 목적에 따라 보다 상세화하여 쓰기 수행을 위한 원리로 제시하고자 한다.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주로 텍스트 분석 중심의 이론과 전략 중심의 이론으로 구분이 된다. 먼저 텍스트 분석 중심의 내용 구성 이론은 수사학적 논의를 발전시켜 내용 구성에 대한 일반적 원리를 통일성(unity), 일관성(coherence), 강조성(emphasis)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모범문의 실체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원리들이 쓰기 수행을 위한 실천적 이론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주로 텍스트 분석에 적용되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반면 전략 중심의 내용 구성 이론은 다양한 전략의 사용을 통해 계획하기와 같은 쓰기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고, 결과적으로는 그것이 쓰기 결과물의 산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논의를 제기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디어 생성 및 조직과 같은 계획하기의 과정이 실제 텍스트의 내용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어떻게 이행 하는지, 또한 전략을 사용하는 데 있어 텍스트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등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사항들을 통해 본 연구는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적 과제로서 텍스트 분석 중심의 이론에서 쓰기 수행을 위한 실천적 이론으로의 전환과 개별 텍스트 산출을 위한 이론의 구체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내용 구성 교육의 비판적 검토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상의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우선 일관성의 의미가 7차 교육과정 이후 지금까지 coherence, consistence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coherence의 경우에도 그것이 때로는 통일성으로, 때로는 일관성으로 번역되어 의미적 혼란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론적 검토에서 언급했듯이 내용 구성 교육 역시 통일성, 일관성, 강조성의 원리를 지식 중심으로 교수하고 주로 텍스트 분석에 활용하는 등의 제한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구성 교육의 과제로서 일관성, 통일성 등의 용어에 대한 개념을 쓰기 이론에 근거하여 명료화하고, 교육적 적용을 위해 보다 목적 지향적인 내용 구성 교육의 방안을 강구해야 함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예비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설명적 글쓰기를 위한 내용 구성은 설명 목적의 상세화를 통해 보다 구체화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본고에서 말하는 설명 목적이란 단순히 정보나 지식을 온전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화제에 따라 요구되는 독자의 인식 과정 및 유형과 관련 있다. 가령, 필자가 특정한 사물이나 사실 등을 전달하고자 한다면 독자는 이를 감각적으로 확인하거나 기억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정보를 수용할 것이다. 여기서 화제에 대한 감각적 확인과 기억이 바로 필자에게는 설명의 목적이 되는 것이다. 이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식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설명 대상과 설명 목적, 그리고 설명 방법 간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인식론이란 인간이 무언가를 안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그것은 어떤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말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그 중에서 인식 대상과 인식 유형 그리고 인식 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서부터 라일과 햄린의 이론 등을 통해 본 연구는 설명 대상(인식 대상)을 사실적 지식, 실천적 지식, 이론적 지식으로 구분하고 각각은 범주화 및 일관된(consistent) 관념을 통한(설명 방법) 지각과 기억(설명 목적), (목적 지향적인) 행위의 재현(再現)을 통한(설명 방법) 수행(설명 목적), (특수한 논리 체계를 갖춘) 형식적 사고를 통한(설명 방법) 파악(설명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가령, 독자의 수행을 목적으로 한 설명적 글쓰기란 목적 지향적인 행위의 재현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전달하는 문필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독자의 지각과 기억을 목적으로 한 설명적 글쓰기란 범주화 및 일관된(consistent) 관념을 통해 사실적 지식을 전달하는 문필 행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유형화는 화제의 특수성과 그에 따른 설명의 방법 및 독자의 수용 양상(인식 유형)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결과적으로는 이러한 유형화를 통해 내용 구성의 원리 역시 각각의 설명 대상과 목적에 따라 보다 세분화되어 적용될 수 있음 가정하였다. 설명적 글쓰기를 포함한 모든 쓰기의 수행은 목적 지향적인 행위이다. 따라서 설명 목적을 위와 같이 체계화한다면 쓰기 수행의 과정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제를 보다 명확하게 마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 구성의 과정 역시 보다 목적 지향적인 행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내용 구성에 관한 주된 논의는 그 일반적 원리인 통일성(unity), 일관성(coherence), 강조성(emphasis)을 지식적으로 제시하고 텍스트 분석에 적용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 이는 마치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든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든 내용 생성을 위한 전략으로는 브레인스토밍을 사용하는 것처럼 자칫 설명 목적과는 괴리된 형식적인 수행만으로 그칠 우려가 있다.
통일성이란 설명 목적에 부합하는 내용 요소를 선택하는 것이며, 강조성은 목적에 대한 내용 요소의 기여도에 따른 의미 배정을 말한다. 끝으로 일관성은 특정한 유형으로 내용 요소들을 배치하여 의미적 연관성이 텍스트로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설명의 목적이 구체화될 경우 그에 적합한 통일성, 일관성, 강조성의 원리가 상세화되고 보다 목적 지향적인 내용 구성이 가능해 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설명 목적과 설명 대상 그리고 설명의 방법을 내용 구성의 일반적 원리와 통합하여 보다 상세화된 원리로서 제시하였다. 즉, 지각과 기억을 목적으로 하는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선택의 원리(통일성)에는 범주화 및 일관된(consistent) 관념을 통한 지각적 유의미성이, 의미 배정의 원리(강조성)에는 감각 기관을 통한 확인이나 재인(再認)이 용이하도록 특정한 요소를 두드러지게 하는 현저성이, 끝으로 내용 요소의 배열 유형 역시 특정 화제에 주목하여 대상을 지각하거나 기억하는데 용이하도록 화제-한정-상술 유형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마찬가지로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설명적 글쓰기에서도 내용 선택의 원리(통일성)에는 재현되는 행위들의 상황적 적합성이, 의미 배정의 원리(강조성)에는 그러한 행위들이 특정한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의 문제 즉, 목표 지향성이, 대표적인 배열 유형으로는 행위 재현을 통해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영하여 상황 규정-중간 목표-최종 목표-확인 유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선택의 원리(통일성)에는 특수한 논리 체계를 갖춘 형식적 사고를 구축하기 위한 개념들의 타당성이, 의미 배정의 원리(강조성)에는 선택한 개념들 간의 논리적 합리성이, 대표적인 배열 유형으로는 관찰-해석-검증-일반화 유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상은 기존의 통일성, 일관성, 강조성의 원리를 설명 대상과 설명 목적, 그리고 설명 방법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되어 보다 구체적인 내용 구성의 수행 원리로서 구체화될 수 있음을 전제로 논의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실천적이며 교육에 적합한 내용 구성의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1학년 학습자의 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그 해결 방안으로 지각과 기억, 수행, 파악에 적합한 내용 구성의 방법과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여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사 4
3. 연구대상 및 방법. 10

