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자인 구상·구현의 과학·기술 활용에 대한 과학기술학적 고찰: 수치 및 통계 데이터와 플라스틱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Rethinking Design Conception & its representation from the view point of S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수홍

Advisor
이순종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자인 구상·구현과학·기술과학기술학design conceptiondesign representationtechnoscienceperformativityco-constructivityScience & Technology Studie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14. 8. 이순종.
Abstract
오늘날 디자인이라는 용어와 그 개념을 활용하여 개선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삶의 여건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인공물의 제작과 관리에 관련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비롯한다. 그리고 인공물을 존재하게 한 오늘날의 인간의 다양한 욕구는 디자인을 보다 더 다각적인 방식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디자인 결과물은 인간과 인간이 창조해낸 다양한 가치, 제도, 기법, 도구 등이 상호 작용하는 집단적인 프로세스를 거쳐 등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디자인 결과물이 이뤄지는 과정은 주변의 영향으로부터 분리된 어느 한 개인이나 디자이너, 생산자, 그리고 사용자의 독립적인 선택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디자인의 경제적-문화적 생산과 소비의 가치를 강조하려는 이제까지의 여러 디자인 연구들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향과 비교해서 이 연구의 1차적 목표는 디자인의 가치를 강조하거나 그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이 연구는 디자인의 가치가 복합적인 과정을 거쳐 창출되는 방식을 재고찰함으로써 디자인의 진정한 가치를 부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며 비롯했다.
오늘날 디자인 활동은 다양한 자원들을 동원하여 이루어진다. 이론, 실험과 실기, 기술, 이것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디자이너의 창의성처럼 디자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분야의 자원 외에도,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 디자인 밖에서도 매우 다양한 종류의 자원들을 끌어다 쓴다. 특히, 디자인의 결과가 구상되고 구현되는 과정에서 객관성과 적절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다양한 과학·기술의 지식과 데이터를 활용한다. 산업혁명 이후에 본격화한 디자인은, 20세기를 지나며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디자인 밖에서 끌어다 쓸 수 있는 자원이 그 어느 때보다도 풍부해졌지만, 동시에 이것은 디자인 외적인 요인들이 디자인에 개입할 여지가 많아졌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적용과 영향 범위가 넓은 특성에 비춰 디자인은 그 구상과 구현 과정에서 현대성을 반영한다. 디자이너에 의해 이뤄지는 디자인 수행에 대한 전문적인 구상과 구현은 여러 가지 가치들의 작용 방식과 응용 단계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삶을 이루는 현대적 가치들을 수용한다. 디자이너는 인간의 삶의 가치를 반영하는 내용과 목적에 맞게 디자인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여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디자이너의 능력은 디자인 결과물의 형태와 쓸모의 심미적, 상징적 체험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우세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디자인 결과물의 형태와 쓸모가 애초에 의도했던 디자인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 분야에서 비롯한 지식이 관여하게 된다. 그리고 그 분석과 해석, 적용 과정에서는 다시 과학·기술 분야에서 비롯한 정보와 데이터의 활용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디자인이 구상·구현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어떻게 참조하고 활용하게 되는지를 과학기술학의 관점을 통해 살펴본다. 그럼으로써 디자이너가 과학·기술 분야에서 비롯한 정보와 데이터를 보다 비평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디자이너가 주제의 특성과 현황에 맞게 디자인 주제를 구상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수치 및 통계 데이터의 특성과 디자인과의 작용 방식을 과학기술학적 관점을 통해 사례연구로서 살펴본다. 아울러 오늘날 디자인이 구현되는 데 있어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인공합성물질 플라스틱이 지니는 과학·기술적 특성과 디자인과의 작용 방식을 과학기술학적 관점을 통해 사례연구로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의 3장에서는 수치 및 통계 데이터의 특성과 그 디자인과의 작용 방식을 과학기술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구상의 특징적 면모가 이제까지 과학·기술의 지식과 데이터를 어떻게 참조하여 이뤄졌는지를 개괄하고 그 한계와 맹점이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수치 및 통계 데이터를 해석하여 이뤄지는 디자인 구상의 유효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디자이너가 수치 및 통계 데이터와 디자인의 작용 방식을 보다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비평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질문항들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4장에서는 인공합성물질 플라스틱이 지니는 과학·기술적 특성과 디자인과의 작용 방식을 과학기술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형상의 제작과 복제에 관하는 디자인 구현의 특징적 면모가 이제까지 과학·기술의 지식과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이뤄졌는지를 개괄하고 그로 인해 생겨난 인식론적 한계와 맹점이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가 디자인 구현과 과학·기술의 내용의 작용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찰하고 검토할 수 있게 하는 질문항들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5장에서는 과학·기술의 지식과 데이터로서의 수치 및 통계 데이터의 특성과 그 디자인과의 작용 방식과 인공합성물질 플라스틱이 지니는 과학·기술적 특성과 디자인과의 작용 방식을 과학기술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한 내용을 개괄함과 아울러 디자인이 과학·기술의 지식과 데이터를 활용할 때 유념해야 할 내용을 종합해서 제시한다.
디자인이 과학·기술의 지식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상·구현되는 측면을 과학기술학적 관점을 통해 살펴보는 것은, 성공하는 디자인을 위한 전략이나 방법론을 세우는 것보다는, 디자인의 과학·기술 분야와의 상호구성적 관계를 보다 면밀히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관심을 갖는 디자인 밖에도 디자인의 가치를 널리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디자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자인의 구상과 구현 과정에는 여러 제반 사회적 관계들이 피드백과 정보 변형의 과정을 거쳐 다시 침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자인 구상·구현되는 메커니즘에 관한 이해 방안을 다변화하는 것은 사회·경제의 요구가 최종 디자인 산물 속에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보임으로써 디자인낭만주의와 디자인만능주의를 극복하고 디자인과 디자이너, 그것이 속한 사회에 대한 보다 창의적이고 비평적인 시각의 토대를 마련하게 한다.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실천은 이러한 융합적인 관점을 통해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다.
During the recent decades, the term of design and its literacy have become judge elements of life. In evaluating the present-day conditions of living which is built upon the support and criteria provided by various modern institutions and concepts such as function, public health, hygiene, material, standard, structure, system, comfort, development, etc., the concept of design seems to have gone beyond its original meaning of plan and scheme and acquired a new one, indicating the realization of a somewhat more unique appearance and style (or the aspiration toward such an ideal) in a human-built world while guaranteeing a universal aesthetic value without much risk and need for thought.
In these understandings, this thesis started from questioning what sort of epistemologies (or attitudes), data, and materials drive and realize todays design. To measure the co-constructivity between Design and Technoscience, I tried to reflect how design process has utilized the numerical and statistics as modern data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some topics and objects as conception in getting through objectivity guarantying as a case study. And I tried to measure how design processes have pursued their objects by applying plastics as modern conceptual materials for directing forms as representation in getting through propriety guarantying as another case study.
By tracing the way of design conception and its representation through technoscience, following questions could be implicated. Todays science, technology and their aesthetics under the rules of artificial objects that are the effects of design, what place could justify and explain for themselves in everyday life, in which many of modern concepts and epistemologies are generalized? And then, there could be other questions, regarding the institutionalized nature of design today and the methodologies of its cultural realization. (Because, in design, the ongoing debate of it is usually—indeed, almost always— drawn from science and technology, from notions of rationality, efficiency and their (constructed) facts.) So, we could ask: which forms will come to be defined as design and how/what science and technology will (de)form those designs today?
I hope this thesis would help the development of design studi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odays design natur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