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 of ontological difference to noth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영화

Advisor
박찬국
Major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존재론적 차이차-이퓌시스존재와 존재자의 이중성세계와 사물비-인과적 의미의 허락함부재부재에 근거하는 생성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2013. 2. 박찬국.
Abstract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표는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문제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하이데거의 사유를 전기 사유와 후기 사유로 나누고, 전·후기 사유 간의 내재적 연속성에 근거해서 해명된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사유의 고유성을 부재에 근거하는 생성의 사유로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많은 하이데거 연구자들은 전·후기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의 전회(Kehre)를 불연속적인 관계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들 중 몇몇의 연구자들은 전기 하이데거의 사유를 근대 주체성의 형이상학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전회 이후 존재 자체로부터 존재 진리가 사유될 때 전기 하이데거의 사유를 규정하는 주체성의 형이상학이 극복되는 것으로 논의한다. (W. 슐츠, W. J. 리처드슨, K. 헬트, A. 로잘레스의 경우) 존재론적 차이의 문제는 존재 사유의 문제 범위 내에서 다루어지는 것이기에,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기존의 많은 해석들은 다음의 입장을 공통적으로 전제한다. 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는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를 말하며, 세계는 주체로서의 현존재의 구성의 산물이며, 존재자는 그것의 본질을 세계로부터 규정받는다. 한편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존재자는 존재 자체로부터 있다. 무엇보다 후기 하이데거의 사유를 존재 자체에 대한 사유로 해석하는 입장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입장(J. 데리다, J. 마리옹 등)의 주요 논거로 작용해 왔다. 이들에 따르면 존재 자체를 강조하는 후기 하이데거의 사유는 결국 서구 형이상학적 사유 전통에서와 같이 신과 같은 일자나 동일자에 지나치게 경도된 존재 사유이다.
이 논문은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기존 해석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앞서의 선행 연구들은 전·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를 각기 전기 사유에서의 현존재와 후기 사유에서의 존재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은 하이데거의 전기 사유에서의 현존재를 존재의 유일한 의미의 근거로, 후기 사유에서 존재 자체를 신과 같은 존재자 외부의 원인이자 근거로서 해석하는 시야를 전제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가 부여된 것 간의 관계로, 그리고 작용의 원인과 그러한 원인으로부터 결과지어진 것 간의 관계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하여 존재자 전체는 외적인 원인 혹은 내적인 원인의 작용의 산물로 간주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해석은 전기 사유의 견지에서 주체의 구성의 산물로 환원될 수 없는 존재의 소여성, 즉 세계 자체의 개방성과, 후기 하이데거의 사유의 견지에서 존재와 존재자의 내적 관계에 기초한 퓌시스의 생성과 소멸의 운동을 해석하는데 실패한다.
존재론적 차이는 본질(essentia, 존재)과 실제(existentia, 존재자)의 구별이라고 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론적 구별에 대당하는 하이데거의 고유 개념이다. 하이데거의 전기 사유에서 존재론적 차이는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를 가리킨다. 그리고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에서 실존과 현존재의 누구임이 중심적인 문제로 등장한다. 앞서 언급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존재론적 차이는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를 가리키며, 세계는 주체의 구성의 산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전기 하이데거의 주체인 현존재의 구성의 산물로 환원될 수 없는 본래적/비본래적 현존재 사이의 차이와, 무엇보다 본래적 현존재로부터 개방되는 존재의 소여성에 대한 결정적인 해석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존재의 소여성은 전기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세계 자체의 개방성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이는 전기 하이데거의 핵심적인 문제 중에 하나이며, 이는 본래적 현존재의 세계 초월에서 현존재의 자유의 유한성의 문제와 관련해서 해명되는 것임을 보인다.
후기 하이데거에게 존재론적 차이는 전기 사유에서 이 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보다 핵심적인 문제로 등장한다. 후기 하이데거에 따르면,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를 말한다. 그러나 동시에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가 동일한 것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존재와 존재자가 동일한 것을 가리킨다는 해석은 당장 반론에 부딪힌다. 하이데거는 존재자가 아닌 존재를 사유했으며, 그것도 서구의 형이상학적 사유 전통과 다르게 존재 자체를 줄곧 물어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하이데거에게 존재 자체는 존재자 외부나 배후에, 마치 보다 상위의 존재자와 같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존재와 존재자가 차이나면서 동일한 것이라는 사태를 양자의 관계에 대한 비-형이상학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해명한다.
