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약물전달을 위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 생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태현 교수님-
dc.contributor.author우연화-
dc.date.accessioned2017-07-14T02:23:50Z-
dc.date.available2017-07-14T02:23:50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77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45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 전공, 2016. 2. 박태현.-
dc.description.abstract누에 체액에 존재하는 30 kDa 크기의 단백질 중 30Kc19 단백질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30Kc19 단백질은 세포 내로 투과하여 세포 내 효소를 안정화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단백질의 특성을 약물 전달에 활용하기 위하여, 안정적으로 만들어지는 인간혈청알부민 (HSA) 나노입자에 충진되었을 때, 세포 투과성과 효소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N-terminal에 α-helix 부분과 C-terminal에 β-sheet 부분을 갖는 30Kc19 단백질의 α-helix (30Kc19α) 부분만을 재조합 단백질로 정제하였을 때, 세포투과성을 담당하는 CPP (cell-penetrating peptide) 가 존재한다는 것과, 세포 내 및 외부에서 효소 안정화 기능을 보고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30Kc19α 단백질만으로 나노입자를 만들어 약물전달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탈용매화 방법으로 만들어진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는 1 mg/ml 농도와 pH 10인 환경에서 200 nm 지름을 갖는 안정적인 구형의 형태로 합성되었으며, 세포내에서 거의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효소 안정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델 효소인, β-galactosidase가 충진되었을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세포 투과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로부터 방출된 β-galactosidase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었으며, β-galactosidase는 in vitro 상에서 나노입자로부터 서방형 방출양상 (controlled-release)으로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HDF 세포내 β-galactosidase 활성은 엑스 갈 (X-gal) 염색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백질 나노입자에 충진된 β-galactosidase는 서방형 방출 양상으로 나노입자로부터 방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는 다양한 세포내로 단백질 기반 약물의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운반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누에 체액과 누에 체액 단백질에 대한 선행 연구 1
1.1.1. 누에 체액 1
1.1.2. 30K 단백질의 특성 2
1.1.3. 30Kc19α 단백질의 특성 3
1.2. 약물 전달체 4
1.2.1. 약물 전달 시스템에서 나노입자의 역할 4
1.2.2. 30Kc19-HSA 나노입자의 특성 4
1.3 약물 전달 시스템에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기능 5

2. 실험 재료 및 방법 7
2.1. pET-23a/30Kc19α 7
2.2. 30Kc19α 단백질 발현 및 정제 9
2.3. 탈용매화 방법 11
2.4. 전기영동광산란광도계로 지름, 다분산지수, 제타포텐셜 측정 13
2.5. 주사전자현미경으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형태 관찰 14
2.6. Live cell imaging 15
2.7. CCK-8 assay를 통한 HDF 세포 내 독성 검사 16
2.8. β-galactosidase의 specific activity 측정 17
2.9. Alexa Fluor 488-labeled β-galactosidase의 형광강도 측정 18
2.10. X-gal 염색법 19

3. 결과 및 고찰 20
3.1.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및 농도 확인 20
3.2. pH가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지름, 다분산 지수, 및 제타 포텐셜에 미치는 영향 23
3.3. 단백질 농도가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지름, 다분산 지수, 및 제타 포텐셜에 미치는 영향 26
3.4.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세포 내 독성 확인 29
3.5.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형태 확인 31
3.6. β-galactosidase 충진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형태 확인 33
3.7. β-galactosidase 충진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세포 투과성 35
3.8.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의 효소 안정화 특성 확인 37
3.9.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로 부터의 β-galactosidase의 서방형 방출 양상 39
3.10. HDF 세포의 β-galactosidase activity 측정 41

4. 결론 43

5. 참고문헌 45

Abstract 5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408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Protein nanoparticle-
dc.subject30Kc19α-
dc.subjectdrug delivery-
dc.subjectsoluble expression-
dc.subjectcell-penetrating property-
dc.subjectenzyme-stabilizing property.-
dc.subject.ddc660-
dc.title약물전달을 위한 30Kc19α 단백질 나노입자 생산-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53-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전공-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