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yntax of jussives : 명령 제안 약속문 통사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샛별

Advisor
고희정
Major
인문대학 언어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PJussives (ImperativesExhortativesPromissives)person featuresAgreebindinginterventionimposter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어학과, 2017. 2. 고희정.
Abstract
본고에서는 담화 참여자인 화자나 청자의 태도가 통사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생성문법의 관점에서 통사∙담화 접합부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한국어 명령∙제안∙약속문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문장종결표지 -라/자/마가 명시적으로 실현된 문장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명령∙제안∙약속문은 행위주가 화자나 청자로 고정되어 해석이 된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명령문은 2인칭, 제안문은 1인칭과 2인칭, 약속문은 1인칭 주어를 가지며, 이러한 해석은 주어의 발화와는 무관하다. 이는 문장의 유형이 주어의 의미를 제한하고 영형 주어를 인허하는 것으로 평서문이나 의문문과는 구별되는 명령∙제안∙약속문의 범언어적인 특징이다.

본고에서는 명령∙제안∙약속문의 구조에 대하여, 보문소절(CP)의 일종인 명령절(JussiveP)의 핵(Jussive)에 인칭 자질이 명시되어 있으며(Zanuttini et al. 2012), 이 명령-핵(Jussive)이 시제절(TP) 내부에 위치하는 논항의 의미적 해석과 통사적 분포에 영향을 미침을 주장하였다. 이로써 명령∙제안∙약속문의 내부 구조를 세분화하고, 명령-핵이 가지는 인칭 정보의 본질을 드러내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기존에 화용적인 현상으로 간주되던 비전형적인 제안문에 주목하였다. 전형적인 제안문은 무표적인 상황에서 1+2인칭 주어를 가지지만, 담화 맥락에 따라 1인칭 혹은 2인칭이 단독으로 주어로 쓰이는 비전형적인 제안문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컨대 내가/네가 점심을 사자. 하고 말하면, 이는 화자나 청자가 단독으로 점심을 살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제안문의 주어는 1+2인칭의 부분 집합에 해당한다. 이러한 비전형적인 제안문에 대해, 본고는 명령∙제안∙약속문을 형성하는 명령-핵에 위치하는 1∙2인칭 자질이 각기 독립적으로 목표물(goal)을 탐침(probe)한다는 가정 하에 둘 중 하나만 주어의 해석에 관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분 탐침(subset probing)이 일어남을 주장하였다. 이로써 비전형적인 제안문도 전형적인 제안문과 마찬가지로 통사적 기제인 일치(Agree)에 의해 인허됨을 증명하고, 명령∙제안∙약속문의 여러 하위 부류((비)전형적인 명령∙제안문∙약속문, 간접 명령문, 기원문)에 대해 통합적인 해석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또한 명령∙제안∙약속문에서 명령-핵이 주어보다 아래에 있는 요소의 통사적 분포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서로 공지시하는 지시 표현(R-expression)과 대명사류(pronominal)가 목적어의 소유 구문과 주어에 동시에 나타날 때에는, 지시 표현이 대명사류에 항상 선행해야 한다. 이러한 관찰을 근거로 본고는 대명사류의 해석적인 1∙2인칭 자질(interpretable person feature)이 지시 표현의 비해석적인 1∙2인칭 자질(uninterpretable person feature)과 보문소(complementizer)의 일치를 방해한다는 인칭 자질 방해(Person Feature Intervention)를 주장하였다. 이는 지시 표현이 1∙2인칭으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고유의 지시를 가지지 않고, 보문소에 의존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특성에서 기인한다.

