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린주구 계획개념의 한국적 적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광중-
dc.contributor.author도광훈-
dc.date.accessioned2017-07-14T02:26:56Z-
dc.date.available2017-07-14T02:26:56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23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49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16. 2. 김광중.-
dc.description.abstract근린주구 계획개념은 1970년대 초반 이후 우리나라 신시가지 및 주거단지 개발에 있어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거지의 단위생활권 설정, 수퍼블럭 형태의 가구구성, 자동차 동선과 분리된 보행녹도, 상업시설의 분리배치 등은 이러한 영향에 따른 것으로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저밀도 저층주택지를 전제로 제안된 근린주구 계획개념이 한국의 상황에 맞추어 상당한 적용과 변용이 있었을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적용과 변용의 경로를 밝히기 위해 계획가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관련법령을 통해 계획가에게 규제로서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0년대 이후 개발된 서울 신시가지 개발의 설계 보고서와 계획도면을 대상으로 각 개발 대상지마다 근린주구 계획개념의 어떤 부분이 적용 혹은 변용되었는지를 분석했으며, 신시가지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택지개발 관련법령에서 근린주구 계획개념 요소들을 분류하고, 제정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 과정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근린주구 계획개념이 대상지에 적용 및 변용된 방식을 요소별로 규명했으며, 택지개발 관련 법령의 근린주구 계획개념이 대상지에 적용되는 방식을 분석했다.
설계보고서 및 관련 도서의 도시 및 단지계획분야에서 주구 및 생활권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근린주구 계획개념과의 연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시가지 개발 대상지마다 근린주구 계획개념에 대해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한강 아파트와 반포 아파트는 계획 단계에서 참고 된 근린주구적 영향보다는 경제적 측면 등이 고려된 기획 단계에서 만들어진 결과적인 근린주구의 형태로 볼 수 있었다. 잠실 신시가지 개발은 대상지 중 근린주구 계획개념을 가장 충실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였다. 과천, 고덕, 둔촌의 경우 주구 내부 구성에 있어 근린주구적 구성 방식을 보이나, 잠실에서 나타났던 주구의 폐쇄적 구성을 탈피하려는 의도를 보인다. 목동의 경우 주거지 용도의 주구에서 주구-분구의 위계적 구성을 보이나, 근린주구 계획개념보다는 선형도시론에 입각한 계획 의도를 보인다. 상계의 경우 기존의 근린주구식 계획에서 나타났던 주구의 폐쇄적 구성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고, 근린 시설의 중첩, 보행 녹도, 상가 배치의 선적/면적 혼용을 통해 도시공간을 향해 열린 주거지 계획을 의도 했다. 은평의 경우 분구-주구-지구의 위계적 구성을 보이나, 이를 관통하는 생활가로를 통해 주구의 연결 및 일상 생활공간의 활성화 의도를 보인다. 왕십리의 경우 지구 외곽에 상가 배치를 통해 주변 도시 공간과 연결하며, 지구 내부를 관통하는 보행몰 계획을 통해 일상 생활공간의 활성화 의도를 보인다.
아파트지구개발 관령 법령과 도시계획시설기준 관령 법령은 근린주구적 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주구의 위계적 구성과 페리의 근린주구적 구성 방식 즉, 주거지의 기본단위설정, 수퍼블럭형 대가구 설정, 학교 및 커뮤니티 시설의 블록내부 배치로 나타났고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신시가지 개발 대상지에 근린주구식 계획을 규정했다. 이는 우리나라 신시가지 개발에 있어서 계획 단계의 측면에서 각자 근린주구 계획개념을 다르게 받아들이지만, 중심시설 배치나 주구의 위계적 구성 방식이라는 공통적 특성을 보이는 것은 페더의 단계구성론을 받아들인 법령의 규제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서울 신시가지 개발지의 계획·설계 보고서를 중심으로 계획 단계에서 근린주구 계획개념이 어떻게 적용되고 변용되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있다. 특히 연구자의 해석이 아닌, 당시 계획가들의 각기 다른 근린주구 계획개념 해석 및 평가를 수집·분류 했다는 점과 신시가지 개발 대상지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근린주구 계획개념들의 배경에 택지개발 관령 법령의 특정 조항들이 관여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8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의 방법 9

제 2 장 연구의 예비 고찰 10
제 1 절 Perry의 근린주구 계획개념 10
제 2 절 Fedder의 단계 구성론 12
제 3 절 선행연구 13
1. 근린주구 계획개념/신시가지 개발사례 관련 선행연구 13
2. 한국 공동주택 계획의 역사 13
3. 연구의 차별성 16

제 3 장 연구의 방법 16
제 1 절 연구 대상지 및 범위 설정 16
1. 계획가에 직접적인 영향에 관한 경로 16
2. 택지개발 관련 법령의 영향에 관한 경로 18

제 4 장 근린주구 계획 개념의 영향 분석 19
제 1 절 택지개발 관령법령의 근린주구 계획개념 요소 19
1. 아파트지구개발 관령 법령의 분석 19
2. 도시계획시설기준 관령 법령의 분석 24
3. 택지개발 관령 법령과 근린주구 계획개념 요소와의 관계와 변화 28
4. 택지개발 관령 법령과 서울 신시가지 개발지와의 연관 관계 29
제 2 절 설계 보고서 및 관련 도서 분석 31
1. 한강아파트 31
2. 반포아파트 33
3. 잠실 지구 35
4. 과천 신도시 41
5. 둔촌 지구 45
6. 고덕 지구 47
7. 목동 신시가지 50
8. 상계 신시가지 54
9. 은평 뉴타운 59
10. 왕십리 뉴타운 62
11. 설계 보고서 및 관련 도서에서 나타난 신시가지 개발 대상지와 근린주구 계획개념과의 연관 관계 66
제 3 절 계획도면과 근린주구 계획개념과의 연관 관계 68
1. 연관관계 분석방법 68
2. 계획도면과 근린주구 계획개념과의 연관관계 분석 71
3. 계획도면과 근린주구 계획개념과의 연관관계 81

제 5 장 결 론 82
1. 연구의 종합 82
2. 연구의 의의와 한계 86

참고문헌 87

Abstract 8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5174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근린주구 계획개념-
dc.subject신시가지 개발-
dc.subject대규모 주거지 개발-
dc.subject도시설계 아이디어-
dc.subject.ddc711-
dc.title근린주구 계획개념의 한국적 적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3-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