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Medicine/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대학원)
Dept. of Medicine (의학과)
Theses (Ph.D. / Sc.D._의학과)
Role of innate immunity in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 :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에서 선천성 면역체계의 역할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진홍률 |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규 | - |
dc.date.accessioned | 2017-07-14T01:32:35Z | - |
dc.date.available | 2017-07-14T01:32:35Z | - |
dc.date.issued | 2015-08 | - |
dc.identifier.other | 000000066769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122078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이비인후과학전공, 2015. 8. 진홍률. | - |
dc.description.abstract | 서론: 기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양인에서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은 호산구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Th2 세포 면역반응을 보인다. 반면에 동양인의 비용종의 경우 비호산구성 염증세포 침윤이 주로 나타나며 Th1/Th2/Th17 세포 면역반응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동양인에서 명확한 비용종 발생과정의 병태생리는 규명되어 있지 않다.
목적: 동양인의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에서 선천성 면역체계의 역할을 살펴본다, 방법: 정상인, 비용종을 동반하지 않은 만성 부비동염 환자,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구상돌기 조직을 채취하였고,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비용종 조직을 채취하여 총 4개의 그룹으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천성 면역세포와 선천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25 및 -33)의 발현을 면역화학염색, RT-PCR, ELISA를 통해 평가하였고, 다른 염증반응 매개체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천성 사이토카인의 비용종 형성과정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항 인터루킨-25와 -33을 투여한 질환 동물모델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동양인의 비용종에서 선천성 면역세포들의 분포는 MBP+ 세포와 CD11c+ 세포 침윤이 다른 선천성 면역세포들의 침윤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질환의 중증도와 의미 있는 연관성을 나타냈었다. 또한, 환자의 알러지 보유 유무에 따라 선천성 면역세포들의 침윤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인터루킨-25의 발현은 동양인의 비용종에서 증가되어 있으며, 다수의 염증반응 매개체들의 발현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질환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 인터루킨-25 항체를 투여하였을 때 호산구 화학주성인자, 호중구 화학주성인자, 세포부착분자 감소로 인한 호산구, 호중구의 침윤 감소로 비용종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한편, 인터루킨-33 발현은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비용종이 아닌 구상돌기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며, Th1과 Th2 면역반응 및 조직재형성과 관련된 염증반응 매개체들의 발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게다가, 비호산구성 비용종에서 호산구성 비용종에 비해 인터루킨-33 발현이 증가되어 있으며, 조직재형성과 호중구 동원과 관련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질환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 인터루킨-33 항체를 투여하였을 때 호중구 화학주성인자, 세포부착분자 감소로 인한 호중구 침윤 및 동원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론: 동양인의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에서 MBP+ 세포와 CD11c+ 세포 침윤이 다른 선천성 면역세포 침윤 정도 및 질환의 중증도와 관련 있으며, 알러지 유무가 침윤되는 선천성 면역세포 종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터루킨-25, -33은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으며 여러 종류의 염증반응 매개체들의 발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동양인의 비용종 형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해 인터루킨-25, -33 항체가 비용종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하여 향후 치료제 개발을 위한 타겟으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in English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List of Figures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in Korean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3501860 bytes | - |
dc.format.medium | application/pdf | - |
dc.language.iso | en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만성 부비동염 | - |
dc.subject | 비용종 | - |
dc.subject | 선천성 면역체계 인터루킨-25 | - |
dc.subject | 인터루킨-33 | - |
dc.subject.ddc | 610 | - |
dc.title | Role of innate immunity in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 | - |
dc.title.alternative |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에서 선천성 면역체계의 역할 | - |
dc.type | Thesis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 | - |
dc.citation.pages | vi, 44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의과대학 의학과 | - |
dc.date.awarded | 2015-08 | - |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Medicine/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대학원)Dept. of Medicine (의학과)Theses (Ph.D. / Sc.D._의학과)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