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언어성 DRM (Deese-Roediger-McDermott) 패러다임에서 낮잠이 오기억과 정기억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Nap on False and True Memories in Nonverbal DRM (Deese-Roediger-McDermott) Paradig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재공

Advisor
정도언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수면낮잠오기억정기억기억강화DRM 패러다임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8. 정도언.
Abstract
서론
수면이 기억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초기 연구들은 주로 절차기억 영역에서 수면의 기억강화 효과가 있다고 밝혔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서술기억 영역에서도 수면의 기억강화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또한 기억 강화과정이 기억왜곡에 대한 연구와 접목되면서 정기억 영역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님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기억 형성에 있어 수면이 하는 역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지만 관련 연구들이 많지 않고 상충되는 결과들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낮잠이 오기억과 정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수면이 기억의 적응적 역할에 기여하는 바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젊은 정상 성인 12명 (남자 9 명, 여자 3명, 19.4 ± 0.8 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는 교차설계에 따라 최소 일주일 간격을 두고 낮잠과 각성 두 조건의 실험과정에 모두 참여하였다. 오기억과 정기억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비언어성 DRM (Deese-Roediger-McDermott) 패러다임 과제를 이용하였다. 학습 시에 피험자들에게 16개 세트의 유색 추상 도형들을 세트 별로 좌우 번갈아 가면서 보여주고 기억하도록 하였다. 각 세트는 학습 시에 제시되지 않는 하나의 원형도형으로부터 유래된 10개의 비슷한 추상도형으로 구성되었다. 재인 검사에서는 기학습 도형들의 일부와 미학습 도형들, 그리고 원형도형 들을 무작위로 제시하면서 학습 시에 제시되었는지 여부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기억 반응의 결과는 신호탐지이론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각성 조건에 비하여 낮잠 조건에서 오기억의 재인 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정기억도 증가 경향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반응 편향도 두 조건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공간 출처 기억도 두 조건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낮잠을 수면다원검사해서 산출한 변인들 가운데 렘수면 지속시간이 오기억의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유의하게 보였다. 정기억의 증가는 총수면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비언어성 DRM 패러다임에서 낮잠에 의하여 오기억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인 최초의 연구로 판단된다. 또한 낮잠이 정기억보다 오기억에 선택적인 영향을 더 끼치고 있다는 점도 시사한다. 렘수면 지속시간과 오기억의 증가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시지각의 기억강화가 렘수면에 의존한다는 견해에 지지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Introduction:
Sleep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mory consolidation, depending on previous researches. While the early investigators found that the role of sleep was limited mostly to procedural forms of memory, the recent ones have shown that sleep also works for declarative forms of memory. Growing data on sleep and memory reveal that memories can be distor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ime, and thus false memories as well as true memories are retrieved. Understanding the role of sleep in false memory produc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very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have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While studies on nocturnal sleep and memory consolidation have produced substantial amount of data, the role of nap on memory consolidation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ap on false and true memories to expand our knowledge on sleeps contribution to memory consolidation.

Methods:
Twelve healthy subjects (9 males and 3 females, 19.4 ± 0.8 years old)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Al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wo conditions (Nap and Wake) separated by at least a week according to the randomized cross-over, counter-balanced design. To evaluate false memories, a nonverbal version of the DRM (Deese-Roediger-McDermott) paradigm was appli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each subject studied 16 sets of colored abstract shapes presented either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mputer screen. Each set consisted of 10 abstract shapes derived from one prototype shape that was not present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At recognition testing, each subject was presented with studied shapes, new shapes, and prototypes, and each had to indicate for each shape whether or not it had been present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Responses in memory task were analyzed, based on the signal detection theory.

Results:
Na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cognition index of false memories compared to Wake. Nap also tende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index of true memories, but they didnt reach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ponse bias C was not affected by Nap and was comparable between false memories and true memories. Between Nap and Wak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either in spatial source memories or in Stanford sleepiness scale scores. Increased false memories after Nap vs. Wak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M sleep duration calculated polysomnographically. Increased true memories after Nap vs. Wake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total sleep time calculated polysomnographically, but it did not reach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o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showing increased false memories by napping using nonverbal DRM paradigm.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false memories are preferentially enhanced by napping, compared to true memorie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creased false memories and REM sleep duration in napping suggests that memory consolidation in visual perception depend on REM sleep activit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20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