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폐경여성에서 Wnt 길항물질계 유전자 다형성, 순환계내 osteoprotegerin, 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 및 골밀도의 연관성 : Relationship between polymorphisms of Wnt antagonists genes, osteoprotegerin, receptor activator of NF-kB in circulating system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동옥

Advisor
김정구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olymorphisms of Wnt antagonists genes and bone densit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산부인과학, 2012. 8. 김정구.
Abstract
서론: 한국 폐경여성에서 Wnt 길항물질계 유전자내 다형성과 골밀도, 순환계 내 골교체인자 및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osteoprotegerin (OPG)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여 Wnt 길항물질계 유전자내 다형성이 골다공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폐경여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지침자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연폐경 후 한국여성 399명에서 Wnt 억제인자 (Wnt inhibitory factor: WIF), secreted frizzled-related-protein (SFRP)1, SFRP2, SFRP3, SFRP4, SFRP5, Dickkopf (DKK)1, DKK2, DKK3 유전자에서 총 19가지 단일뉴클레오티드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제한효소조각길이다형성, 염기서열분석과 Taqman 측정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Wnt 길항물질계 유전자내 단독 또는 복합 변이 양상에 따른 골밀도를 분석하고 역으로 골밀도 양상에 따른 이러한 유전자들의 분포를 분석하며 순환계에서의 OPG, 용질성 RANKL (soluble RANKL: sRANKL) 농도, 골교체인자와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 WIF-1 유전자내 c.28G>A, c.496C>A, SFRP2 유전자내 c.-38C>G, c.134C>T, SFRP3 유전자내 c.598C>T, SFRP5 유전자 내 c.34A>T, c.35C>A, DKK3 유전자내 c.92C>A, c.147G>A, c.706G>A에서 SNP는 관찰되지 않았다.
2) Wnt 길항물질계의 단일 유전자형 변이에 따라서는 요추 및 대퇴 경부에서의 골밀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SFRP4 유전자내 c.958 C>A 다형성과 c.1019G>A 다형성양상에 의한 일배체형 (haplotype) 유전자형 AA/AA에서 요추에서의 골밀도가 다른 유전자형에 비하여 가장 낮았고 (p<0.05), 일배체형 유전자형 AA/AA가 요추에서의 골다공증 여성에서 정상 골밀도 여성보다 4.37배 더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4) SFRP4 유전자 c.958C>A 다형성의 CC 유전자형에서 혈청 carboxy-terminal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CTX) 농도가 다른 유전자형에 비하여 낮았고 (p<0.05), SFRP5 유전자 c.20G>C 다형성의 GG 유전자형 (p<0.05)과 SFRP4 일배체형 유전자형 AA/AA(p<0.001)에서 골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bone alkaline phosphatase: BAP) 농도가 가장 높았다는 것을 제외하고 Wnt 길항물질계 다른 단일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유전자형과 SFRP1 일배체형 유전자형 및 SFRP4 일배체형 유전자형에 따른 혈청 오스테오칼신, 부갑상선호르몬, 칼시토닌, 칼슘 농도 차이가 없었다.
5) SFRP1 일배체형 인자 CC를 가지지 않은 동형접합 일배체형 유전자형에서 다른 일배체형 유전자형보다 혈청 sRANKL/OPG 비가 높다는 것을 제외하고 Wnt 길항물질계 단일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유전자형과 SFRP4 일배체형 유전자형에 따른 혈청 OPG, sRANKL, 혈청 sRANKL/OPG 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한국여성에서 Wnt 길항물질계 중 SFRP4 유전자 c.958C>A와 c.1019G>A 다형성으로 구성된 일배체형 유전자형이 요추에서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중의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8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