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 Adjustment process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일-
dc.contributor.author김명찬-
dc.date.accessioned2017-07-13T17:18:11Z-
dc.date.available2017-07-13T17:18:11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63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73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13. 8. 김동일.-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이 적응해 나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 작용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은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적응하는가? 로 요약 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의 학생 중 1, 2학년 시기에 1회 이상 학사경고를 받고 그 후 학기에서는 학사경고를 받지 않고 있는, 등록학기로 5학기 이상(졸업생 포함)의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 과정을 걸쳐 면접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85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에서 인과적 조건은 평범한 삶으로 전환함 과 늘 탁월해야 하는 공부의 힘겨움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내적인 불일치를 경험함, 서울대생답지 않게 생활함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은 서울대생으로서 높은 기대와 책임을 느낌, 쉽게 얻을 수 없는 서울대학교 타이틀,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환경 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학업문제가 알려지고 도움을 받음, 예상치 못한 현실문제가 생김, 생각하며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 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을 직면하고 생각을 바꿈 으로, 학업에 집중함 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학업에 대한 책임을 느낌 과 서울대 위상에 맞는 진로를 찾고자 함으로 나타났다.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은 갈등 단계, 반성 단계, 실천 단계, 통합 단계로 나타났다.
갈등 단계는 연구 참여자들이 학업과 자신에 대해 대학 입학 이전에 형성된 관점에 의해 학업에서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갈등 단계 동안 이들은 고교 시절까지 형성되었던 공부 잘 하고 똑똑하며 성실한 자신과는 다소 동떨어진 자신의 모습을 경험하게 된다. 아울러 고교시절까지 형성된 완벽한 수행과 성취에 대한 기대가 높은 탓에 다소 나태한 학업으로 인해 나타난 어중간한 결과들을 인정하지 않고 재수강을 고려하여 중도에 포기하는 현상을 드러냈다.
반성 단계는 학사경고를 맞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학사경고를 통해 최종적으로 자신이 해당 학기에서 실패를 경험했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학교 생활을 반성적으로 돌아보게 되었고, 학업에서 서울대학교에 소속된 자신의 실력이 평범함을 인정하고 대학의 학업에 대한 정의를 내리게 되며 현실에 맞는 학업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실천 단계는 현실을 직면하고 생각을 바꿈으로 인해서 변화된 행동들이 나타나는 단계를 말한다. 참여자들은 다른 학생들과 비교되거나 심한 경쟁을 하는 상황은 피했고 되도록 자신의 적성이나 관심에 맞는 학과목을 찾아 선택하였다. 고등학교 때의 암기식 공부 방법에서 탈피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았고 강의 내용 중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를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는 등 전략적인 공부를 하게 되었다. 또한 출석, 과제 제출, 공부 시간 늘림 등 기본적인 학업 요구를 만족시키는 등 학업에 집중하였다.
통합 단계는 학업에 대한 관점이 전환 되어 점차 안정되어 가는 단계를 의미한다. 동시에 이들은 학업 실패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진로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고 이것은 학업적응 과정의 결과에서 졸업 이후를 준비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즉, 학업 적응의 결과는 대학에서 겪고 있는 학업에 대한 책임을 느끼는 동시에 졸업 이후를 준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졸업 이후의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서 이들은 서울대 출신 학생이라는 점을 감안한 진로를 찾아 준비하였다.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에서 핵심범주는 학업과 자신에 대한 관점 전환을 통해 불일치를 줄이고 학업을 수행함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빠른 전환형, 느린 전환형, 관점 갈등형, 관점 유지형 의 4개 유형이 나타났다.
빠른 전환형은 동기 없음의 상태에서 학업실패 경험한 후 즉각적인 각성을 통해서 서울대학교에서 자신의 현실을 파악하고 그에 기반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진로 방향성을 감안하여 학업에 적응하는 유형이다. 느린 전환형은 학업에 대한 강박적 태도로 인한 학업실패를 경험한 후 학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강박적 태도를 조절해 나가며 서서히 전환해 나가는 유형을 말한다. 관점 갈등형은 학업실패 후 적응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관점으로 인해 학업과 진로에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적응해 나가는 유형을 말한다. 관점 유지형은 부모, 가족 등의 의미 있는 관계에서 긍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하고 진로에 대한 갈등이 심한 상태에서 기존의 관점을 유지한 채 서울대학교 졸업에 의의를 두는 유형을 말한다.
본 연구 결과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은 서울대생으로서 높은 기대와 책임을 느낌, 쉽게 얻을 수 없는 서울대학교 타이틀,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환경 의 영향을 받아 내적인 불일치를 경험하고 서울대생답지 않은 생활을 하지만 생각하며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 학업문제가 알려지고 도움을 받음, 예상치 못한 현실 문제가 생김 에 따라 다양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학업에 대한 책임을 갖고 서울대학교 위상에 맞는 진로를 찾아 준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에 학업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인 학생들의 잠재적 취약성을 보완하고 이들을 돕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적응과정 전반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current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proces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by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what does a SNU student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experience and how does he or she adjust?
For this, 15 SNU students who had been under academic probation at least onc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year in college but have been off the academic probation afterward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ll participants have attended at least 5 college semesters.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Strauss & Corbin, 1990).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pon categorization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a total of 85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extracted. Category analysis using coding paradigm revealed that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adjustment process of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s were transition to an ordinary life and difficulties of studying for excellence. Core phenomena were experience of self discrepancy and not living up to the name of a SNU student.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se core phenomena were feeling responsible to live up to expectations of a SNU student, privileges of having the SNU label, and environment where one needs to be responsible for oneself. Intervening conditions that either facilitate or repres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garding core phenomena were receiving help once academic problems were known, occurrence of unexpected problems in reality, searching for the direction to follow.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ppeared to be confronting the reality and transforming thoughts and focusing on ones studies. As a result, they reported feeling responsible for ones studies and feeling the need to find a career that fit the status of a SNU student.
The adjustment process of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consisted of conflict stage, reflection stage, action stage, and integration stage.
The conflict stage refers to the period when students experienced academic difficulties due to their previously formed perceptions regarding self and studies. During this stage, they found themselves different from their past selves who had been smart and diligent. Because they had met expectations for high-level performance and achievement up until college entrance, they tended to refuse to accept their mediocre academic results in college. Instead, they chose to give up midway in consideration of retaking the courses.
The reflection stage occurred after the students were put under academic probation. Once their academic failure was made official through academic probation, the students began to reflect on their school life. Gradually, they came to accept that their abilities are considered ordinary at SNU. They redefined what college studies mean to them and set realistic academic goals.
The action stage occurred when students confronted their reality and began to behave differently with transformed thoughts about themselves and studies. Participants tended to avoid extreme competitions with other students and chose classes that fit their interest and aptitude. Moving away from the rote memorization approach of studying, they began to study strategically by proactively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developing skills to discern important lecture materials. They now focused on their studies by fulfilling basic academic requirements such as attendance, homework submission, and longer study hours.
The integration stage refers to the gradual stabilization of their newly gained perspective on their studies.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nts starte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ir career paths after experiencing academic failure which led them to prepare for their post-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academic adjustment entails both feeling responsible for their studies and preparing for post graduation life.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selected and prepared for career directions that seemed fitting for SNU students.
The core criterion in the adjustment process of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appeared to be performing academic tasks by reducing the discrepancies through changed perceptions regarding self and studies. Upon analysis of relevance among criteria around this core criterion, four types emerged: fast transition type, slow transition type, perspective conflict type, and perspective maintenance type.
The fast transition type immediately awakens after experiencing academic failure due to lack of motivation. This type assesses his reality at SNU and sets new goals that fit his career direction. The slow transition type slowly transitions by regulating his compulsive behaviors that affect his academic performance after experiencing academic failure. The perspective conflict type gets gradually adjusted academically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rial and error in establishing a career path. The perspective maintenance type regards college graduation as meaningful itself since he cannot receive positive support from parents or family and is seriously conflicted in his career deci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first underwent the experience of self discrepancy and found themselves not living up to the name of a SNU student because they were affected by feeling responsible to live up to expectations of a SNU student, privileges of having the SNU label, and environment where one needs to be responsible for oneself. However, they came to receive help once academic problems were known, face unexpected problems in reality, search for the direction to follow. Through such experiences and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ey gained responsibility for their studies and prepared for careers that fit the status of a SNU stud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for these students. The potential vulnerability of college students who had achieved great academic successes in high school is noted and directions for helping them through counseling were discussed. In sum, this study sough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nditions that affect the adjustment of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highlighted the possible vulnerabilities of academically competent students and provided direction for systematically helping them through specific counseling interventio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7

