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아발생과 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분석을 통한 대규모 공원의 미아발생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Occurrence of Lost Children in Large-scale Park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재필-
dc.contributor.author최소영-
dc.date.accessioned2017-07-14T04:08:26Z-
dc.date.available2017-07-14T04:08:26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274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17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7. 2. 최재필.-
dc.description.abstract매해 많은 수의 미아가 발생하고 있지만, 대부분 48시간 내에 발견되기 때문에 유괴나 장기실종보다 미아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 또한 미아의 발생원인도 단순 보호자의 관리소홀로 치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잠실 올림픽공원에서 미아 사망사건이 발생하면서 미아 발생 원인으로 비단 보호자와 관리자의 보호관찰 소홀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원인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보행시뮬레이션과 공간분석 등 정량적인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미아와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대규모 공원에서 미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미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을 도출하고, 분석틀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데이터 구축을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자 행태조사를 통해 공원의 이용객 행태지도를 작성하였고, GIS분석을 통해 보행밀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아기록대장과 관계자 인터뷰 등을 통해 공원 장소별 미아현황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4장에서는 동적 시각분석(DVA)모델을 활용하여 공원 시설별 시각적 공간분석과 보행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한 미아발생 영향요인을 기준으로 미아와 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때, 아동수 대비 미아수 비율이 높은 시설과 낮은 시설을 비교함으로써 미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동적행태가 주로 일어나는 환경
모래사장 등과 같이 정적행태가 많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보다는, 대규모 조합놀이시설과 물놀이장 등과 같이 아동의 동적행태가 활발히 일어나는 환경에서 미아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동적행태가 아동의 활발한 움직임 및 이동 등을 수반하고 있어, 보호자가 아동관찰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2) 보행밀도가 높은 혼잡한 환경
미아 발생에는 시설의 이용객수나 면적보다는 두 변수의 상호관계에 의한 보행밀도가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즉, 보행밀도가 높아 혼잡한 환경일수록 사람에 의해 아동이 가려지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만큼 보호자가 아동을 관찰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보호자가 아동을 놓칠 가능성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혼잡한 환경일수록 미아발생이 유도된다.

(3) 극심하게 폐쇄적인 구조
시설의 경계성의 경우, 오픈된 영역이 적을수록 미아가 발생할 확률도 낮지만, 극심하게 폐쇄적인 구조는 오히려 출입구에서 병목현상을 유발하여 미아발생을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폐쇄적인 구조는 미아가 잘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호자의 안전 불감증을 유도함으로써, 오히려 미아발생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4) 유희시설이 인접하여 배치된 평면구성
시설 주변의 또 다른 유희시설은 아동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아동 시설이탈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하지만 유희시설을 도로에 직접 연결하기 보다는 화단의 가림막이나 썬큰구조 등을 통해 다른 흥미요소로부터 아동의 시야를 차단시킨 경우에는 아동의 시설이탈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아동관찰이 힘든 환경
유희시설 휴식공간의 시각적 접근도가 낮거나, 놀이공간 또는 출입구에서의 시각적 노출도가 낮은 경우에 미아 발생이 많았다. 유희시설 휴식공간의 가시성이 높고 놀이공간의 노출도가 높을 경우, 보호자가 아동을 관찰하기 용이하고 아동 또한 노는 모습이 잘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출입구가 잘 노출되어지면 아동이 시설을 이탈하더라도 보호자나 주위 사람들에게 잘 노출되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실종관련 연구는 주로 실종아동 전반적인 제도나 장기실종아동에 관한 연구가 많았고, 미아 관련 연구는 주로 스마트 기기를 기반으로 한 미아 찾기와 같은 사후대처방안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가 보행시뮬레이션과 공간분석 등 정량적인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미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특성을 최초로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도출한 미아발생 환경특성들은 추후 미아방지 사전대책 제도로 활용가능한 대규모 공원에서의 미아방지 환경조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5
1.2.1. 연구의 대상 5
1.2.2. 연구의 방법 6
제 2 장 분석틀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8
2.1. 미아 관련 특성 9
2.1.1. 미아 발생 원인 9
2.1.2. 미아 대처 방법 10
2.2. 물리적 환경과 미아의 길찾기 11
2.3. 분석틀 구축 12
2.3.1. 미아발생 영향요인 도출 12
2.3.2. 분석방법 14
제 3 장 현장조사를 통한 데이터 구축 21
3.1. 대상지 개요 및 현황 22
3.1.1. 부산시민공원 22
3.1.2. 북서울 꿈의 숲 30
3.2. 이용자 행태조사 39
3.2.1. 부산시민공원 39
3.2.2. 북서울 꿈의 숲 49
3.3. 미아 현황조사 59
3.3.1. 부산시민공원 59
3.3.2. 북서울 꿈의 숲 67
3.4. 소결 71
제 4 장 미아발생과 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 분석 75
4.1. 분석기준 및 분석방법 76
4.1.1. 환경 특성 설정 76
4.1.2. 동적분석 (보행 시뮬레이션) 설정 80
4.1.3. 정적분석 (Isovist & VEⅡ) 설정 82
4.1.4. 분석방법 84
4.1.5. 용어 설명 85
4.2. 부산시민공원 87
4.2.1. 에어바운스 87
4.2.2. 돔플레이 93
4.2.3. 꿈틀이 시소 99
4.2.4. 감성발달 그루터기 105
4.2.5. 자연체험 놀이터 111
4.2.6. 써클타워 117
4.2.7. 동물 유치원 123
4.2.8. 도심백사장 129
4.2.9. 물놀이마당 135
4.2.10. 뽀로로 도서관 140
4.2.11. 잔디광장 146
4.3. 북서울 꿈의 숲 153
4.3.1. 볼프라자 153
4.3.2. 상상 어린이 놀이터 160
4.3.3. 아트센터 앞 166
4.3.4. 미러폰드 171
4.3.5. 바닥분수 178
4.3.6. 물놀이장 184
4.3.7. 미술관 앞 189
4.3.8. 유아 놀이터 194
4.3.9. 청운답원 (잔디광장) 200
제 5 장 미아발생 환경특성 분석 207
5.1. 시설별 미아발생 환경특성 종합 208
5.2. 시설별 미아발생 환경특성 비교분석 210
5.2.1. 시설별 미아발생 환경특성 리스트업 210
5.2.2. 미아발생 환경특성 215
5.3. 소결 219
제 6 장 결론 221
6.1. 연구의 종합 222
6.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26
참고문헌 227
Abstract 22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50542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아-
dc.subject실종 아동-
dc.subject공원-
dc.subject환경특성-
dc.subject미아 발생-
dc.subject미아 방지-
dc.subject보행 시뮬레이 션-
dc.subject동적시각분석-
dc.subject.ddc690-
dc.title미아발생과 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분석을 통한 대규모 공원의 미아발생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Occurrence of Lost Children in Large-scale Park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So yo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228-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