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朝鮮初期 誣告罪와 反坐律에 관한 硏究 : False Accusation and its Punishment by Retor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긍식-
dc.contributor.author서정민-
dc.date.accessioned2017-07-13T17:26:30Z-
dc.date.available2017-07-13T17:26:30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317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848-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2. 8. 정긍식.-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에서는 조선초기 무고죄에 대한 법적 규율과 그 역사적 의의를 밝혀보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당시의 법규정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사례를 바탕으로 무고죄의 요건과 효과를 추적하고, 무고죄의 法理가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였으며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무고 사건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조선초기에는 중국의 법인 大明律을 수용하여 조선사회의 현실에 맞게 적용하면서 經國大典과 같은 고유의 법전을 편찬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일반형법으로서 기능한 大明律에 관한 활발한 해석론이 전개되었는데, 이는 무고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무고죄는 고대 중국법에서부터 규정되어 왔는데, 誣告한 사람은 오히려 자신이 誣告한 죄의 형벌을 받게 되는 反坐律로 다스려졌다. 唐律에서 확립된 反坐律은 明律에 이르러 被誣告罪의 종류를 세분하고 그에 비례하여 형벌을 가중하는 엄벌주의로 강화되었다. 조선왕조는 이러한 大明律을 수용한 바탕 위에서, 왕조의 안위와 유교적 신분위계질서, 사회의 풍속 등 조선 고유의 가치를 옹호하고자 부분적으로 大明律을 변용하는 고유의 법을 확립하여 갔다.
무고죄의 범죄구성요건은 크게 告와 誣로 구성되는데, 조선초기에는 매우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무고죄의 告 요건을 설정하여 웬만한 告 행위는 거의 誣告 판단의 대상이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신분질서의 유지가 특히 중요하여 誣告 억제의 필요성이 강하였던 일정한 신분관계 내에서는 고소하기만 하면 誣告 여부를 불문하고 처벌하기도 하였다. 거의 모든 告 행위가 무고죄의 告 요건에 해당하였기 때문에 誣 요건이 誣告 판단의 실질적인 잣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誣는 고한 내용이 허위임을 의미한다. 조선왕조는 대명률에 따라 고소한 내용 중 진실인 부분과 허위인 부분을 분리・구별하여 重罪에 해당하는 부분이 허위인 경우에만 誣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보았고, 이 경우에도 진실인 부분은 죄를 감하여 실질적인 허위 고소 부분에 한정하여 형벌을 가하였다. 誣 요건이 성립하려면 허위에 대한 고의도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진위를 제대로 살펴보지 아니하고 고소하면 고의가 충분히 인정되었다. 그러나 臺諫의 彈劾이나 중대한 綱常罪의 처리에 있어서는 보다 엄격한 고의를 요구하거나 고의를 요하지 않는 등 고하는 행위 유형과 사건의 성격에 따라 허위인식에 대한 차별적인 잣대를 적용하였다.
무고죄가 성립하면 反坐律에 의거하여 被誣告罪의 법정형에서 가중한 형벌을 받게 된다. 反坐律은 기본적으로 동서양의 고대법에서 비롯되는 同害報復法에 따라 被誣告者가 입은 피해에 대한 應報的 형벌을 가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비례적인 형벌 부과로써 범죄 예방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합리적인 양형기준이기도 하다. 조선초기에도 反坐律은 무고자가 행한 惡을 징벌할 뿐 아니라 무고하는 풍속을 순화시키며 소송과 분쟁을 줄이는 적절한 수단으로도 인식되었다. 조선초기에는 謀反 등 국가의 안위에 관련된 중대범죄에 관한 무고가 특히 많았는데, 당시 사회의 분위기에서는 이러한 범죄에 대한 고소가 있으면 신속하게 수사가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피고소인에게 즉각적이고 현실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는 일반 무고죄와 달리, 보다 강화된 양형을 정하는 입법이 이루어져 조선의 法典에도 반영되었다.
조선초기 무고 사건의 실태를 살펴보면, 무고는 특정 신분층에 편향되지 아니한 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공히 시도하던 일반적인 범죄였고, 무고에 주로 활용된 것은 謀反 범죄가 압도적이었다. 당시 사람들도 현재와 마찬가지로 개인적인 원한이나 복수의 감정, 재산에 대한 욕심 등으로 인하여 誣告하였다. 反坐律이 엄격히 집행됨에 따라 誣告 사건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형의 減免은 특별한 사정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최소한의 범위에서 드물게 이루어졌다. 조선왕조는 反坐律에 의한 誣告 엄벌과 일정한 영역에서의 고소 제한으로써 범죄 예방과 유교적 신분질서 확립의 목적을 상당부분 달성할 수 있었다. 또한, 臺諫의 彈劾을 무고죄로 의율할 때에는 고도의 허위 인식을 요구하여 무고 성립의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자유로운 탄핵의 특권을 보장하고 국왕의 통치와 관료에 대한 비판 여론을 활성화시켜 건전한 정치풍토를 조성하였다. 무고죄 요건 해석에 있어서 허위 판단의 기준이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정립되었던 점은 범죄의 신고를 장려하는 한편, 고소 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조선초기 무고죄와 反坐律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그 근간이 유지되었으며 大韓帝國期 刑法大全까지 지속되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mainly focuses on legal regulations on false accus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 and their historic meaning. The elements and effect of false accusation are traced based in the criminal codes of that time as well as the cases in the Sillok(實錄). Also, the realities of false accusation cases from 1392 to 1494 are analyzed with emphasis on how legal principle of false accusation worked and affected actual life. Joseon Dynasty enacted its own code,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at an early stage, which adopted Dae Myeong Ryul(大明律, Chinese: Da Ming lü) but modified it to adapt to Joseon circumstances. In the mean time, interpretation of Dae Myeong Ryul which functioned as the basic criminal code of the Joseon Dynasty was vigorously disputed including issues about false accusation.