서구 형이상학의 사유 전통 내에서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존재자적 제작함(ontisches Machen)과 존재자적 함(ontisches Tun)의 의미에서의 인과적 사유의 틀 내에서 해석되어 왔으며, 이것은 현대 기술 사회에서 제작의 형이상학(Metaphysik des Machenschaft)의 형태로 정점에 달한다. 단적으로 고·중세 시기,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로 사유된다. 이 속에서 존재는 존재자적 제작함의 성격을 갖는다. 나아가 서구 형이상학을 종합하고 완성한 헤겔에게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존재자 전체를 야기하는 제일 원인과 정초하는 사유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해명된다. 이 속에서 존재는 초월론적 의미에서의 사유의 정초의 산물이 된다. 나아가 서구 형이상학의 사유 전통에 뿌리를 두는 기술 사회에 이르러, 인간은 존재자 전체를 제작하는 형상의 자리에 들어서고, 만물은 인간의 제작의 산물이 된다. 결과적으로 존재자 전체의 생성은 신 혹은 동일자의 작용과 제작의 산물이 된다. 더욱이 존재자 전체를 원인으로부터의 존재자적인 제작의 관점에서 해석했을 때, 무는 어떠한 원인으로부터 있는 것이 아닌 한에서 비-존재자로 간주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서구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론적 구별과 무의 관계에 대한 해석이 허무주의로 귀결되거나 혹은 허무주의의 극복의 시도(니체의 경우)로 귀결됨을 보이고자 했다.
반면 후기 하이데거에게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허락함(Lassen)이라고 하는 비-인과적 의미로 해석된다.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의 이중성의 펼침으로부터, 나아가 세계와 사물의 내적인 상생의 존재방식으로부터 해명된다. 무엇보다 차-이(Unter-schied)는 세계와 사물 양자의 관계를 추후에 매개하는 제삼의 것이 아니라, 세계와 사물의 서로-나뉨(das Aus-einander)과 서로에게로-향함(das Zu-einander)의 내적 통일을 허락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논고는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 문제를 존재자 전체의 통일성의 문제와 함께 해명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자 전체의 통일성을 최고의 원인으로부터 주어진 것으로도, 지성의 초월론적 통일 능력 의해 정초될 수도 없는 것으로, 존재와 존재자의 자생적 놀이(Spiel)의 법칙에 근거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로부터 본 논문은 존재론적 차이를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와 동일성의 내적 관계 속에서 허락함(Lassen), 줌/주어짐(geben)의 상생의 놀이로 해석한다.
나아가 본 논고는 존재론적 차이를 무와의 관계에서 해석한다. 본 논문은 전기 하이데거 사유에서 무를 존재론적 차이와 관련하여 현존재의 세계 연관과 실존 방식과 관련해서 논구한다. 이와 관련하여 후기 하이데거에게 무는 소멸, 부재, 혹은 비어있음으로 해석되고, 이러한 무가 차-이 자체의 전개 운동의 근거로 해석될 수 있음은 하이데거의 텍스트에 대한 내재적 해석을 통해 입증된다. 이로부터 본 논고는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서 존재론적 차이와 무는 함께 논의될 때 각각의 독특성이 분명하게 제시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마지막 주제는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문제를 양자의 관계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것이다. 본 논고가 차이와 무의 관계 자체에 주목하는 것은, 그로부터 현사실적 삶, 즉 생성을 서구 형이상학적 사유 전통과 다르게 긍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기 때문이다. 만일 무가 퓌시스와의 관계에서 존재자의 부재와 소멸로서 해석될 수 있고, 나아가 부재와 소멸이 차이 자체의 전개의 근거로서 이해될 수 있다면,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관계는 소멸 속에서의 생성 즉 부재에 근거하는 생성의 사유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부재를 생을 지탱하는 근거로 간주하는 생성의 사유야말로 잘 사는 법에 대한 성찰을 선사하는 것으로 제시한다.
The primary aim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Heidegger's thought of Being as the thought of ontological difference and of nothing. This work consists of dividing Heidegger's thought into the earlier period and the later period, and of explicating it on the ground of the immanent continuity between two period. This interpretation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his thought of Being as that of becoming based on the absence.
