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수동1가 뚝섬지역 내 자생적 도시재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용도와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Urban Revitalization of Ttukseom Area : Focus on Uses and Urban Fabric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진-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17-07-14T04:00:40Z-
dc.date.available2017-07-14T04:00:40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692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10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5. 8. 백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뚝섬 일대에 시민 주도의 도시 재생이 관찰되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자생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지역의 작동원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기존 도시개발전략의 한계를 인식함에 따라, 서울시 도시 관리 기법은 재생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었다. 개발 이익의 사유화, 도시조직의 파괴, 용도 및 공간의 획일화, 커뮤니티의 해체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민 및 소생활권 중심의 종합적 재생이 대두된 것이다. 그러나 도시 관리의 주요 쟁점이 지역 공동체 중심의 도시 재생으로 전환되었음에도, 물리적 환경 개선에 집중하였던 기존 제도들과 새로운 도시재생전략이 정합성을 갖지 못하여 실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생력을 갖춘 재생 지역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일상적 차원에서 지역을 재생시키는 동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cities go through spontaneous urban revitalization in real life by examining Ttukseom Area. The urban planning paradigm of Seoul city has shifted to Urban regeneration, as people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urban management system. To overcome the issues of privatization of development profits, destruction of urban fabric, standardization of uses and space, and disintegration of communities, the city planners started to focus o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initiated by local communities. Despite the shift of perspective on city planning, it has been difficult to realize the urban revitalization by citizens since the existing regulations are only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have induced revitalization of a real city by researching the site where spontaneous development has occur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제 2 절 선행연구 고찰 5
제 3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제 4 절 연구의 구성 12

제 2 장 이론적 고찰 14
제 1 절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용도와 도시조직의 개념적 고찰 15
1. 자생적 도시재생을 유도하는 용도와 도시조직 15
2. 도시 다양성: 도시계획 이면의 도시작동 원리 19
3. 도시 다양성을 창출하는 용도와 도시 조직 23
제 2 절 용도: 도시적 차원에서의 용도 혼합과 전용 27
1. 용도 구성: 복합 용도(Mixed uses) 27
2. 용도 전용: 오래된 건물(Aged buildings) 35
제 3 절 도시 조직: 근린을 형성하는 도시 조직 41
1. 가로 조직: 작은 블록(Small blocks) 41
2. 경계 지대: 이음매(Seam) 47
제 4 절 소결 53

제 3 장 대상지 분석: 성수동1가 뚝섬 지역 56
제 1 절 대상지 개요 57
제 2 절 대상지 형성 배경 60
제 3 절 대상지 도시관리계획 70
1. 도시계획에 의한 초고층의 건립: 뚝섬 도시관리계획 73
2. 도시계획 무산과 지역의 유지: 뚝섬주변지역 도시관리계획 76
3.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전환: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80
제 4 절 소결 83

제 4 장 용도와 도시조직을 통한 대상지 특성 분석 85
제 1 절 분석의 틀 86
제 2 절 용도 88
1. 용도 구성 88
(1) 다양성을 유인하는 주요용도 88
(2) 용도 구성의 다변화를 통한 경제적 상호지원 91
2. 용도 전용 102
(1) 자생적 활성화를 수용하는 오래된 건물 102
(2) 전용을 통한 가로의 변화 105
제 3 절 도시 조직 110
1. 가로 조직 110
(1) 접촉을 유도하는 필지 형태 110
(2) 장소성을 형성하는 가로 패턴 120
2. 경계 지대 122
(1) 이질적 도시 조직 간의 접합 122
(2) 경계 공백지대의 가능성 125
제 4 절 소결 129

제 5 장 결론 131

참고문헌 134
Abstract 13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3297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생적 도시재생-
dc.subject성수동-
dc.subject뚝섬-
dc.subject용도-
dc.subject도시조직-
dc.subject제인 제이콥스-
dc.subject.ddc690-
dc.title성수동1가 뚝섬지역 내 자생적 도시재생 특성에 관한 연구 : 용도와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Urban Revitalization of Ttukseom Area : Focus on Uses and Urban Fabric-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oohyun Ki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40-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