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려-몽골 관계와 고려국왕 위상의 변화 : The Relation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Yuan Empire, and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Goryeo Kings' Statu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명미

Advisor
노명호
Major
인문대학 국사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려-몽골 관계몽골 복속기고려국왕 위상정동행성승상 부마 고려국왕(征東行省丞相 駙馬 高麗國王)관료로서의 속성부마가문(駙馬家門)으로서의 속성중조(重祚)심왕옹립운동입성론기씨일가공민왕 5년 개혁공민왕 폐위시도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2012. 8. 노명호.
Abstract
몽골 복속기 이전, 고려라는 정치단위 안에서 자체적인 논리에 기반해 최고권으로 존재, 기능했던 고려국왕은 몽골과의 관계 형성 이후 그 위상이 변화했다. 본 논문은 몽골 복속기, 전통적 고려국왕 위상에 征東行省丞相, 駙馬 등의 위상이 부가됨으로써 이들이 몽골황실·황제와의 관계에서 가졌던 속성들이 고려국왕권에 이입되는 과정을 밝히고, 그로 인해 이루어진 세 가지 위상의 총체로서의 고려국왕 위상 변화의 내용을 분석했다.
1269년 임연에 의한 원종 폐립사건은 최씨정권 종식 이후 국왕과 政變 공신세력이 권력을 분점하는 寡頭政 체제 아래에서 국왕이 여전히 國政의 중심에 서지 못한, 결정적으로 군사권을 장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이는 임연을 포함한 고려 신료들이 講和 이후 몽골과의 관계를 고려전기 중국왕조와의 관계와 유사하게 봄으로써 몽골황제권의 고려 내정 문제에 대한 직접 개입 가능성을 상정하지 못한 결과이기도 했다.
몽골의 적극적 개입으로 복위한 원종은 寡頭政을 청산하고 국정의 유일한 구심점으로 설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고려전기, 외교적 질서에서만 상위 권위로 존재했던 황제권이 원종 복위 후에는 고려 내에서도 실질적인 최고권으로 존재하게 되었고, 고려국왕의 諸侯로서의 위상은 고려 내에서도 실질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향후 고려의 정치권력 문제는 몽골황제권이 정점에 존재하는 가운데 그 아래에서 고려의 정치권력 가운데 누가 그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되었다. 고려국왕은 몽골황제권과의 다양한 관계들을 통해 여타 권력 주체들을 제압하고 고려 정치세력가운데 최고의 위치를 점하고자 시도했으며, 그 결과로 征東行省丞相 駙馬 高麗國王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충렬왕대에는 부마, 정동행성승상 등 새로운 위상이 고려국왕권에 부가되었다. 몽골황실과의 통혼은 그 자체로 고려국왕권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충렬왕은 부원세력 및 고려 신료들과의 관계에서 국정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의 부마로서의 위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부마라는 위상은 고려국왕권에 제약이 되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고려왕실이 몽골황실의 부마가문이라는 특별하지만 변동 가능한 관계를 통해 권력과 권위를 행사하고 있었다는 측면에서 이루어진 제약에 주목했다. 고려-몽골 관계가 진전됨에 따라 국왕 이외의 고려왕실 내외 인물들이 몽골황실과 통혼관계를 형성하고 그를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는 경우가 다수 생겨났다. 이들의 존재는 고려왕실과 몽골황실의 통혼의 의미를 상대화시키면서 고려국왕권에 부담이 되었다.
1280년, 충렬왕은 2차 일본원정을 위해 설치된 정동행성의 丞相에 임명되었다. 이로써 충렬왕과 洪茶丘 등 일본원정 업무 담당자들 사이에는 최고권위를 몽골황제에 둔, 정동행성 내에서의 위계질서가 성립되었고, 이를 통해 충렬왕은 洪茶丘 등을 제압할 수 있었다. 정동행성승상직 겸임으로 고려국왕은 몽골관료로서의 속성을 일부 갖게 되기도 했지만, 정동행성승상의 관료로서의 성격 역시 일부 변질되었다. 정동행성승상이나 부마와 같은 요소들은 몽골 복속기에도 온전한 형식을 갖추지 못했으며 이후에는 외형적으로 고려국왕권에서 배제된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관료로서의 속성과 부마가문으로서의 속성을 고려국왕·고려왕실에 투영했고, 이는 몽골 복속기의 정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통적 고려국왕의 위상은 몽골 복속기에도 여전히 고려국왕권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그러나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의 위상은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다른 위상들과의 관계 속에서 변화를 보이기도 했다. 그 諸侯로서의 위상이 고려 내에서도 실질적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독자적으로 고려국왕권을 구성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그 위상이 상대화했다.
