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심방 세동 환자의 심방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연구: 심방 중격 결손에 동반된 심방 세동과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 세동 환자의 비교 : Pathologic analysis of atrial tissue i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Comparison between the atrial septal defect and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곽재건

Advisor
김웅한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심방 세동조동부정맥 치료선천성 심기형중격 결손승모판막 역류병리학적 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2. 8. 김웅한.
Abstract
서론: 심방 중격 결손을 가진 성인 선천성 심기형 환자에서 발생하는 심방 세동의 경우, 좌심방 용적 보다는 우심방 용적이 심하게 확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후천성 승모판막 질환의 환자에서 보일 수 있는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인데,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이 서로 다른 두 질환 군의 심방 세동 환자들의 병리학적인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24명의 연속된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나누었는데, 1군은 심방 중격 결손만을 가진 환자 (8명), 2군은 심방 세동을 동반한 심방 중격 결손 환자 (6명), 3군은 심방 세동을 동반한 승모판막 질환 환자 (10명) 였다. 심장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 전 양측 심방의 용적을 측정하였다. 연구자는 환자들의 심방 조직을 수술 과정 중의 일환으로 채취하였으며, 얻어진 심방 조직에 대하여 Periodic acid-Schiff, Smooth muscle actin, Sirius Red, Massons Trichrome 등의 특수 염색 방법을 통해 심방 용적 증가에 따른 조직 섬유화, 글리코겐 침착 등의 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조직병리학적 변화의 정도는 양성율, 강양성율로 나타내어, 각 군 간, 조직 간에 이들 지표가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고, 이들 지표와 심방 용적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우심방의 용적은 2군에서 3군에 비하여 늘어나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못했으며, (65.6 ± 26.7 (2군), 49.2 ± 30.6 (3군) ml/m2, p=0.329), 반대로 좌심방의 용적은 2군에 비하여 3군에서 유의하게 확장되어 있었다(92.0 ± 39.5 (3군), 29.7 ± 16.9 (2군) ml/m2, p<0.001). 그러나, 염색된 심방 조직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성율, 강양성율은 이러한 수술 전 측정된 심방 용적의 늘어난 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 못했고, 각 군 간, 각 심방 조직 간의 비교에서도 심방 용적의 증가 정도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결론: 수술 전 심방 용적의 확장 정도와 심방 조직에 발생하는 병리학적인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즉, 심방 중격 결손 환자 및 승모판막 질환 환자에서 심방 세동이 발생하였을 때, 용적이 늘어난 심방의 종류와 상관 없이 양측 심방 모두에서 비슷한 정도의 병리학적인 변화가 발생하였다.
Introduction: Atrial fibrillation (AF) in adult atrial septal defect (ASD) patients accompanies enlarged right atrium (RA) with not so much enlarged left atrium (LA), which is the opposite of patients with AF and mitral valvular disea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the pathological change in the atrium of AF from different etiologies, ASD and mitral valvular disease.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July 2011, 24 consecutive adult patients were enrolled. Group 1 had only atrial septal defect patients (n=8), group 2 had atrial septal defect with AF (n=6), and group 3 had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with AF (n=10). Preoperative atrial volumes were measured using echocardiography. We obtained atrial tissues during surgical procedures, and stained these atrial tissues with method of Periodic acid-Schiff, Smooth muscle actin, Sirius Red, Massons Trichrome to detect the interstitial fibrosis or glycogen replacement in each atrial tissue. The severity of histopathological change of atrial tissue was represented with positivity and strong positivity after analyzing of digitalized image of above staining, an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ilation of atriums and degree of pat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tissues.
Results: RA volume was enlarged in group 2 compared to group 3 (65.6versus 51.2 ml/m2, p=0.329), and LA volume was enlarged in group 3 compared to group2 (92.0 versus 29.7 ml/m2, p<0.001). However, in the pathologic analysis of these atrial tissues, positivity and strong positivity did not show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gree of atrial volume and also did not represent the degree of atrial volume in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groups and atrial tissues.
Conclusions: The similar degree of pathologic changes occurred in both atrium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regardless of which atrium was dilated more significantly or the degree of atrial dil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8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