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외국인 투자 확대와 한국 시장의 효율성 관계 : Foreign investment in Korea and market efficien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대현

Advisor
오형식
Major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술적 투자자본시장 개방시장 효율성KOSPI200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산업조선공학부, 2013. 2. 오형식.
Abstract
본 논문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자본시장 개방이 국내 금융시장의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시장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보편적인 기술적 투자가 유의한 수익률을 창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데이터는 1994/06/01 - 2010/12/30 기간 동안의 KOSPI200 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동평균선 전략은 대체적으로 매수신호가 매도신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한도를 완전히 폐지한 1998년 후로 기술적 투자가 창출 가능한 유의한 수익률이 상당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부터는 이동평균선 전략은 어떠한 유의한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국내 자본시장 개방이 시장 효율성을 증가 시켰다는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TRB 전략의 유효성은 현 시점까지는 결과적으로 줄어들었으나 외환위기 직후에는 오히려 증대됨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는 위기 이후 기간에서 TRB의 매도신호가 오히려 유의한 매수신호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결과는 금융위기라는 시장에 대한 충격이 기술적 지표에 대한 투자자들의 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장을 비효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그 구체적인 근거를 밝히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35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