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협치적 형사정책에 관한 연구 : Theory and Practice of 'Governance Criminolog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한균

Advisor
조국
Major
법과대학 법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거버넌스시민참여협치적 형사정책공화주의 법이론지역사회기반 범죄방지정책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형법전공, 2017. 2. 조국.
Abstract
본 연구는 범죄방지 정책의 거버넌스(governance)를 거버넌스(협치)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현대 형사정책의 정당성과 효과성을 개선하는 정책 모형을 새롭게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협치적 형사정책 (governance criminology
governance model of criminal justice policy)에서 협치의 핵심내용은 협업(partnership), 연결망(network)과 시민참여다. 공화주의(republicanism) 이론은 형사정책에서 시민참여의 필요성과, 현대사회에서 자유와 안전을 공동체 안에서 실현하는 정책기획을 뒷받침해 줌으로써 좋은 협치를 가능케 해 준다. 협치적 형사정책은 범죄방지와 피해회복에서 지역사회 차원의 정책협업과 시민참여를 결합한 현대사회 안전정책 모형이다.
본 연구는 협치 이론의 자유와 안전, 민주주의에 대한 관점에 따라 현대 사회 형사정책의 대중정치화 및 위험형법화에 따른 안전기획과 안전거버넌스 전개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현행 지역사회기반 범죄방지정책과 사회내 범죄자관리정책을 법제기반, 지역사회 정책연결망, 시민참여 협업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협치적 형사정책 모형으로 설명하고, 그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가 필요한 배경과 연구 목적을 설명한다. 이어 제2장에서 거버넌스(협치) 이론, 공화주의 법이론을 검토하고, 제3장에서 현대 형사정책의 특징적 전개양상을 안전기획과 안전거버넌스로 개념규정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검토와 분석에 바탕하여 구성한 협치적 형사정책 모형은 제4장에서 지역사회협력사법(community justice), 지역사회내 범죄자관리 관련 개별 정책경향들을 형사사법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시민 참여 및 협업을 제도화하고 증진하는 정책으로 규정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발전양상을 비교법제도적으로 살펴보고, 협치적 형사정책의 틀 안에서 체계화한다. 협치적 형사정책은 더 정당하게 효과적으로 범죄를 방지하고 피해를 회복함으로써 국민의 신뢰를 받는 형사정책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관점이다. 제5장에서는 협치적 형사정책 모형에 따른 분석 및 평가에 근거하여, 협치적 형사정책의 이론적ㆍ정책적 의미와 실천과제를 결론적으로 제시한다.
현행 구금형대안으로서 사회내처우의 확대, 상습범죄자, 특히 성폭력범죄자의 사회내 감시, 지역환경정비를 통한 범죄방지,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등의 다양한 형사정책수요와 프로그램들은 국가와 시민사회의 협력의 확대강화를 요청하고 있다. 형사사법은 사회갈등해결과 위험의 예방적 관리에서 가용자원의 제약과 법적수단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으며, 이를 범죄통제 거버넌스로서의 이론적 재구성과 이에 따른 정책적 방안창출을 통해 발전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즉 형사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시민 협력적 형사정책으로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 형사정책은 범죄방지정책 기획과 실천에서 관련 당사자를 연결하고 시민참여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함으로써, 그리고 형사사법을 지역사회 자치와 시민 참여 차원과 결합하는 관점에 따라 보완함으로써 개선을 모색할 수 있다. 협치적 형사정책은 법치국가 원칙 안에서 현실 형사사법자원의 한계를 고려하면서 기존 제도와 정책을 지역사회 자원과 시민참여를 통해 개선·보완함으로써 형사정책의 정당성과 효과성을 높이고 국민의 신뢰를 두텁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형사정책에서 협치 모델을 통해 시민사회,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조직과 주민의 참여와 협력이 이루어진다면, 시민사회의 자율, 신뢰, 협동의 가치는 형사정책에서의 민주주의와 안전의 성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The thesis proposes a criminological theory of governance for promoting effectiveness and accountability of contemporary criminal justice and crime prevention policies. Governance criminology is a new conceptual perspective of criminology, encompassing republican legal theory and community justice model, which provides Governance model of criminal justic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criminal justice and crime prevention.
The governance model of crime prevention is consisted of network, partnership, and public participation. Its core elements are legislative basis, community-based policy network, and government-citizen partnership programs.
The legal basis for the governance model secures public participation and the effectiveness in the practice of crime prevention programs. Network of criminal justice policies demands partnership and co-ordination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and review on community-based crime prevention policies. Institutional basis for the governance criminal policies should be community network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uch networks, there needs information sharing, cooperation in problem-solving, and coordination among partners of the networks. Further, instrumental basis for the governance criminal policies should be problem-solving partnership programs, focusing on public participation. Such programs provides both criminal justice agencies and community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ooperation in securing community safety.
Contemporary criminal laws and criminal justice policies are challenged by penal populism, the punitive turn, and the advance of risk criminal laws, or safety criminal laws, which may threaten the legitimacy, effectiveness and accountability of criminal justice system. Community sentences as alternative to imprisonment, community treatment for persistent offenders, including serious sex offenders, and victim support demand positive policies on the partnership of the government and citizens. Criminal justice agencies face the limits of legal measures and criminal justice resources in dealing with social conflicts and risk management. Such problem-situation shall invite new theory of governance of crime control, which followed by practical model of governance criminology.
The 2nd genera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which currently be endors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Police Agencies and several local governments shows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in crime prevention policies. It also suggest the concept of community safety to the criminal justice, as its integral part of crime prevention policies. A safe society, which expected to be realized in each community and in everyday life of citizens, should have prioritie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criminal justice policies. Community Safety-Network for Women and Children,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Korea also should be focused as the best practice of governance criminal justice policy, as the Network is taking critical roles in crime prevention and victim protection, based on community policy network and public participation programs.
A model of governance criminology, which the thesis proposes, will contribute to the reform of crime prevention policies by focusing public participation, community partnership and public-private networking. Where community and citizens participate in crime prevention and victim support, there will be more democratic reform of criminal justice system. Criminal justice can be transformed for promoting both freedom and safety of citizen by institutionalizing community partnership and public participation into its crime prevention practice. Bureaucratic management and hierarchical process will be replaced with interrelated and communicative network and co-ordinated partnership under the governance criminal justice model. Limited resources of criminal justice system will be complemented by community resources, which may more effective in offender management and victim support in the community. On the other hand, community resources can be developed where citizens have interest in the community problems of crime and disorder, and volunteered to take their own action for the fellow citizens. This will be more effective way of controlling and prevention crimes, and further be of restoring community and democracy in progres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