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접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rafting in Visual Identity Desig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주은

Advisor
백명진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이덴티티 디자인접목플랫폼미술관미술관 플랫폼협력 네트워크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전공, 2013. 8. 백명진.
Abstract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우리 사회·경제·문화를 급격히 변화시키며 사람들의 욕구를 점차 다양화·세분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혼자 대응하기보다는 여러 집단이 서로 협력하고 제휴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노력 중 다수의 사업자와 수요자를 연결시키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플랫폼(Platform)이 주목받고 있다. 플랫폼은 공급자,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하여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을 의미한다.
플랫폼은 참여자들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와 혜택을 제공해줄 수 있는 상생의 생태계로서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공공기관에서도 플랫폼을 적극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011년 시작된 구글 아트 프로젝트(Google Art Project)의 사례처럼 미술관들의 콘텐츠와 정보를 연결시켜 유익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대중들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미술관 플랫폼의 개발은 창조경제 시대에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성공적인 플랫폼을 위해서는 많은 참여자를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이목과 흥미를 끌기 위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플랫폼은 특정 범주 안에서 수많은 독립적 집단들로 이루어져 있고 무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기업이라는 점에서, 일반적 기업이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는 다른 접근을 요구한다. 과거 기업은 자신의 이미지를 무조건 차별화시켜 다른 기업이나 브랜드와 연관되지 않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었던 반면, 이제는 자신의 이미지에 도움이 되는 대상이 있다면 그것을 기꺼이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결합시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확장·강화시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술관은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다양한 집단과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가변적이고 확장적인 아이덴티티 전략을 많이 채택해왔다. 따라서 미술관 플랫폼 또한 가변적 아이덴티티 패러다임의 연장선상에서 서로 다른 대상의 아이덴티티 요소들이 결합되면서 확장성을 가지는 방향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할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플랫폼의 아이덴티티를 접목성이라 규정하고, 그 시각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플랫폼의 접목성이란 서로 다른 집단들이 연결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을 의미하고, 플랫폼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접목성이란 원래 존재하던 개별 집단들의 고유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심벌, 로고, 칼라, 패턴 등)들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 전체나 부분을 그대로 플랫폼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에 접붙임으로써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만들어내는 방법과 전략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플랫폼의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고 본 논문에서의 플랫폼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3장에서는 미술관에 대한 이해와 함께, 사례분석을 통해 미술관 플랫폼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미술관 플랫폼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접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5장에서는 작품연구를 위해, 서울시의 36개 미술관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미술관 플랫폼을 설정하고, 미술관들의 소장품, 전시, 이벤트 정보들을 공유하는 온라인 매체 제작을 통해, 서로 다른 대상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들이 접목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서 플랫폼과 플랫폼의 아이덴티티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기존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과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digital age is changing South Korean society at a dramatic rate. Consequently, as a new business model where private corporations gather to resolve problems instead of responding individually, the concept of platforms has caught attention. A platform is an environment constructed so that multiple groups including suppliers and users can participate and exchange the value that they each wish to acquire. A platform is a mutually beneficial ecosystem that can provide all participants with new value and benefits, and not only private corporations but also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s, too, are making efforts actively to introduce platforms. Especially valuable is the development of museum platforms, which, as in the case of the Google Art Project initiated in 2011, will make possible the development of useful services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and information held by art museums and the creation of new cultural value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Because a successful platform requires the securement of numerous participants, a visual identity strategy for gathering peoples attention and arousing their interest is necessary. In that it consists of countless independent groups and is a network service and a private corporation based on intangible information, a platform demands an approach different from that to general corporate identities and brand identities. However, research on visual image and identity design strategies for platforms is nearly non-exist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defining the identity of platforms as grafting and offering a method for visualizing that identity. Grafting in terms of platforms signifies the connection of disparate groups to create a synergistic effect. Grafting in platform identity design signifies the creation of new meaning and value by grafting, in part or in their entirety, the unique identity design elements (symbols, logos, colors, patterns, etc.) of already existing individual groups onto platform identity design elements without modification.
To achieve such goals, Chapter 2 examines the diverse meanings and functions of platforms and defines the concept of platforms in the present study. Chapter 3 explores the concept of museum platforms and searches for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se platforms through case analysis. Chapter 4 examines grafting with respect to museum platform identity design. Chapter 5 establishes a hypothetical museum platform consisting of 36 art museums within Seoul and, through the production of online media for sharing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s, exhibitions, and events of art museums, proposes identity design strategy and direction onto which are grafted the identity design elements of disparate object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underscoring the necessity of identity design research on platforms and providing an occasion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new identity desig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