세 가지 위상의 총체로서의 고려국왕권 역시 변화했다. 이는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국왕의 몽골황제의 諸侯로서의 위상이 고려 내에서도 실질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둘째, 고려국왕은 몽골제국 질서 아래에서 몽골황제권과의 관계를 통해 권력을 부여받게 됨으로써 유사한 관계를 형성한 다른 권력주체와 경쟁을 해야 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런 과정들을 통해 왕조체제 아래에서 고려왕실의 혈연적 정통성의 권위가 갖는 의미와 비중이 얼마간 축소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몽골 복속기 거듭되었던 고려국왕위를 둘러싼 분쟁들의 추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298년 충렬왕-충선왕간 重祚사건을 통해 고려국왕과 신료들은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와 그 안에서의 고려국왕의 위상에 대해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다. 충선왕의 존재로 인해 고려 내 권력의 정점이 이원화하고, 충선왕 폐위과정을 통해 고려국왕의 몽골황제의 諸侯로서의 위상이 분명하게 드러남으로 해서 충렬왕은 고려 내 최고권의 위상을 상실했다. 이는 이후 고려 신료들과 국왕의 정치행태에 큰 영향을 주었다.
1298년 重祚의 과정이 국왕의 정치에 미친 영향은 복위 후 충선왕의 정치를 통해 보다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복위 후의 충선왕대에는 충선왕이 몽골 武宗, 仁宗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음으로써 권력중추의 이원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몽골황제권과 고려국왕권의 상하관계는 보다 분명한 형태를 띠며 나타났다. 복위 후 충선왕은 관제개편을 포함한 제도적인 면에서 諸侯로서의 위상을 분명히 했다. 그와 함께 충선왕은 몽골황실·황제와의 관계 강화에 주력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전 시기 중국왕조와의 관계와는 다른 몽골과의 관계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인지하고 활용했다. 충선왕은 가문간 관계로서 통혼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 그는 몽골의 요구를 받아들여 왕실의 동성혼을 금하고, 왕실과 통혼할 수 있는 宰相之宗 가문을 선정해 몽골의 혼인풍습을 수용해 몽골황실과의 가문간 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했다. 한편 복위 후 충선왕이 행한 遙領統治는 몽골황제와의 개인간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처였다.
충숙왕대 심왕옹립운동의 과정은 이 시기 고려의 신료들이 황제에 의한 국왕의 폐위와 즉위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그리고 국왕위 계승과 유지에 있어 몽골황실·황제와의 관계라는 몽골적 요소를 왕실 자체의 질서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심왕옹립운동 실패 후 그 추진세력 중 일부가 立省論을 제기했다. 총 7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입성론은 시기별로 제기양상이 변화하여, 충숙왕대 3차 입성론부터는 고려신료들에 의해 현 국왕에 대한 반대운동으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입성론은 國體와 관련된 논의이지만, 국왕위의 관점에서 보자면 고려국왕이 겸함으로써 세습직으로 운용되고 있던 정동행성승상직을 임명직으로 변환시키자는 논의로서의 성격도 갖는 것이었다. 즉, 이는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의 세 가지 위상 가운데 정동행성승상의 위상을 부각시킴으로써 고려의 전통적 통치자인 고려국왕의 위상을 위축, 변화시키는 논의였다고 할 수 있다. 충숙왕대는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와 그 안에서 상대화한 고려국왕의 위상을 고려 신료들이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활용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343년 기철에 의해 제기된 입성론은 충혜왕 폐위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과정은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의 위상과 관련, 국왕위에 오른 개별 인물의 역량및 자질과 상관없이 국왕이라는 지위 자체가 갖는 권위가 여전히 기능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리고 不道하고 失政한 국왕이 신료들의 반대운동의 결과로 상위의 권위에 의해 폐위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후자는 고려국왕이 부마, 정동행성승상과 같은 위상들과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입성론의 과정과 결과는 충혜왕대 심화된 국왕권의 私權化 양상 및 기씨일가의 등장이라는 상황과 맞물리면서, 몽골황제의 諸侯가 된 고려국왕의 위상과 정동행성승상의 관료적 속성, 부마가문이라는 一家門으로서의 속성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고려국왕권에 이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공민왕대는 몽골의 쇠퇴가 가시화하면서 고려-몽골 관계가 변화하고,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가 청산되어 가던 시기이다. 즉위 초 공민왕의 당면 과제는 내정 개혁과 국왕권 재구축이었다. 공민왕 즉위 후, 기씨일가의 주요 인물들은 몽골황실과 보다 공고한 관계를 형성한 가문의 일원으로써 국왕의 권위에 타격을 주는 한편으로, 국정정상화를 위한 공민왕의 개혁에 장애가 되기도 했다.