Ⅱ.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구성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1. 내용 구성 이론의 비판적 검토 12
1) 텍스트 분석 중심의 내용 구성 이론 12
2) 전략 중심의 내용 구성 이론 19
3) 이론적 과제 26
(1) 쓰기 수행을 위한 실천적 이론 지향 26
(2) 개별 텍스트 산출을 위한 이론의 구체화 방안 모색 29
2.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내용 구성 교육의 반성적 검토 30
1) 내용 구성 교육의 문제점 30
(1) 일관성(coherence) 개념의 혼란 및 적용의 단순성 30
(2) 텍스트 분석을 위한 지식 중심 39
2) 내용 구성 교육의 과제 42
(1) 내용 구성 원리의 개념 명료화 43
(2) 목적 지향적인 내용 구성 방안의 제시 44

Ⅲ. 설명적 글쓰기를 위한 설명 목적과 내용 구성 원리의 통합
1. 설명 목적 상세화의 필요성 45
1) 내용 구성 원리의 상세화에 기여 45
2) 목적에 따른 내용 구성 원리의 적용 46
2. 설명 목적의 상세화 48
1) 지각과 기억
: 일관된(consistent) 관념을 통한 사실적 지식에 대한 설명 53
2) 수행(隨行)
: 행위 재현(再現)을 통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설명 57
3) 파악(把握)
: 형식적 사고를 통한 이론적 지식에 대한 설명 59
3. 내용 구성의 일반적 원리 62
1) 내용의 선택 원리로서 통일성(unity) 62
2) 내용의 배열 원리로서 일관성(coherence) 64
3) 내용의 의미 배정 원리로서 강조성(emphasis) 67
4. 설명 목적과 내용 구성 원리의 통합 68
1) 확인을 위한 내용 구성의 원리 68
(1) 선택 원리 : 지각적 유의미성 68
(2) 배정 원리 : 현저성(顯著性) 71
(3) 대표적 배열 방식 : 화제-한정-상술 유형 73
2) 수행을 위한 내용 구성의 원리 74
(1) 선택 원리 : 상황적 적합성 74
(2) 배정 원리 : 목표 지향성(指向性) 76
(3) 대표적 배열 방식 : 상황 규정-중간 목표-최종 목표-확인 유형 78
3) 파악을 위한 내용 구성의 원리 80
(1) 선택 원리 : 개념적 타당성 80
(2) 배정 원리 : 논리적 합리성(合理性) 84
(3) 대표적 배열 방식 : 관찰-해석-검증-일반화 유형 87

Ⅳ. 설명적 글쓰기를 위한 내용 구성 교육의 방법
1. 학습자의 설명적 글쓰기 분석을 통한 문제점 진단 93
1) 화제 및 쓰기 상황 94
2) 학습자의 설명적 글쓰기에 나타난 내용 구성의 문제점 97
(1) 형식적 논리 체계의 구축을 위한 개념적 타당성 문제 97
(2) 논리 체계의 합리성 문제 102
(3) 이론적 지식의 전달을 위한 배열의 문제 105
2. 학습자의 내용 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 107
1) 지각과 기억을 목적으로 한 내용 구성의 교육 방법 107
(1) 범주화 및 차별화를 통한 내용 요소의 선택 107
(2) 활성화 기여도에 따른 내용 요소의 강조 110
(3) 초점화 방법에 따른 내용 요소의 배열 112
2) 수행을 목적으로 한 내용 구성의 교육 방법 115
(1) 과업 수행에 요구되는 행위의 선택 115
(2) 수행 기여도에 따른 내용 요소의 강조 117
(3) 절차화의 방법에 따른 내용 요소의 배열 119
3) 파악을 목적으로 한 내용 구성의 교육 방법 121
(1) 주요 개념의 확인 및 적용을 통한 내용 요소의 선택 121
(2) 논리적 체계성에 기여하는 내용 요소의 강조 124
(3) 체계화의 방법에 따른 내용 요소의 배열 127


Ⅴ. 결론 13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4857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설명-
dc.subject화제-
dc.subject내용 구성-
dc.subject통일성-
dc.subject일관성-
dc.subject강조성-
dc.subject선택-
dc.subject배정-
dc.subject배열-
dc.subject.ddc410-
dc.title설명적 글쓰기 내용 구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xpository Writing Construc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ung cha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 136-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