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詩經》 자연 경물 모티프의 은유 : Metaphors in The Book of Songs Natural Scene Motif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욱진

Advisor
이영주
Major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詩經》자연 경물 모티프개념적 은유의미영역환유동작상태가변요소불변요소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문학전공, 2017. 2. 이영주.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詩經》에 쓰인 자연 경물이 모티프로 유형화된 사랑의 은유임을 밝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일상생활의 익숙하고 구체적인 의미영역으로 낯설고 추상적인 의미영역을 구조화하여 나타내는 개념적 은유를 사용한다. 《詩經》 자연 경물 모티프의 은유를 논하기 위해 먼저 기존 시경학의 자연 경물 해석 방식이 은유와 환유로 나뉜다는 점을 설명했다. 다음으로 자연 경물 모티프의 핵심은 동작과 상태의 불변요소에 있음을 밝혔다. 동작과 상태의 각 유형은 결합의 의미가 있다. 이것이 시의 등장인물 간의 사랑에 대응하는 은유이다. 마지막으로 사랑의 성패에 따라 《詩經》 자연 경물 모티프가 어떻게 해석되는지 실제 사례를 들어 분석했다.
기존 시경학에서는 자연 경물 모티프에 대해 은유와 환유의 두 가지 해석 방식을 취한다. 전통 시경학에서는 자연 경물을 예교 질서가 구현된 것으로 본다. 이것은 은유의 원리이다. 땔나무는 부부, 풀은 획득의 대상, 강물은 예법, 물고기는 조정의 신하, 새는 규범에 대응한다. 전통 시경학자들은 강상의 확립을 위해 이들 자연 경물과 예법을 별도의 의미영역에 놓고, 둘 사이의 공통점을 찾아 연결하고자 했다. 첫째로 자연 경물에 관련된 동작에서 공통점을 찾았다. 둘째로 자연 경물의 속성에서 공통점을 찾았다. 다만 자연 경물의 속성은 시의 내용에 맞춰 인위적으로 부여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문화인류학에서는 자연 경물을 고대 중국 사회의 풍속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다. 이것은 곧 환유의 원리이다. 땔나무는 혼례의 도구인 횃불, 풀은 회합이나 주술의 채취 활동, 강물은 청춘 남녀 축제의 장소, 물고기는 제례의 성지인 연못, 새는 상왕조의 토템을 대표한다. 문화인류학자들은 고대 중국 풍속의 복원을 위해 자연 경물과 인간사를 하나의 의미영역으로 묶고 둘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자 했다. 하지만 시공간의 현격한 차이를 극복하면서 당시의 풍속을 정확하게 재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詩經》 자연 경물 모티프의 의미를 풀기 위해서는 원문 자체의 규칙성을 찾아내어 비슷한 사례끼리 비교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연 경물 모티프에는 가변요소와 불변요소가 있다. 가변요소는 동식물 및 자연 지형의 각 장소이다. 이들은 시에서 장별로 바뀌는 압운자로 쓰이므로 얼마든지 대체 가능하다. 불변요소는 동작과 상태이다. 자연 경물 모티프에 쓰인 동작은 호출, 이동, 획득, 결속, 섭취의 다섯 가지이다. 상태는 휴식, 존재, 번성의 세 가지이다. 이들은 《詩經》 전체에 일정한 형태로 반복하여 나타나며, 주제와 직결된다. 동작과 상태의 각 유형은 모두 주체와 장소의 결합을 뜻한다. 자연 경물 모티프는 시의 주요 내용과는 별도의 의미영역을 이룬다. 동작과 상태의 결합 이미지는 시의 등장인물의 사랑에 대응한다. 사랑은 남녀의 결혼, 형제의 우의, 군자에 대한 칭송, 잔치에서의 손님맞이, 헤어진 사람에 대한 그리움, 버림받은 작중 화자의 원망 등을 포괄한다. 동작과 상태의 각 유형은 이 폭넓은 사랑을 나타내기 위해 구별 없이 쓰인다. 자연 경물의 의미영역을 구성하는 개념요소들은 사랑의 의미영역에 들어 있는 개념요소에 각각 대응한다. 이에 사랑은 자연물의 물리적인 결합이다라는 개념적 은유가 성립한다.
다음으로 모티프 은유의 여러 가지 양상을 살펴본다. 먼저 자연 경물 모티프는 복합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다음으로 획득 모티프는 특수 사례가 몇 가지 있다. 땔나무에 불 지피기는 땔나무 획득 절차 중 하나인 땔나무 묶기를 대신할 수 있다. 풀이나 물고기를 삶는 모티프는 획득의 대상물과 솥이라는 그릇의 결합에 따른 사랑의 은유이다. 마지막으로 사모하는 사람과 만나지 못하는 내용의 시에서 자연 경물 모티프는 두 가지로 쓰인다. 첫째는 결합의 동작을 부정하는 것이고, 둘째는 자연물의 결합 모티프와 사모하는 사람과 만나지 못하는 상황을 나란히 놓아 대조를 이루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유형의 자연 경물 모티프가 동시에 쓰인 작품을 골라 앞에서 논의한 모티프 분석 방식을 실제로 적용하였다. 사랑이 이루어지는 기쁨이라는 주제로 , , 을, 사랑을 얻지 못한 슬픔이라는 주제로 , , 를 뽑았다. 각 작품에 대한 전통 시경학과 문화인류학의 자연 경물 모티프 해석을 분석하고 뒤이어 동작과 상태에 따른 새로운 은유 해석을 덧붙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이전에 내용 파악이 어려웠던 《詩經》의 자연 경물 모티프가 결국 사랑의 은유임을 보이고자 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6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