False accusation has been regulated since ancient times in China. A person who falsely accused another was subjected to punishment by retortion, which means imposing on the false accuser the punishment for the crime of which he had falsely accused his victim. This rule was called "Banjwa"(反坐, Chinese: Fanzou). Banjwa had been established well from Tang Code(唐律). Dae Myeong Ryul classified the types of false accusation and reinforced the punishment in proportion to the severity of crime falsely accused. Joseon Dynasty has established its own legal system in terms of adoption and partial modifying Dae Myeong Ryul in order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dynasty and protect its values, such as Confucian hierarchical order and ethics.

False accusation consisted of two elements: accusation and falsity. Almost all instances of accusation could be subject to claims of false accusation due to the comprehensive and extensive requirements for accus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addition, certain types of accusations, such as a slave's accusation against his or her owner or a resident's accusation against his or her magistrate, were punished unconditionally, whether they were false or not, because of the supreme importance of maintaining hierarchical order. Falsity meant that the substance of accusation was fabricated, which was a practical criterion for false accusation on account of broad scope of accusation. The Joseon Dynasty separated and distinguished between truth and falsity of an accusation according to Dae Myeong Ryul, by which the element of falsity was satisfied only if the most serious crime amid all of the accused crimes could be seen as false. Even in this case, punishment of the false accuser was no more than the punishment that would have been meted out for the false portion of the accusation, after mitigating punishment for true portion of accusation.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falsity, there should be an intent for falsity. In general, as long as the accuser did not take account of whether accusation was true or not, the intent was established. However, exceptions arose at times, which required stricter standards to establish intent for false impeachment of government officials, and required no showing of intent for false accusations of moral turpitude.

According to the Tang Code, in all cases of falsely accusing others of punishable offenses, the penalty should be the same as that for the offenses that are falsely accused. This rule was revised in Dae Myeong Ryul and the penalty of false accusation should be generally increased two or three degrees over that for the offenses that are falsely accused except for death penalty cases. It was clear that the penalty of false accusation was determined on the extent of damage that the false accusers did to their victim in both codes. This rule is on the basis of Banjwa which means basically talion in which a person who inflicted damage on another person has to be punished accordingly for the damages. The principle of lex talionis has been largely accepted as retributivism from ancient era in both East and West. The law of Banjwa, however, was not limited to mere talion. It functioned as a means of the prevention of false accusations through proportional punishment for th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instrument not only for moderating social disorder but also for decreasing litigation and dispute, in addition to retaliating against the criminal who falsely accused another. Despite the law of Banjwa, there was an exceptional sentencing guide regarding rebellion and treason. A number of cases involved accusations of these crimes, which threatened national security, since accusing a person of these crimes might cause rapid investigation and severe violence against the accused without delay. Thus, Joseon Dynasty sometimes adopted extraordinarily severe punishment against false accusations of these crimes.

