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Medicine/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대학원)
Dept. of Medicine (의학과)
Theses (Ph.D. / Sc.D._의학과)
정상인 24시간 위 산도의 약동-약력학 모델링을 이용한 위산분비억제제의 효능 평가 방법론 연구
- Authors
- Advisor
- 장인진
- Major
- 의과대학 의학과
- Issue Date
- 2012-08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약리학 전공, 2012. 8. 장인진.
- Abstract
- 위식도 역류성 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을 비롯한 위산 분비와 관련된 질환에 널리 사용되는 proton pump inhibitor (PPI) 계열 약물의 단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계열의 위산분비 억제제로서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P-CAB 계열 약물인 YH4808의 1상 연구 자료를 활용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약동-약력학 모델을 수립하고 최적의 용량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임상연구를 완료한 피험자들 중 YH4808을 투여받은 79명의 피험자의 혈중 농도 및 채혈 시간 자료와 위약 또는 YH4808을 투여받은 피험자 중 Helicobactor pylori 음성이면서 24시간 위 내 pH 모니터링이 적절하게 수행된 71명의 자료로 약동-약력학 모델을 NONMEM 7 (Level 1.2)을 이용하여 수립하였다. 약동학 모델과 기저치 모델을 먼저 수립한 후 개별 파라미터를 고정하여 약력학 모델을 수립하는 순차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YH4808의 약동학 모델은 흡수 지연 시간이 있는 1차 흡수 및 1차 소실을 따르는 2구획 모델이 선정되었으며, 식후 투여시 음식물에 의하여 체내 흡수가 3.2배 증가하였다. 위 내 pH의 기저치 모델에는 간접 효과 모델(indirect response model)을 기본으로 식사의 영향와 일주 변화 영향을 반영하였으며, 약력학 모델은 위 내 pH가 증가 속도가 약물 농도에 대해 Emax 모델을 따라 영향을 받도록 수립하였다. 모델 평가 결과, 구축된 약동-약력학 모델은 실제 임상시험 결과를 비교적 잘 반영하였다. 수립된 약동-약력학 모델로 최적 용량용법을 탐색하기 위하여 YH4808 치료 용량을 1일 200 mg으로 가정하고, 식후 또는 식전 투여 및 1일 1회 용법 또는 1일 2회 용법을 적용하여 위 내 pH 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식전 투여에 비해 식후 투여시 pH >4 유지시간 비율이 약 20% 높았으며, 1일 2회 투여시 1일 1회 투여에 비해 야간 pH > 4 유지시간 비율이 약 12% 높았다. 1일 2회 용법시 1회 1회 용법에 비해 복용편리성이 크게 감소하는 데 비하여 위 내 pH 상승 효과는 1일 1회 용법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위 내 pH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P-CAB 계열 약물인 YH4808의 약동-약력학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임상시험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 용량용법을 제시하였다.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