기씨일가의 등장으로 몽골의 권위를 강조하는 것이 더 이상 고려국왕권의 고려내 최고권으로서의 위상을 담보해주지 못하게 되자, 공민왕은 국왕권 재구축 과정에서 몽골의 권위를 배제하고자 하는 지향을 보였다. 이는 즉위 초의 여러 가지 정치행위들과 동왕 5년 개혁과정에서 확인된다. 이는 공민왕이 즉위를 전후하여 몽골의 쇠퇴를 어느 정도 확인했기에 가능한 것이기도 했다. 공민왕 5년 개혁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 이후 세력의 측면에서 고려-몽골 관계는 큰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1362년 기황후 세력의 공민왕 폐위시도가 군사적 대결을 동반한 가운데 고려 측의 승리로 끝나면서 더욱 확정적인 것이 되었다.
기황후 세력의 공민왕 폐위시도 과정은 공민왕 5년 개혁 이후 변화한 양국관계의 양상을 보여주는 한편으로, 이 시도가 기황후 세력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것임을 보여준다. 이때의 폐위시도는 공민왕 5년의 기씨주살로 인한 기황후의 원한이 주된 원인이 된 것이었다. 또한 이는 같은 시기 몽골에서 진행되고 있던 황태자 세력 강화 움직임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측면도 있었으며, 이는 德興君을 수행한 元子 奇三寶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元子 奇三寶奴의 존재는 몽골의 질서 속에서 상대화한 고려국왕 위상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기황후 세력의 폐위시도는 고려의 군사적 대응으로 실패했고, 이후 고려국왕권은 몽골황제권의 강제력에 의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Before the Mongol Subjugation period, the Goryeo king had the highest authority in Goryeo. The King was the sole center of ruling and governance. Yet ever since the Mongols came, the Goryeo kings had to accept certain changes. What kind of new facets were added to their characters, and how such new facets changed the nature of their authority, are primarily examined in this thesis.
Even after the fall of the Choi House's Military regime, the Goryeo king still had to share power and authority with the ones who defeated the Choi family, the ones who were remnants of the Choi regime themselves. The king was still not able to independently rule Goryeo on his own, and was still without full control of the military. Such condition led to Im yeon(林衍)'s dethroning of the sitting king Weon-jong(元宗) in 1269.
With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Mongols, Weon-jong was reinstated and became the sole center of Goryeo governance once again. Yet there was a price. In earlier times, the authority of the Chinese emperor was only valid to the Goryeo people in diplomatic terms, yet the Mongol authority established itself also the highest one also inside Goryeo. This transformed the Goryeo kings into 'vassals' of the Mongol Emperor. And as a result, for all the political entities inside Goryeo, It became a top priority to find a way to be closer to such ultimate Mongol authority. Goryeo kings themselves had to maintain active efforts to continue their ties with the Mongol Imperial Family and Emperor, and used those ties to defeat other contenders in Goryeo and maintain their power. As a result, the Goryeo kings gradually turned into something else. They were no longer just "Goryeo kings." They became "Jeongdong Haengseong Provincial Governor(征東行省丞相) Son-in-Law [of the Emperor](駙馬) the Goryeo King(高麗國王)."
