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참여디자인 방식을 통한 공익캠페인 디자인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정윤

Advisor
백명진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익캠페인참여디자인공동창조공동디자인 키트긍정 정서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14. 2. 백명진.
Abstract
기술의 발전은 창작의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대중들은 디자이너와 마찬가지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이제 그들은 거대한 네트워크 안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디자인 분야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사회적 디자인 등의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전문분야로 확장 발전하고 있다.
대중의 능동적인 참여가 가속화됨에 따라 디자인 또한 경험적 환경을 이해하고 공동창조를 통한 가치창출(Prahalad & Ramaswamy, 2002)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경험은 수용자를 공동창조 과정에 참여하도록 독려할 수 있다(Payne, Storbacka et al., 2009). 수용자는 공동창조 과정을 통해 결과에 가치를 부여하며, 수동적 관객에서 적극적 플레이어로 전환 된다(Prahalad &Ramaswamy, 2002
Vargo & Lusch, 2004).

전통적인 공익캠페인은 수용자들에게 캠페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매스미디어를 기반으로한 광고에 치중하여왔다. 그러나 이런 주체자 위주의 일방적인 설득과 주장은 목적달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한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수용자의 특징을 이해하고, 수용자의 직접적 경험이 포함된 공익캠페인 디자인 전략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공익캠페인에서 참여를 통한 공동가치 창조는 수용자의 적극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자의 가설이다.

이를 위하여 공익캠페인과 참여디자인의 선행연구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참여형 공익캠페인 전략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작품연구에서의 활용방법을 가시화 한다.

작품연구는 다양한 공익캠페인 주제 중에서 학교폭력 예방캠페인에 집중하여, Change the (Black)Sheep: 긍정 정서 경험을 이용한 정서적 회복과 공감 메시지 전달이라는 콘셉트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였다. 참여디자인 방법으로는 공동디자인 키트(Co-design kit) 개념을 사용하여 단계별 참여방법과 구성을 디자인 하였다. 각 단계는 인지단계, 실행단계, 성취단계로 나누어진다. 공동 창작자의 역할로 수용자는 제시된 캠페인 전략에 따라 참여, 나눔, 확산의 단계를 거쳐 공익캠페인을 경험하고 완성하게 된다.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의 맥락을 고려하여 기존의 공익캠페인 디자인 방법의 활용범위를 넓히는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어떤 유형의 참여디자인이 어떤 공익캠페인에 시도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작업은 참여디자인 형태의 공익캠페인 디자인을 위한 실용적 가치와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