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sign Study about the Parking lot as an Urban Park : 주차시설의 도시공원화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민호

Advisor
Peter W. Ferretto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arking lotReversibleUnder-used SpaceHacking Architecturepark(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4. 2. Peter W. Ferretto.
Abstract
현재 도시는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계속해서 고밀도화 고층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 자동차 중심의 도시로 발달되며, 도심 속 사람들을 위한 장소는 점점 더 없어지고 있다. 자동차가 중시되는 현황에서, 자동차와 관련된 문제들을 단순히 교통과 기름, 환경오염 등으로 바라보지 않고 조금 더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 접근해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논문은 자동차가 점유하는 공간에 집중하여 자동차의 문제를 바라보았다. 도시 내 가장 대표적인 차량공간은 도로와 주차장인데, 이 논문에서는 주차장을 그 대상으로 삼았다.
현재 고밀도의 도시 속 곳곳에 자리하고 있는 주차시설들은 분명히 도시에 새로운 공공공간으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 가능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한 주차시설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차장의 경우 행위의 측면에서 연속적이지 못하다는 점, 둘째, 서울시의 7.4%에 해당하는 44.9㎢의 면적이 단순히 차를 보관하는 용도의 주차장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적, 마지막으로 현대의 고밀도화 된 도시 환경 속 주차장의 모순점들. 이를 통해 주차시설은 도심 속 얼마 남지 않은 넓은 공지임에도 아직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른 연구들과는 다르게 주차장이 차량으로부터 비어지는 시간에 사람들의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도시환경을 사람 중심으로 바꾸고자 하는 전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하여, 자동차 중심 공간인 주차장을 사람중심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 측면의 해법으로 도시공원을 주목하였다. 현대 도시에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변화시키는데 공원이 기여하는 바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도시 속 공원의 역할은 단순히 녹음의 제공을 넘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더해지고 있다. 이처럼 도시 공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상하는 것과는 상반되게 현재 도시에서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 확보는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서울시의 경우 공원율은 다른 대도시들에 비하여 부족함이 없으나, 대부분 도시외곽에 위치한 자연에 접하여 계획된 공원들이 많기에 생활권 공원의 측면에서는 많은 부족함을 보이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현재 도심 속 부족한 생활권 도시공원의 새로운 장소로서 주차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단순히 주차장을 공원으로 바꾸는 것이 아닌, 주차장의 기능을 유지하되 사용량에 따라서 언제든 융통성 있게 도시공원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건축적 개념으로 해킹을 주목하였다. 건축과 도시의 맥락에서 해킹은 사용자에게 디자인과 창조적인 과정을 허용하는 것으로, 사용자 스스로가 계획가가 이전에(계획 당시) 생각할 수 없었던 건축 공간을 생성하거나 혹은 잘못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대안을 제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에 해킹은 주로 도심 속 차량 혹은 건물에 의해 공용공간을 빼앗기고 있는 사람을 그 대상으로 하여, 고밀도화 된 도시 속에서 새로운 공용공간을 창출 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개념을 주차시설에 적용한 사례로서 이 논문에서는 Rebar의 두 개의 프로젝트를 사례조사로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하여 논문의 설계 프로젝트에는 사례들의 회복성과 모듈 시스템은 수용하되, 모듈의 저장방법과 기존 구조와의 조화 방법 등은 개선시키는 방안으로 진행되었다. 디자인 프로젝트는 서울역 롯데마트 주차장을 그 대상지로 선정하여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서의 대상지 분석 및 공간의 특성에 따른 각각의 도시공원의 특성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안되는 주차장의 도시공원화는 아직 단편적인 시선일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심 내 위치하며 넓은 공지를 갖고 있는 주차장은 충분히 매력적으로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도심 내 주차장을 사람들이 사랑할 수 있는 공공공간으로 바꿀 수 있다면 이는 도시에 엄청난 이점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seeks to the possibility for usage of new flexible urban park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king usage. Modern cities have become high-density and high-rise more and more, because of excessive developments. And also, they have been developed as car-centric way, so public space for people are disappeared increasingly. In the car-centric present situation, the problem of the car must not be just limited to traffic jam, oil trouble, and environments pollution. There is necessary looking at the problem of the car in a new way. This thesis tries to view the matter about the car, focusing on the occupied space by the car. The most typical facilities are road and parking lot. In this thesis, the parking lot is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
The parking lot, which has located all around in the high density city, has possibility to be new public space in the city. To take advantage of the possibility, the research about the parking properties is as follow. First, the parking lot is recognized as the almost non-activity space. Although it is used physically, through occupying the space, there are not occurred events continually. Second, the area about 44.9 km2, which is 7.4% of whole area of Seoul, has been role as simple storage for the car. Last, the parking lot, made for smooth use about the car, is also a contradictory space. These helps understand that the parking lot is handful wide space within the city but it is not efficient for the aspect of the space usage. On the basis of these, differs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possibility for use the parking lot as human space, when parking is empty.
In the aspect of the program solution, the urban park is noted. In the present urban condition, the contribution of the park, to changing the quality of urban life, has being more and more increased. The role of urban park within the city is being acquired the role as social space for increasing of citizen's living quality, beyond providing the natural green space simple. As above, thoug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urban park are emerged, in contrast securing the space for creating a new park is difficult status. Compared other city, the present park rate in Seoul looks like sufficient. But most all parks are located bordering mountains or Han River. So, in the aspect of neighborhood parks, Seoul citys park rate related peoples life is too scant. Accordingly, this thesis proposes a method for using the parking space as new space for neighborhood parks, which are scant within city.
This thesis should propose the method of changing the parking lot, as the urban park. This method is not a simple radical transformation. With the keeping the existing function of parking, the method is aimed at the proposal that the space could be used as park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king usage. The concept of hacking is used for architectural method of this thesis. In the context of architecture and urban, hacking is allowing design and creative process to the user. That means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misused space and to generate architectural spaces previously unimagined by the designer of the architecture or urban. At this time, hacking is mainly proposed for the concept of an alternative making a new public space in high-density urban area, with the target, those who have been lost public space by automobiles or buildings in city. As cases studies for adapting similar concept, rebars two projects, related with parking, have been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analysis, I have noticed that the design project should be adopted the reversible, module system, but also improved the storage method and harmony with the existing structure. In the design chapter, the Lotte mart parking lot in Seoul station is selected the site of this design project. Macro and micro analysis about the Seoul station and definition about the scenario of urban park in this site is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changing parking lot as the urban park, might be the fragmentary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one of urban problem. However, the parking lot can be changed to be attractive,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such as plenty space and wide base location in the city. If the parking space could be changed the embracing public space for people, it would be great advantage of city. In this respect, this thesis proposes a possibility for use the parking space as urban park.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0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