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강하구 습지생태계에서 말똥게의 먹이그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동욱

Advisor
이은주
Major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선버들말똥게안정동위원소지방산먹이그물한강하구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명과학부, 2013. 8. 이은주.
Abstract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기반 관리 (Ecosystem-based management)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말똥게를 중심으로 먹이그물 구조를 규명하였다. 한강하구에 발달한 7개의 하천습지와 1개의 무인도에 대해 위치, 경계, 동식물상을 기록하여 목록화하였다. 각각의 습지에 대해 상관 (Physiognomy)에 의한 우점종을 선택하고 수반종을 판별하였으며 이중 염도와 식생에 따라 기수상부와 중부, 하부로 구획하고 각각의 우점종을 선택하였다. 기수상부 (장항습지)는 선버들 (Salix subfragilis), 기수중부 (공릉천하구습지)는 갈대 (Phragmites australis), 기수하부 (성동습지)는 새섬매자기 (Bolboschoenus planiculmis)을 대표군락으로 선택하였다. 말똥게 (Sesarma dehaani)는 각각의 식물군락 내부에 서식굴을 만들어 서식하였다. 기수상부에서 선버들의 높은 순1차생산성 (4777 g m-2 yr-1)과 말똥게의 높은 2차생산성 (100.2 g m-2 yr-1 )은 두 종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와 지방산표지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미성숙 말똥게는 저토를, 성숙한 말똥게는 식물성 먹이를 선호하였고, 성숙한 말똥게의 경우 건조기에는 저토를 선호하고, 다습기에는 선버들의 잎을 선호하고 나아가서 미성숙 개체를 동족포식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수역의 어류 중의 일부와 갯지렁이 등을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식공간과 계절에 따라 말똥게와 식물, 저토의 안정동위원소와 지방산 분석결과, 성숙한 말똥게에 비해 미성숙 말똥게의 먹이원이 다양하지 않고 저토를 비롯한 몇 가지 먹이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이는 기수하부의 경우 다른 두 습지에 비해 해양쪽에 근접한 개방적인 형태이어서 저토를 비롯한 해양성 먹이원 (외생성 유기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3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