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간의 조직관계를 통해 본 브랜드 자동차 전시관의 공간구성체계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대희

Advisor
김현철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동차 전시관공간 조직공간구성체계선형전시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4. 2. 김현철.
Abstract
본 연구는 평면적, 중립적 전시공간을 지닌 종합전시관의 공간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최근 전시공간은 자동차, 미디어, 건축, 가구 전시관과 같이 공간을 활용하는 입체 전시물을 통해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전문 전시관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전시관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유형의 전시공간 구성체계를 규명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자동차 전시관에서 공간은 단순히 전시물을 강조하기 위한 중립적 배경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때의 공간은 장(Field) 형성을 통해 전시물과 공간성을 모두 표현하는 장치이다. 평면적으로 이동하고 회화적 관점에서 전시를 감상하는 일반 전시공간과는 다르게 자동차 전시관은 입체적으로 이동하고 공간적 관점에서 감상하는 전시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이후 새로운 전시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자동차 전시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시공간의 입체성과 표현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전시관의 공간을 4가지 공간구성요소와 이것이 결합된 3가지 공간조직을 통해 관찰하였다.

4가지 공간구성요소에는 주변맥락에 대응하여 전체 공간의 영역을 규정하는 1) 공간틀, 내부 공간의 성격을 결정짓고 전시공간을 표현하는 2) 공간오브제, 전시공간에서 관람자의 미세한 흐름을 제어하는 3) 전시배치방식 그리고 이를 통해 흐름선(線)으로 나타나는 4) 관람동선형식이 있다.

3가지 공간조직에는 공간 속에서 층을 형성하는 1) 켜조직, 통합된 공간 속에서 특정 방향으로 나선형 흐름을 만드는 2) 나선조직, 마찬가지로 통합된 공간 속에서 공간의 장(Field)를 통해 서술적 흐름을 만들어내는 3) 선(線)형 조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전시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전시공간요소와 공간조직을 종합하여 시대별로 나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자동차 전시관의 시대별 경향 분석을 통해 방향성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자동차 전시관은 공간 볼륨의 사이공간을 통해 흐름의 영역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변화 하고 있고, 이를 통해 입체적 전시배치와 연출적 전시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공간의 선형성을 바탕으로 단순한 배경으로서의 전시공간이 아닌 도입․전환․가속․절정․결말을 지닌, 즉, 공간 이야기가 명확한 서술적 전시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자동차 전시관은 2차원 흐름을 나타내는 켜 조직에서 1차원 흐름을 나타내는 선형조직으로 변화 하면서 역설적으로 더 큰 입체적 공간효과를 나타내게 되었다. 이것은 1차원의 선형흐름이 3차원의 입체 공간을 표현하기에 더욱 적합한 표현방식이기 때문이다. 통합된 3차원 공간에 2차원의 켜조직이 형성될 경우 관람자는 급작스럽게 늘어난 자율성 때문에 방향성을 잃게 된다. 하지만 통합된 3차원 공간에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서술적 요소인 볼륨을 배치하면 공간의 조직관계를 통해 형성된 1차원의 흐름선이 공간을 이끌어 나가며 보다 다층적이고 서술적인 공간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자동차 전시관은 공간의 조직관계를 통해 일반 전시공간과는 다른 새로운 공간성을 경험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전문주제를 바탕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전시 방법이 늘어남에 따라 전시공간도 이에 맞추어 변화해야 하는 시점에서 자동차 전시관은 실험적 공간을 통해 전시공간의 최신 경향을 이끌고 있다.

자동차 전시관의 입체적 전시공간 조직체계에 대해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입체적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구축 방식이 새롭게 등장하는 전문전시관에 적용되길 기대한다.
In this study, I began with presentation of a problem that space of general museum which is planar and neutral. Exhibition space of recent, changes to the professional museum. This makes up the exhibition space using three-dimensional objects such as furniture, ceramic, graphic, media and Automobi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xhibition space system of a new type that displayed in the automobile museum.

Space of automobile museum is not intended to be shown as neutral for the exhibition only. This is an element for representing both the spatial properties and exhibits through the formation of Field long between the displayed objects. Generally, museum used to have exhibits that are planar and pictorial. But automobile museums, which contains three-dimensional exhibits, makes more variety of movements and space oriented display.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automobile museums, there is a goal to examine the three-dimensional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new kind of exhibition space.
Automobile museums are constructed with four elements and combined into three compositions.
In four elements, there is space frame which is formed by outer factors and space object which makes inner space. And also there is display arrangement which defines onlookers flow and the line of flow which is made by the other elements.

In three compositions, there is layer composition which makes layers of exhibits in the space and spiral composition which makes continuous spiral flow in the space. For the last, there is linear composition which makes sequential flow by making field in exhibition space.

In the study, by synthesizing space elements and space compositions, I arranged each characteristics and found age-specific trend in Automobile museums.

As a result, display of the vehicle is changing into a space to produce field of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volumes arranged in the exhibition area. Thereby, automobile museums can have dramatic exhibition space and stereoscopic display layout. Futhermore, based on the linearity of the space, museums can have clear and narrative exhibition space.

Thus, automobile museum is a good example for the new kind of exhibition space. That is, at the point of the swift in museums which contains three-dimensional exhibits, has to be designed expressive by space volume and narrative flow.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0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