II. 이론적 배경 8
1. 전환학습이론 8
2. 자기불일치이론 15
3. 학생통합모델 21
4. 학업집단효과 27
5. 서울대학교 학생 선행 연구 31

III. 연구방법과 절차 36
1. 연구방법 36
2. 연구절차 40
1) 참여자 선정 과정 41
2) 면접참여자의 특성 45
3) 연구자에 대한 정보 47
4) 면접 48
5) 자료분석 50
3. 연구과정의 평가 53
IV. 연구결과 56
1. 개방코딩 : 자료의 범주화 56
2. 축코딩 130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130
2) 과정 분석 136
3. 선택코딩 142
1) 이야기 개요와 핵심범주 142
2) 가설적 관계 진술 145
3) 서울대학교 학생의 학업 실패 후 적응 유형 147

V. 논 의 153
1. 적응과정에 관한 논의 153
2. 핵심범주 및 적응유형에 관한 논의 158
3. 상담 및 교육에의 시사점 논의 159

Ⅵ. 결론 및 제언 163
1. 연구의 의의 163
2.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63

참고문헌 167
부록 183
ABSTRACT 18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403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서울대학교-
dc.subject학업실패-
dc.subject학사경고-
dc.subject적응과정-
dc.subject근거이론-
dc.subject.ddc371-
dc.title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dc.title.alternativeAdjustment process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Myeung Cha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viiii, 195-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