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옥외공간 활용을 통한 저층 주거지역의 주거환경 개선방안 : Planning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in low-rise residential area by utilizing exterior spac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석정-
dc.contributor.author박진호-
dc.date.accessioned2017-07-14T02:27:23Z-
dc.date.available2017-07-14T02:27:23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0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50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16. 8. 이석정.-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저층 주거지역의 옥외공간을 새롭게 활용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설계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저층 주거지역에서 다가구 및 다세대 주택은 주택공급의 양적인 측면에서 기여를 했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리의 부재는 주택 외부공간 및 인접한 다른 주택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 필지단위의 개발로 이어졌으며 이는 열악한 주거환경을 야기했다. 최근 도시를 관리하는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신축보다는 기존 주택을 유지 및 관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기존의 뉴타운 사업이 점차적으로 백지화됨에 따라 주거환경의 급진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때문에 기존의 저이용되고 있던 옥외공간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찾고 공간을 개선하는 방법이 전반적인 주거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유지 공간인 대지 내 옥외공간은 개별 주택의 내부 공간뿐만이 아니라 공공영역인 가로와도 물리적·시각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지 내 옥외공간의 환경개선은 개인의 주거환경과 더불어 전체 도시환경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재정비촉진구역에서 해제된 서울시 중랑구 중화2동의 주거블록을 사례 대상지로 선정하여 대지 내 옥외공간의 실제 이용현황분석 및 주민들의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물리적인 개선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률적인 법제의 적용 및 사유지를 구분하기 위한 담장 등의 구조물 설치는 사례 대상지 내에 활용 또는 접근이 어려운 협소공간을 만들었다. 또한 협소한 옥외 공간들이 주택 사면으로 파편화되면서 주민들이 일상에서 그 공간들을 이용하고 접근할 기회가 줄어들었다. 이는 녹지에 대한 심리적인 욕구가 있음에도 사유지 내외부에 적극적으로 녹공간을 조성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에 지어진 주택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반지하 주거형태는 채광과 환기,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열악한 물리적 환경을 보여주었다. 반지하 주거의 사생활 침해를 막기 위해 설치된 담장 및 각종 차폐시설물 등은 대지 내 옥외공간의 활용 효용을 떨어트리는 주범이 되고 있다. 이 외에도 대상지 블록 한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는 교회에서 공간복지 차원의 의향을 보였음에도 현재까지는 폐쇄적인 공간이용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목표안을 가진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협소한 대지 내 옥외공간을 개선하여 보다 개방감 있으면서 동시에 사생활 역시 보호되는 안락한 주거공간으로 조성하였다. 둘째, 주택 내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녹공간을 제공하였다. 셋째, 폐쇄적이었던 교회의 외부공간을 개방하여 인근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지 내 옥외공간의 단차조정을 통해 사유지의 소유권을 분리함과 동시에 수직·수평적인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반지하주거의 용도변경, 옥외공간의 적극적인 녹화를 통해 사유지뿐만 아니라 공공영역의 환경개선까지 모두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최종 개선안의 내용을 다른 저층 주거지역에서 일반화할 수 있도록 공통된 설계원칙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필지단위가 아닌 인접한 필지들과 공공공간을 고려하며 도시적 차원에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주민 인터뷰를 통해 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을 환기하고 개선안 평가단계까지 참여시켰다는 점 역시 설계 논문으로서 가장 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가 향후 신축과 보존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진행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길 바라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1.3. 관련 선행연구 및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5

제 2장 연구 대상의 정의 및 사례 대상지 현황 7
2.1. 연구 대상의 정의 7
2.2. 사례 대상지의 선정 및 현황 10

제 3장 대지 내 옥외공간의 발생 원인 21
3.1. 대지 내 옥외공간을 규정하는 관련 제도 21
3.2. 대지 내 옥외공간을 규정하는 관련 제도들의 시대적 변화 내용 23

제 4장 사례 대상지에서 나타나는 대지 내 옥외공간의 분석 26
4.1. 각 시대별 건축물에 따른 대지 내 옥외공간 26
4.2. 사례 대상지 대지 내 옥외공간의 실제 이용현황 및 거주민 인지도 31
4.3. 사유필지 내 옥외공간들의 조합 및 특징 44
4.4. 소결론 50

제 5장 대지 내 옥외공간을 활용한 사례 대상지의 개선안 52
5.1. 설계의 목표 및 방향 설정 52
5.2. 개선안 제시 57
5.3. 종합평가 97
5.4. 개선안의 실현가능성 검토 98

제 6장 결론 100
6.1. 결론 및 시사점 100
6.2. 연구의 한계 102

참고 문헌 103

부록 105

Abstract 11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6682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저층 주거지-
dc.subject주거환경 개선-
dc.subject외부공간-
dc.subject대지 내 옥외공간-
dc.subject.ddc711-
dc.title옥외공간 활용을 통한 저층 주거지역의 주거환경 개선방안-
dc.title.alternativePlanning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in low-rise residential area by utilizing exterior spac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NHO PAR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4-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