New additional character elements were added to Goryeo kingship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ryeol-wang(忠烈王). One of them, the status of a Son-in-law of the Mongol Imperial family served as an important power base for the Goryeo kingship. Yet at the same time, this status also restricted the Goryeo king's authority in many ways. As time goes on, beside Goryeo kings, there came other persons from Goryeo families that attempted to reinforce their political position by arranging a marital relationship with members of the Mongol imperial family. With several of such new relationships forged between Goryeo houses and Mongol Imperial family members, the significance of the marriages between Goryeo kings and Mongol dignitaries was diminished. And that was certainly not helpful to the Goryeo royal familiy and its authority.
In 1280, Chung'ryeol-wang was officially named as the Governor of the Jeongdong Haengseong Provincial office. An official chain of command with the Mongol Emperor at the top was formed inside Goryeo, and in the Provincial office. Thanks to that, Chung'ryeol- wang was able to secure a stronger position in dealing with Mongol emissaries such as Hong cha'gu(洪茶丘). Also, although being named as a Mongol Provincial governor added nature as a bureaucrat of the Mongol Emperor to the Goryeo kingship, the fact that the Goryeo king came to assume that post, in turn changed the nature of the Mongol Provincial governor as well.
The seat of governor of the Jeongdong Haengseong provincial office and the son-in-law factor, were never formalized at the time, and removed from the Goryeo Kingship after the Mongol Subjugation period, at least in institutional terms. Yet it brought some new nature in the Goryeo Kingship, nature as a bureaucrat and as a son-in-law (of the Mongol imperial family). This played a significantly political role in this period.
The traditional 'Goryeo king', other than the fact of being the emperor's son-in-law or governor of a local office, still constituted a vital part of the Goryeo kingship. Yet with new facets added to the original design, the 'Goryeo king''s original authority was somewhat distorted and diminished. Its identity as a vassal of the Mongol Emperor was strengthened and came to have substantial meaning inside Goryeo as well. And the status of 'Goryeo king' relativized by the fact that it composed the Goryeo Kingship with other status, as the sons-in-law of the Mongol imperial family and as Governors of a Mongol-installed provincial government.
Hence, the Goryeo Kingship as a composition of three statuses also changed. All these changes made to the Goryeo kingship tell us three things. First, the Goryeo king's formal status as a vassal of the Mongol emperor came to have not only a nominal meaning but also a substantial meaning in Goryeo. Second, as their power were provided by the Mongol ruling authority, the Goryeo kings were forced to compete with other entities which enjoyed similar relationships with the Mongol court and the imperial family. And third, the legitimacy of the Goryeo royal family was partly compromised. All these changes can be identified from all the conflicts that were waged over the seat of the Goryeo king and the authority that accompanied it.
In 1298, Chung'ryeol-wang and Chung'seon-wang(忠宣王) clashed with each other, with the former forced to relinquish the throne, and the latter kicked in only to last 8 months. Going through this period, the Goryeo kings and vassals clearly saw what was the new status of the Goryeo king. Chung'ryeol-wang lost his position as the highest authority in Goryeo. Chung'seon-wang's emergence as a powerful contender was a serious blow to Chung'ryeol-wang's authority. Chung'seon-wang's short-lived first term in the throne even more strongly signified the Goryeo kings' new status as a 'vassal' of a higher figure, the Mongol Yuan Emperor. The Goryeo kings and governmental officials realized such new status of Goryeo Kingship and this strongly influenced their future political choices.
The after effects of the 1298 situation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from King Chung'seon-wang's governance. After being reinstated in 1308, he had the full support of Mongol emperors such as Kaishan(武宗) and Ayurbarwada(仁宗), so his status was more than stable. But the superior-inferior relationship between the Mongol Emperor and the Goryeo King became more evident than ever. Chung'seon-wang institutionalized the Goryeo kings' status as the Mongol Emperor's vassal. And he also strengthened the Goryeo kings' ties with the Mongol Emperor and the Imperial family. He was well aware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also its potentials.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s between houses. He banned the Goryeo royal family's habit of arranging royal family members' marriages 'inside' the family, just as the Mongols demanded. He also tried to rein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royal family and the Mongol imperial family, by embracing the Mongol marital traditions which resulted in the selection of 15 prominent houses("Jae'sang'ji-jong(宰相之宗)") that could have a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family. And his ruling of Goryeo from within the Mongol empire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the Mongol Emperor.