As far as real cas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oncerned, false accusation were made by a broad range of people from a wide variety of social classes.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false accusation was related to rebellion. People at that time falsely accused others motivated by personal grudges, vengeful feelings and greed for property as much as in these days. False accusation cases gradually decreased as a result of strict application of the law of Banjwa. Consequently, the Joseon Dynasty was able to accomplish not only prevention of false accusation crimes and litigations, but also reinforcement of the Confucian hierarchical system. Also, the Joseon Dynasty encouraged public criticism toward kings reign as well as bureaucrats administration because such impeachment accusations could be punished only by showing the accuser's strong conviction of falsity. This contributed to forming a sound political platform. When it came to interpretation of the elements of false accusation, the fact that criteria for evaluating falsity were objectively established contributed not only to the encouragement of crime reporting, but also to maintenance of a stable system of accusation. Regulations concerning false accus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sustained throughout the whole duration of Joseon. They were also reflected in the Penal Code of Dae-Han Empire(大韓帝國) in 190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序論 1
I. 문제의 제기 1
II. 연구의 현황 5
III. 연구의 범위와 순서 8

제2장 朝鮮初期 誣告罪의 沿革과 法的 規律 11
I. 전통 중국법의 무고죄 역사와 법해석 11
1. 秦律 : 무고죄 처벌법의 형성 11
2. 唐律 : 誣告反坐律의 확립 15
3. 明律 : 무고죄 처벌의 강화 및 양형의 세분화 18
II. 朝鮮의 무고죄 도입과정과 법규정 35
1. 조선 개국 이전의 무고죄 35
2. ≪大明律≫의 수용과 무고죄의 朝鮮的 變容 36
III. 서양법의 무고죄와의 비교 43
IV. 小結 55

제3장 誣告罪의 告 要件 57
I. 조선초기 무고죄의 범죄구성요건 57
II. 고소 제한과 무고의 사전적 차단 59
1. 奴婢의 本主 告訴 不許 59
2. 部民의 守令 告訴 不許 75
III. 무고죄의 '告' 요건의 확장 79
1. 무고죄의 告 79
2. 告의 자발성 86
3. 특별한 형태의 告 98
4. 告하는 행위의 분담 107
IV. 小結 112

제4장 誣告罪의 誣 要件 114
I. 誣 요건의 意義 114
II. 허위 판단의 기준 117
1. 하나의 고소사실 중 일부가 허위인 경우 118
2. 여러 개의 고소사실 중 일부가 허위인 경우 122
3. 여러 명에 대한 고소사실 중 일부가 허위일 경우 126
III. 허위 인식의 정도 128
1. 조선초기 무고죄의 허위 인식 128
2. 臺諫의 허위 인식과 風聞擧劾 133
3. 중대한 綱常罪의 처벌과 허위 인식 140
IV. 小結 159

제5장 誣告罪의 效果 : 反坐刑 161
I. 무고죄 양형기준으로서의 反坐律 161
1. 조선시대의 양형 체계 161
2. 反坐의 의미와 근거 164
3. 反坐의 한계 180
4. 反坐律의 시행에 있어서 국왕의 재량 182
II. 誣告反坐律과 사면 187
1. 조선시대 사면의 특수성 187
2. 사면과 反坐律의 충돌 : 李承孝의 무고 사건 189
III. 謀反 등 무고죄의 특별양형 195
1. 謀反 등 무고의 특수성 195
2. 謀反 등 무고처벌법 확립의 추이 197
IV. 小結 207

제6장 誣告反坐律의 歷史的 意義 209
I. 무고죄에 대한 한국 전통의 인식 209
II. 조선초기 무고 사건의 실태 215
1. 무고 사건의 발생 추이 217
2. 무고자 220
3. 피무고자 225
4. 피무고죄의 종류 230
5. 무고의 원인 234
6. 무고자에 대한 처벌 237
7. 종합적 분석 245
III. 조선초기 誣告反坐律의 역사적 의의 250
1. 조선초기 誣告反坐律의 특성과 기능 250
2. 朝鮮法典에의 반영 253
3. 서양법 수용과 현대 한국의 무고죄 256
IV. 小結 260

제7장 結論 262
참 고 문 헌 268
【부 록 1】조선초기 무고 사건 목록 280
【부 록 2】조선시대 무고죄 법규정 311
【Abstract】 33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3889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고죄(誣告罪)-
dc.subject무고(誣告)-
dc.subject고(告)-
dc.subject무(誣)-
dc.subject반좌율(反坐律)-
dc.subject반좌(反坐)-
dc.subject동해보복(同害報復)-
dc.subject대명률(大明律)-
dc.subject경국대전(經國大典)-
dc.subject조선(朝鮮)-
dc.subject형법(刑法)-
dc.subject.ddc340-
dc.title朝鮮初期 誣告罪와 反坐律에 관한 硏究-
dc.title.alternativeFalse Accusation and its Punishment by Retor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 JUNGMI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xii, 340-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