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뇌졸중 급성기 치료에서의 집중치료실과 일반병동의 경제성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범지현

Advisor
김진현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뇌졸중뇌졸중 집중치료실비용-효과분석비용-효용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2. 8. 김진현.
Abstract
뇌졸중은 노인 인구에서 발병률이 높고, 발병하게 되면 각종 후유증으로 인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시점에서 뇌졸중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재정과 국민 개개인의 가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집중치료실과 일반병동에서의 치료간의 경제성 평가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급성기 뇌졸중 치료에 대해 고찰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은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일반병동 치료군은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연구대상기관에서 급성기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 총 556명의 전자의무기록 및 원무과 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대상자의 의료비는 두 군의 입원시기의 차이를 고려하여 2009년 의료보험공단의 코드별 수가로 환산하여 조사하였다,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해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와 점증적 비용-효용비(ICUR)을 제시하였다.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서술통계, Chi-squared test 및 t-test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566명 환자 중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 458명, 일반병동 치료군 98명이었다. 두 군은 일반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을 일반병동 치료군과 비교하였을 때 입원기간 동안의 사망률이 57%, 퇴원 3개월 후의 사망률이 39%, 퇴원 3개월 후 의존성이 31% 감소하였다. 또한 QALYs 가 10.75 대 6.71 로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QALYs 를 나타냈고, 전체 재원일수는 15.91일 대 20.91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04).

3)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이 일반병동 치료군에 비해서 전체 입원기간 동안의 의료비용이 1,274,710원, 1일당 의료비는 34,076원 적게 지출하였다. 세부 항목별로는 모든 항목에서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의 의료비용이 적게 지출되었으나 입원비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뇌졸중 집중치료실 치료군은 일반병동 치료군 대비 점증적 비용-효용과비(ICER)가 -9,906원/LYGs, 점증적 비용-효용비(ICUR)가 -9,087원/QALYs 로 나타났고, 민감도 분석에서도 그 양상이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졸중 집중치료실에서의 급성기 뇌졸중 치료가 비용-효과 및 비용-효용이 뛰어나 경제적인 우월대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위하여 뇌졸중 집중치료실이 개설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한 치료효과 평가 및 경제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 기관을 대상으로 한 평가 및 EQ-5D 등의 다양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를 활용한 평가가 필요할 것이며, 뇌졸중 집중치료실 간호 인력 투입량에 따른 치료 효과 및 경제성을 평가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st-Effectiveness and Utility Analysis of Stroke Unit
Compared with General Ward in Acute Stroke Care


Beom, Ji Hyu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Jinhyun, Ph.D.


As the incidence of stroke has increased in elderly, stroke places a significant burden on economy in world wide. Nowadays stroke unit care is recommended as effective care in acute stroke. However stroke unit care has been shown to be beneficial but cos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st-effectiveness and utility of stroke unit (SU) compared with general ward (GW)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566 patients were included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Neurology via emergency roo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in 2006 or 2009 as the subject,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dical records and billing department data.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from are included with demographic, factors related with stroke, LYGs, mRS and medical cost. Prices of 2009 were used in KRWs. We performed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cost-utility analysis to compare the life years gained (LYGs), quality adjusted life years (QALYs), total cost, cost-effectiveness and cost-utility of SU.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the discount rate of LYGs (0% to 70%) and variation rate of mRS utility (min to max) had limited impact on the results.

As for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medical costs in care type, Chi-squared test and t-test were us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effect of care type and medical costs between SU and GW.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mographic and factors related with strok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patients admitted to SU (n=458) and GW (n=98).

2) SU patients on average had superior outcomes and lower costs than GW patients. Mortality in hospitalization was 57%, the 3-month dependency rate was 31% decreased in SU compared with GW. And QALYs were 10.75 in SU and 6.71 in GW (p< .001), LYGs were 16.16 in SU and 12.72 in GW (p= .001). Length of stay was 15.91±14.21 in SU and 20.91±21.46 in GW (p= .004).

3) Mean medical costs during hospitalization were 616,415 KRW (US$ 4,050) for SU, 5,891,125 KRW (US$ 5,168) for GW (p = .003, SU versus GW). Mean medical costs per day of SU during hospitalization were 34,076 KRW (US$ 30) less than GW.

4) An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for SU of - 9,906 KRW (US$ - 9) per LYGs and an incremental cost-utility ratio for SU of - 9,087 KRW (US$ - 3.50) per QALYs were estima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SU is not only cost-effective care but also the dominant strategy compared with GW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Keywords: Stroke, Stroke Unit, Cost-Effectiveness Analysis, Cost-Utility Analysis
Student Number: 2009-20465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7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