본고에서 수행한 명령∙제안∙약속문 연구는 명사구의 구조를 밝히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명령-핵의 존재를 입증하는 과정에서, 명령∙제안∙약속문의 주어를 평서문이나 의문문에 나타나는 1∙2인칭 지시 표현(imposter) 및 호격(vocative) 구문과 비교∙대조하였다. 이때, 특히 평서문∙의문문에서 1∙2인칭으로 해석되는 지시 표현과 명령∙제안∙약속문의 주어의 차이를 밝히면서, 전자가 담화 참여자에 의존하여 해석되는 것을 근거로 한국어 명사구의 한정사(determiner)가 한정성(definiteness)를 표시하는 영어 한정사와 달리 담화 맥락의 제한을 받는 불완전한 한정사(DFAM)임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발견을 종합한 본고의 주장은 명사구의 비해석적인 1∙2인칭 자질이 문장 층위에서 온다는 것이다. 명령∙제안∙약속문의 논항은 보문소의 일종인 명령-핵이 지니는 인칭 자질에 의존하여 해석이 제한되며, 따라서 논항 간 분포의 제약도 발생한다. 또한 평서문∙의문문에서 1∙2인칭으로 해석되는 지시 표현의 경우에는 명사구의 해석과 담화 맥락과의 관계를 맥락 의존적인 한정사가 매개함으로써 그러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명사구의 인칭 해석에 기능 범주(명령-핵과 한정사)가 관여함을 밝히고, 문장 층위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맺는지 확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Korean is known to have poor morphology in the verbal domain since the predicate is not at all inflected based on sentential argumentation. Thus, some might argue that the language completely lacks Agreement unlike Indo-European languages. However, it contains various sentential particles, the promissive '-ma', imperative '-la', and exhortative '-ca', for instance, which type a clause and express a speaker or hearers emotion or attitude toward an uttered proposition or property. Thus, it is arguable that Korean has rich morphology associated with a speaker or hearer in the clausal domain, contra the verbal one. In line with this,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a person feature in the clausal domain affects a semantic interpretation and a syntactic distribution of an argument within TP focusing on matrix jussives (imperatives, exhortatives, and promissives) in Korean, and supports the idea that there exists a functional head bearing a person feature in jussives, contra non-jussives such as declaratives or interrogatives. By doing so, this thesis expect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clausal domain, and, consequently, of the relation of words and the world.

A subject of jussives has a first or second person orientation: in an unmarked sense, imperative subjects are second person, promissive subjects first person, and exhortative subjects first and second person (typical jussives). However, this thesis focuses on data in which a jussive subject does not completely accord or disaccord with a clausal type. Specifically, in exhortatives, a subject can be either a speaker or a hearer, which is called non-typical exhortatives here. Building on Zanuttini et al.s (2012) analysis that there exists a functional head Jussive in jussive constructions, which contains an interpretable/valued person feature and restricts an interpretation of a subject by Agreement, this thesis proposes subset probing, in which a first and a second person on the exhortative Jussive head probe down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and a subject can Agree with just one of them. Providing the syntactic analysis on the seemingly pragmatic effects, this study elaborates the structure of jussives, and provides a unified approach on the sub-types of jussives: (non-)typical jussives, which is a result of Agree by Jussive (total or subset probing) on the one hand, and indirect order or optatives, which results from the absence of Agree, on the other hand.

Also, a Jussive head restricts a distribution of further embedded elements: when an R-expression occurs with a first or second person meaning in jussives, it always precedes a co-referential pronominal from beginning to end in the derivation. This thesis proposes Person Feature Intervention (PFI), in which a co-indexed interpretable person feature functions as an intervenor to block binding by C (Jussive in jussive clauses) under the assumption that a functional head, rather than an antecedent DP, is a binder (Kratzer 2009). PFI is applied to multiple applications of binding. When the C tries to bind a bound element, and meets with an interpretable person feature of the same kind, the binding operation terminates and the C does not further search for a lower goal. That is, when a first or second person R-expression comes after a co-referential pronominal in jussives, the R-expression cannot be bound by Jussive, and the derivation crashes due to the remaining uninterpretable person feature on the Jussive.

In addition, this thesis proves that jussive subjects are different from other DPs which show a first or second person orientation in non-jussives, those being imposters (Collins and Postal 2012) and vocatives. Imposters have a first or second person denotation, but can function as a third person in a syntactic operation (Agree). Also, since vocatives are basically used to draw a hearers attention, an R-expression which is used as a vocative has a second person meaning unambiguously. Thus, these two constructions deserve to be compared to jussive subjects in regard to the personal interpretation. However, the imposter approach to jussive subjects is rejected based on empirical evidence. First, in terms of familiarity, an R-expression imposter has to express a speaker and hearers relation, but a jussive subject does not necessarily do so. Additionally, bare numerals ([numeral+classifier]) can be a jussive subject, but not an imposter. This thesis tentatively argues that D (Dfam) in Korean is defective, and anchored to a conversational participant unlike definite Ds such as English the. Vocatives do not behave in a parallel way with jussive subjects either, in terms of co-occurrence with bare numerals or demonstratives.

Overall, this thesis argues that a first or second person feature that is not inherent in DP comes from a clausal domain. In jussives, the Jussive head is in charge of the person feature, whereas, in non-jussives, Dfam mediates the association with a noun phrase and contextual information. This accords with DP-CP parallelism (Szabolcsi 1987, 1994) in that the functional heads in DP and CP, Dfam and Jussive respectively, encodes a person feature.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6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