The political campaigns launched to enthrone "Shim-wang"(瀋王) Wang Go(王暠), the nephew of Chung'seon-wang, during King Chung'suk-wang's(忠肅王) reign, was yet another example that shows us the Goryeo officials' having well accepted the reality of Goryeo kings being enthroned and dethroned by the Mongol Emperor. They came to embrace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emperor as an important and crucial factor in either securing or maintaining the Goryeo throne, just as much as their authority inside Goryeo.
After the campaigns to enthrone Shim-wang failed, some of the operatives who led that campaign filed the arguments to "create a new Haengseong province upon Goryeo(Ibseong-ron, 立省論)." These 'arguments,' filed over 7 times, had different shapes and agendas. But the third one marked the Goryeo governmental officials' launch of a yet another new agenda, which was to use this 'Create a Province' argument as a tool and a platform to resist and reject and even boycott the sitting Goryeo king. The argument was officially about the status of Goryeo itself, yet from the king's standpoint it was nothing but an attempt to deny the Goryeo king's right to inherit the post of a Jeongdong Haengseong provincial governor, and turn the seat of the provincial governor into a political appointee. Such move would considerably undermine the Goryeo king's status as the legitimate ruler of the Goryeo dynasty. The 'Create a Province' argument was never widely heard, and failed to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Yet it was an eye-opening experience for the Goryeo kings and officials, as they came to learn that a sitting king could be opposed. King Chung'suk-wang's reign was when the Goryeo officials tried to fully utilize such changed condition to their advantages.
In 1343, the 7th 'Create a Province' argument, resulted in the dethroning of King Chung'hye-wang(忠惠王). Two things should be not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 or talent of the kings, the weight of the Goryeo throne itself was still heavy. Then again, it became a precedent, of the governmental officials' successfully kicking out an immoral king unfit for the throne, with the support of a higher authority. This was another undeniable aspect of the Goryeo kingship of the time. And such aspect was brought upon the Goryeo kings because they were kings who were also sons-in-law of the Mongol imperial family and provincial governors inside the Mongol local hierarchy. This 7th presentation of the 'Create a Province' argument, led by no other than Gi Cheol(奇轍), a prominent member of the Dowager Queen Gi family, yet again revealed the changed nature of the Goryeo kings.
Then,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wang(恭愍王), the Goryeo people witnessed the fall of the Mongol Empire, and also certain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The power structure formed in the Mongol Subjugation period was changed and dissolved. In the early days of King Gongmin-wang's reign, he intended to reform the inside of Goryeo, and reinforce the king's power and authority.
Yet at the time, key members of the Gi family, who already had a strong connection with the Mongol imperial family, began to reveal their intentions to achieve an 'equal' footing with the Goryeo king. Such attempt was more than detrimental to the king's authority, and was blocking Gongmin-wang's reform efforts. Most importantly, the Goryeo royal family was no longer able to claim they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Imperial family, as the Gi house had its member already placed inside the Mongol imperial family, as no less than a Dowager Queen.
So, Gongmin-wang began trying to 'exclude' the Mongol authority factor from his authority as a Goryeo king. We can see that from his political decisions in the early days that led to the 1356 reform. His attempt was also made possible because he was witnessing the fall of the Mongol empire. His reform in 1356 achieved a considerable outco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changed. And that change was again reassured when Queen Gi attempted to forcibly replace Gongmin-wang, and failed in 1362.
The process of Queen Gi's trial to dethrone Gongmin-wang, vividly display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changed since 1356. Gi was enraged, as many of her family members were killed in 1356. Gi's attempt to dethrone Gongmin-wang was closely tied into her other attempt inside the Mongol court to consolidate the status of the Crown-prince, her own son. This can be identified from Wonja(元子) Gi Sam'bo'no(奇三寶奴) who came with Deok'heung-gun(德興君), the new Goryeo king.
The fact that Dowager Queen Gi named a member of her own house as the future candidate for the Goryeo throne, evidently shows us that the status of the Goryeo kingship relativized during the Mongol subjugation period. Yet Gi's attempt was thwarted by Goryeo's military response, and in the following period the Goryeo kingship was finally liberated from the clutches of the former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7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