The preceding interpreters take the conversion(Kehre)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as a discontinuity drawing a line between his earlier and later thought. Some of them hold that his earlier thought stands on the modern metaphysics of subjectivity(in case of W. Schulz, W. Richardson, K. Held, A. Rosales). Others take it that the metaphysics of subjectivity, which is regarded as characterizing his earlier thought, can be overcome when truth of Being is thought from Being itself after the conversion. Since the problem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is dealt with within the scope of that of Being, the foregoing interpretations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share the following presuppositions: In Heidegger's earlier thought, the ontological differenc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world and beings. Also, world is the product of being-there(Dasein)'s constitution. Based on the subject's constitution, beings can be. On the other hand, the ontological difference in Heidegger's later thought ind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beings and beings can be in virtue of Being itself. The interpretation that Heidegger's later thought is the thought of Being itself is employed as the ground for the critical opinion raised by J.-L. Marion and J. Derrida. According to them, Heidegger's later thought of Being is the thought of the One or the same, which is nothing but God in the tradition of the western metaphysical thought.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show the following: the preceding studies presuppose that being-there and Being itself are respectively taking the center of Heidegger's earlier and later thought on the ontological difference. This presupposition can imply that being-there in the earlier period of his thought is the only ground of meaning of Being, and that Being itself in his later period is the external cause and the ground such as God. According to this the external or internal cause. Consequently this view fails to explicate the givenness of Being in terms of the earlier though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s, that is, the change of becoming and extinction based on the internal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n terms of Heidegger's later thought.
The ontological difference is Heidegger's own concept as the counterpart to the ontological distinction(die ontologische Unterscheidung) between essence(essentia) and the real(existentia) in the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al thought. In his earlier philosophy, the ontological differenc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world and beings. The matter of existence and of who being-there is has become major issues in the ontological difference. According to some of the aforementioned interpret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world and beings, world is regarded as the product of subject's constitution. But these interpretations have difficulty giving a decisive understanding of the givenness of Being and of the difference between authentic and inauthentic being-there,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constitution of subject. Concerning this issue, this thesis shows that the givinness of Being is one of the intrinsic issues of the earlier period of Heidegger's phenomenology, and that it can be elucidated through the finitude of being-there's freedom in being-there's transcendence into world.
In Heidegger's later thought, the ontological difference emerges as a pivotal notion, which is a notable change compared with its status in his earlier thought. Being and beings are different.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one and the same. But this interpretation faces some objections. According to them, Heidegger makes a central issue not beings but Being. Also, he takes the Being itself as being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s. But we should not overlook that Being is not external to or behind beings just as the highest beings is. This thesis elucidates that Being and beings are different and also the same, by focusing on non-metaphysical meaning of relation between them.
For metaphysical thought,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s interpreted within the frame of causal meaning based on the ontic making or ontic doing. For example,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n the ancient philosophy and the medieval theology was thought as 'the relation between creator and creation'. Moreover, for Hegel, as the consolidator of western metaphysics, the relation was elucidated through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highest cause grounding(die Gründung) the beings-in-their-totality and an absolute foundation(die absolute Begründung) of ontic making of God. Also, when it comes to the technological era, which is rooted in the western metaphysics about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human beings has the position of forming all creation. In this case, Being is the highest cause in the sense of ontic making(Machen) and in the sense of the transcendental enabling(das Ermöglichen). As the result, the beings-in-their-totality becomes the products of the causal doing by God or the Same. Furthermore, I showed that nothing is regarded as the non-beings, as long as beings-in-their-totality is interpreted as the products of ontic making by the highest cause,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nothing in the western metaphysics leads to nihilism or overcoming nihilism(in case of Nietzsche) as its conclusion.
Meanwhile, for Heidegger's later thought, the difference of Being and beings has non-causal meaning of "Letting(das Lassen)". The ontological difference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mutual and internal way unfolding the twofold of Being and beings, on the one hand, and world and things,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differentiation(Unter-shied) is not the third thing mediating the twofold of world and things later, but the mutual and internal way of being conjoining the twofold of world and things, that is, "letting" such as the being apart(das Aus-einander) and the being toward each other(das Zu-einander) of world and things. Moreover, I clarified the relation between beings and Being in connection with the unity of the beings-in-their-totality. Heidegger shows that the unity of the beings-in-their-totality is not founded on the highest cause or the transcendental ability of human intelligence, but is grounded on the autogenous play(Spiel) of beings and Being. From this, I interpreted the ontological difference as letting and giving/givenness in the internal connection with difference and the sameness of Being and beings.
Moreover, this thesis interprets nothing in connection with the ontological difference. Nothing in Heidegger's earlier philosophy is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being-there's relevance to world and being-there's existence. Also, nothing in Heidegger's later thought means the extinction, absence, or emptiness. Consequently, noth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ground of unfolding of differentiation itself.
At last, the issue of this thesis is the relation itself between the ontological difference and not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and nothing are disclosed when they are considered together. Moreover, the reason I focus on the relation itself is that it makes possible to affirm becoming in the sense of non-causal meaning of let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ay of the western metaphysics. If noth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absence and extinction of beings, and if it is also understood as the ground of unfolding of differentiation itself, we can infer the thought of 'becoming in the extinction", that is, becoming based on the absence. Based on this, I argued that the thought of becoming regarding absence as the essential ground of it can present the introspection about way of well being.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5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